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 서정애
  • 조회 수 1876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07년 1월 29일 08시 26분 등록
안녕하세요? 무척 오랜만이죠?
먼저 소장님의 신간 '사람에게서 구하라'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역사와 경영의 절묘한 조화에서 나온 보석과 같은 책!' 기대됩니다.

새해 벽두, 재동 선이님의 득남 소식이 참 반가웠고 방금 읽은 승완님과 호정님의 사랑 얘기 또한 반갑습니다. 참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옹박님과 귀자님의 얘기 기대해도 될까요?
세상에 '젊음' 만큼 화려한 악세사리가 또 있을까요!
더 좋은 소식 기다립니다.

지난 24, 25일 이틀간 가족여행을 다녀 왔어요.
저번에 기원님이 소개해주신 지리산 자락 '작은영토' 황토방에서 묵으며 일원을 돌았습니다. 베품으로써 더 충만된 삶을 살고 계시는 두 분이 내어 주시던 향기로운 차는 바로 두 분의 향기였습니다. 기원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조금 긴듯한 여행기를 올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새뜻한 날들 기원 합니다.

**************************************************************
탁! 차문을 닫고 내리는 순간 지리산 자락의 칠흑같은 밤하늘,
춥다고 옹송 거리며 수다 떨던 숱한 별들이 놀라 한꺼번에 떼구르르 떨어지는 줄 알았습니다. ‘작은 영토’ 마당 가득 별밭이 되어 쟁그랑쟁그랑 거립니다.
혼자 살아 외로운 초엿새 쪽달은 밤나무에도, 소나무에도, 감나무에도 걸리지 않은 거리낌 없는 얼굴로 별들의 수다에 흐뭇하게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 주인장이 내어준 향기로운 차 귀하게 마시고 마당에 내려서니 건넛마을엔 또 다른 별꽃무리가 활짝 피어 있습니다.
큰 보석 박힌 새카만 벨벳을 좌악 펼쳐놓은 듯한 마을의 반짝이는 전등불빛은 지상으로 내려온 또 다른 별무리였습니다. 태초의 신비로움으로 다가옵니다.
수직 성향 문명의 거대한 이빨 같은 고층건물이 아니기에, 부드러운 수평의 마을자락이기에 그 불빛은 아름다운 보석이 될 수 있겠지요.
여장을 풀려고 방문을 여는 순간 훅 끼치는 황토방의 연기 냄새...
투명한 슬픔에 코끝이 찡했습니다.
겨울 짧은 해가 고향 타래산에 걸리고 한 집 두 집 저녁 연기가 굴뚝에서 올라오면 집으로 돌아와 가마솥에 불을 때기도 하는데...... 쇠죽 가마솥이 눈물을 흘리고 외양간에서 큰 눈망울 두리번거리며 소가 워낭을 흔들면 여물 익는 물큰한 냄새가 온 집안에 퍼집니다. 그때쯤이면 큰 소두뱅이 열어 기역자 모양의 뒤지개로 섞어 쇠죽을 골고루 익게 합니다. 미리 떠다둔 큰 양은 대야, 닳아 한쪽 귀퉁이 날아간 세숫대야의 물을 소죽솥에 넣지요. 그것은 온식구들이 찬물을 조금씩 섞어가며 쓸 귀중한 저녁온수가 됩니다. 아궁이 앞을 몽당 빗자루로 흙까지 싹싹 쓴 다음 큰방으로 들어갑니다. 그동안 쇠죽솥은 뜸 들이며 기다리겠지요.
살얼음 둥둥 떠 있는 양은 동치미 그릇이 놓여있는 두리상에 앉으면 바로 그 황토방의 연기 냄새가 났었지요.
엷은 물빛 저고리에 색바랜 한복바지를 입으신 야윈 할아버지, 무명 머릿수건을 벗으시며 쪽진 머리 쓰다듬으시는 할머니, 읍내에서 배운 양재 기술로 당시 유행하던 월남치마를 손수 만들어 입은 젊은 고모, 네 살 위의 막내 삼촌, 꺽다리 남동생이 거기에 있었습니다.
밀물처럼 짭조름히 밀려드는 향수입니다.
섬진강 기차마을, 60년대를 향한 타임캡슐 승차였지요. 영화 ‘아이스케키’의 셋트장에서 60년대 골목길을 걸어보았습니다. ‘풍년상회’, ‘도라지위스키’, 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 이 걸린 읍내의 극장 , ‘신세계 사진관’ , '정미소'등이 삐뚤삐뚤한 얼굴로 걸려 있는 간판들의 모습들, 좁은 길목이 그렇게 정겨웠습니다. 사진관 앞에 서니 35년전 읍내에 고향 동무들과 나가서 찍었던 흑백 사진 한 장이 떠오릅니다. 사진에 ‘우정을 변치 말자’라고 새겨 넣었던 문구도 함께. 그 당시엔 사진마다 그런 문구를 새겨 넣곤 했지요.
증기기관차가 허연 김을 뿜으며 왼쪽 옆구리에 끼고 도는 섬진강엔 봄빛 도는 파란 하늘이 떠내려가고 경상도 경계의 음영 깊은 산갈피들이 자맥질 합니다. 푸른 얼굴 혹은 까칠한 얼굴로 어깨 걸고 두런거리는 산들이 정겹습니다. 조잘거리는 자갈들을 혹은 깊은 침묵을 지키는 묵직한 돌들을 품은 채 유유히 흐르는 섬진강은 언제 보아도 자태가 고운 여인 같습니다. 정지된 한 폭의 맑은 수채화 같은 풍경에 생명의 붓끝인양 큰 새 한마리가 유선을 그리며 낮게 비상합니다. 아마 먹이를 겨냥하나 봅니다. 기차가 섬진강 강줄기를 어루 만지며 희뜩희뜩 맴돌아 가는 길에 경상도와 전라도가 정답게 마주 보고 있습니다. 몇 번의 기적을 울리며 도착한 섬진강 강마을 ‘가정리’에서 새로 단장한 ‘두가교’에 서니 강바람에 제법 매섭게 달려듭니다. 옛날 목선을 보며 스무 살 들 무렵 겨울에 목선을 타고 강 건너 까지 밤 마실 가던 생각을 합니다. 노 젓는 것은 고향 동무가 맡았습니다. 삐거덕 거리는 목선에 앉아서 교교히 내리던 달빛, 강물에 잠긴 둥근 달의 처연함은 지금도 선연한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강 건너 마을은 땅콩 곳이라 피 땅콩(껍질채 땅콩) 볶아주던 더벅머리 머슴아 얼굴은 생각 안 나고 수북이 내어온 땅콩만 생각납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도회지로 전학 가서 방학 때마다 고향에 가곤 했습니다. 앞서 노를 저었다는 동무는 초등학교 졸업 후 당시 주부 부업의 대명사이던 '홀치기'를 하며 일찍 생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열 네살 어린 나이로...... 두뇌가 명석한 동무 였는데 그 울분이 오죽했을까만은 다른 동무들과 어울려 조미미의 '단골손님', '바다가 육지라면',을 구성지게 따라 부르며 야무지게 홀치기를 잘 했습니다. 요즘 대형 벽걸이 티비에 버금가던 트랜지스터 라디오 주파수를 이리저리 맞추며 중학교 음악책의 가곡을 배우는 대신 트로트를 배우며 홀치기를 재바르게 하던 여윈 손이 떠오릅니다. 트로트 가사처럼 인생의 쓴맛, 단맛을 너무 일찍 알아버린 탓인지 그녀의 생은 평탄하지 못했습니다. 덕분에 남동생은 읍내의 고등학교 까지 마칠 수 있었지요. 고향 동무 대개가 그랬습니다. 기껏해야 중학교 진학 정도였지요. '여자가 많이 배우면 뭐 해?'하는 자조적인 소리는 딸자식을 제대로 교육시킬 여력이 없었던 가난한 이웃 아재들의 탄식의 소리는 아니었는지......지금도 겨울 달밤이면 그때 강 건너 마을로 가는 모래톱길과 차가운 겨울 온 달이 아득하게 갱겨 오곤 합니다.
태안사 오릿길의 운치있는 숲길, 지리산을 향한 지고지순한 사랑을 안고 사는 이 임소혁, 그의 사진전에서 늘 연모하던 지리산 사계의 풍모를 마음껏 안아볼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사진을 조금 접하다만 저로써는 완벽한 사진 앞에서 작가의 혼을 느낄 수 있어 경외심이 들었습니다.
조태일시문학관, 그의 6집인 ‘풀꽃은 시들지 않는다’를 우연히 가지게 되어 그저 서정 시인으로만 알았는데 군부 독재 시절 고은, 신경림과 함께 한 저항시인인줄 처음 알았습니다. 그의 유품과 함께 전시된 그 곳에서 하도 꼼꼼히 보는 바람에 가족들의 걱정을 들어야 했습니다. 전시관 직원에게도 미안 했구요. 관람 시간이 지나서 양해를 얻고 들어갔거든요.
특별한 의미의 토지 무대인 평사리 최참판댁과 작품속의 마을을 완벽하게 묘사해놓은 토지 셋트장은 또 다른 감동이었어요. 고샅길, 초가들을 한군데라도 빠질세라 구석구석 다니며 <토지>에 나오는 대사들을 주절거렸습니다. 작품 속에서 만났던 질박하고 지난한 삶을 살았던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며 대서사인 토지를 짧은 시간에 다시 훑을 수 있어서 행복했어요. 약삭빠르고 속물적이지만 가족에 대한 애정만큼은 남다른 봉기네엔 정말 돼지우리가 있었고 걸쭉한 입담을 자랑하던 막딸네 궁색한 살림집에선 임이네 애호박을 따가던 손버릇 나쁜 그녀의 음성이 들리는 듯 했습니다. 이기적이고 현실적인 이평이네(두만이네), 성실히 일하는 평사리 과부 야무네, 조준구의 모함을 받아 억울한 죽임을 당하는 정 한조, 평산의 꾐에 빠져 최 치수 살인사건에 가담하여 사형을 당하는 칠성이, 그의 댁 임이네, 월선을 사랑하나 신분의 차이로 강청 댁과 결혼 하지만 정을 못 붙이고 자식도 없이 살아가는 준수한 외모의 용이...... 끝도 없이 나오는 토지의 인물들을 모두 거기서 다시 만날 수 있어 흠뻑 취했어요. 특히 평산이네에선 낯익은 살구나무를 어루만지며 감회에 젖었습니다.몰락한 양반인 평산의 처 함안댁이 거기에 목매어 죽는데 그 살구나무가 작품에 묘사된 그 위치에 심어져 있더군요. 얼마나 반갑던지! 남편 평산이 최치수 살인의 주모자로 사형 당하자 중인 출신이지만 양반가 여성으로써 긍지를 지니고 지난한 삶을 살아가던 버팀목을 잃어 버려 거복이, 한복이 어린 두 아들을 남겨 둔 채 그 살구나무에 목을 맵니다. 사람이 목매어 죽은 살구나무를 달여 먹으면 몸에 좋다며 새벽 일찍 살구나무 가지를 꺾어가는 봉기의 이기적인 모습도 보입니다. 물레방앗간 옆의 '타작마당'에 서니 용이, 판술이, 칠성이가 주축이 되어 놀던 풍물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그 모습을 자랑스럽게, 반쯤은 부끄럽게 바라보던 그들의 아낙들 모습도...... 작품 <토지>는 2년전에 또다시 SBS에서 방영 되었다는군요. TV 시청은 전혀 안하지만 괜히 그 방송사에 신뢰가 갑니다.
5년 전인가 이 곳에 들럿을땐 한창 최참판댁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이듬해엔 공사는 마무리 되었으나 작품속의 이미지가 아니어서 많이 실망하고 근처 ‘고소산성’에 들러 위로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많은 세월이 흐른 지금 그 곳은 작품속의 인물들이 나누는 대화를 생생히 들을 수 있을 정도로 훌륭하게 바뀌어 있었습니다.
마지막에 둘러본 구례 화엄사의 금강문과 사천왕문 앞에서 잠깐 머물렀습니다.
남도엔 예향도 많을뿐더러 맛 고을도 참 많지요. 그래서 매번 여행지로 ‘남도여행’을 꼽게 되나 봅니다. 또 다른 이유 하나는 감명 깊게 읽었던 대서사시의 작품 무대가 주로 남도란 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작품의 무대를 가고 싶은 것은 자연스러운 욕심이겠지요.
용이네 삽작에 붉은 몽우리 도톰도톰하던 나무는 아마 매화이지 싶습니다.
봄이 멀지 않았습니다. 봄은 흔들림이라 하던 어느 시인의 말이 언뜻 떠오릅니다.
올 봄엔 흔들리고 싶군요.
IP *.150.69.12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1.28 05:51:33 *.70.72.121
바쁘셨나봅니다. 방학인데도 자주 뵐 수 없었네요. 반갑습니다. 따뜻해요. 포항의 봄 하늘 아지랑이 같은 흔들림이 예까지 전해오나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기원
2007.01.28 08:57:00 *.254.30.194
세상에느는 아름다운 주파수에 동감하고 모여들게 되나봐요.
저도 그 별들을 사랑하고 좋아합니다.
가족들과 다녀온 지난 늦은 가을이 생각났습니다.
올려주신 여행기에 제가 동감하는 이야긱의 부분이 많았습니다.
서정애선생님 글 잘 읽었습니다.
올봄에 하동은 벗꽃과 매실꽃 향기와 꽃빛으로 환할 것입니다.
늘 좋은 모범보여주시는 삶에 박수를보냅니다.
김사장님 3권책내셨는데, 이정도 글실력이면 선생님도 내셔도 충분하실것같아요. 저 10권선주문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서정애
2007.01.28 10:31:43 *.150.69.12
기원님, 오랜만이군요. 작은영토에서 얻어온 검은콩으로 기원님이 주신 콩나물 시루에 콩을 앉혔어요. 사흘째인 오늘 껍질이 벗겨지며 푸른 몸을 열어주네요. 온가족이 보는대로 물을 줍니다. 곧 그 여린 몸들로 무거운 시루 뚜껑을 밀어 올리는 감동적인 모습을 보여 주겠지요. 기원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좋은 곳과 인연 맺을 수 있어서요. 그리고 콩나물 시루도...... 늘 베푸시는 모습들이 공통점인 것같아요. 귀감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신재동
2007.01.29 09:55:05 *.219.66.78
작년 여름에 혼자 남도쪽을 다녀 오면서 나중에 꼭 가족여행을 함께 하리라 마음 먹었습니다. 그곳의 겨울 풍경은 여름과 어떻게 다를지 궁금하네요.
프로필 이미지
초아
2007.01.31 10:47:14 *.166.48.191
평사리에서 묵계로 연결되는 산길을 드라이브 해 보셨는지요? 이재를 회남(會南)재라 합니다. 구비 구비 흐르는 산능성이를 따라 지리산의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길입니다. 겨울철에는 눈 때문에 통행이 어렵고 가을에는 최고의 단풍길입니다. 꼭 가보세요. 시인이 쓰는 기행문에 잠씨 빠져 있었네요.
* 길이 험해서 사륜구동 이라야 가능할 것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서정애
2007.02.01 22:20:11 *.81.134.33
초아 선생님 안녕하세요? 욕지도에 함께 못해서 아쉬웠어요. 일몰이 그리 장관이라는데......다음번 가족여행지로 꼽아놓고 있습니다.
좋은 드라이브길 소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묵계'를 이정표에서 본듯합니다. 이번 매화, 산수유 계절에 남도에 또 들릴 예정인데 그때 꼭 가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향인 은남
2007.02.01 22:32:02 *.153.35.109
이번에 운제님이 운전해주셔서 아주 편안한 여행이 되었답니다.
서정애님의 향기나는 차에서 안락한 시간을 만끽했지요.고맙습니다.
여행기를 읽으니 평사리에도 다시한번 꼭 가보고 싶네요.
프로필 이미지
서정애
2007.02.01 23:00:48 *.81.134.33
향인님의 서글서글한 모습이 눈에 선하군요. 잘 지내시죠?
아주 예쁜 눈이 인상적이었어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7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2] 신원석 2007.02.09 1721
1366 첫 느낌... 신종윤 2007.02.09 1457
1365 어제 강연 잘 들었습니다. 김갑웅 2007.02.09 1473
1364 겨울비는 내리고 내 마음은 젖었다. [4] 최영훈 2007.02.09 1658
1363 연구원1기 문요한님의 책 &quot;굿바이 게으름&quot; [21] 꿈꾸는간디 ™ 오성민 2007.02.07 2108
1362 우리 선아 배꼽이 떨어졌습니다. file [19] 염구섭 2007.02.05 1908
1361 책읽기, 글쓰기, 그리기, 그리고 .... [3] 校瀞 한정화 2007.02.04 1742
1360 한곳에 머물지 않는 나그네가 되어라 [10] 초아 서 대원 2007.02.02 2474
1359 다시 처음처럼 [7] 운제 2007.02.02 1718
1358 가냘픈 어깨에 무거운 짐을 얹지 마라 [9] 김나경 2007.02.02 2087
1357 욕지도 일몰 보셨나요? (아미... ) [13] 써니 2007.02.01 2509
1356 봄은 그렇게 우리들에게 오겠지요 [2] 서정애 2007.02.01 1658
1355 &lt;꿈벗펀드&gt;와 함께 하실 분을 초대합니다. [3] 江賢김영훈 2007.02.01 1709
1354 -->[re]욕지도의 밤 사진 file 한정화 2007.02.01 1548
1353 -->[re]아름다운 삼덕항 file 한정화 2007.02.01 1636
1352 한림아림(한아름)의 팔불출아빠 일기 file [6] 空기원 2007.01.30 1744
1351 [아.특.인] - '죽은 시인의 사회' 존 키팅(후편) file [1] 亨典 이기찬 2007.01.30 2486
» 남도 여행기 [8] 서정애 2007.01.29 1876
1349 사라진 육교 그리고 장례식 [1] idgie 2007.01.26 1709
1348 시간개념 해석영화에 대한 오마주 - '데자뷰' file [1] 이기찬 2007.01.26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