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2007년 7월 14일 23시 52분 등록
장마비가 계속하던 중 오랜만에 파아란 하늘이 보인다. 예정 된 시간에 산을 향했다. 산길을 걸으면 나혼자만의 시간을 즐긴다. 걸으면서 명상인지 상상인지 구분하지 않고 생각하면서 걷는 것이 나의 최고의 즐거움이다. 그래서 내자와 같이 등산하여도 별로 말을 하지 않는다. 어쩌다 산중에서 여인네를 만나면 씨끄럽다. 따라가면서 엿들어 보아도 그야말로 씨잘데기 없는 소리들이다. 그냥 푸른 산의 정취를 느키면서 생각에 잠겨 걷는것이 너무나도 좋다. 그렇게 걷고 있던 중 휴대폰의 진동이 호주머니에서 울린다. 산중의 정취속이 묻힌 나의 공간은 사라지고 손꾸락에 힘을 가하면서 수화기를 열었다.

"여보세요, 초아 선생님이시죠? 저는 대전에 사는 송ㅇㅇ라는 사람입니다. 정은실씨가 소개하여 전활 드립니다. 찾아 뵈었으면 합니다" 그는 허락하면 당장에 내려 오겠다고 한다. 우린 만나기를 약속하였다. 집에 돌아와 이상한 느낌이 들어서 정은실씨에게 전화를 했다. 난 조금전의 전화 내용을 이야기 하고 그가 누구인데 먼거리에도 불구하고 급하게 왜 만날려고 하는지를 물었다. 여주(은실씨의 아호)는 그에 대한 설명이 "선생님 그는 장노교회 목사입니다. 그런데 목사이면서 불교대학원에 상담심리학을 공부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현재는 경제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처지에 있다고 했다. 난 참으로 흥미로운 사람을 만나는구나 하면서 종일 기다렸다.

나도 대학을 다닐 때, 허가없는 신학교에 다녔다. 당시의 조그만한 성경학교가 현재에는 종합대학으로 발전하기도
IP *.253.249.71

프로필 이미지
한희주
2007.07.15 12:43:49 *.233.200.118
세상과 사람에게 두루 이로운 삶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이를 실행으로 보여주시는 초아 선생님!

서로 다른 이념들과 회통할 수 있고, 어려운 가운데서도 남을 돕고...

이런 기운들이 모아지면 보다 아름다운 세상이 열리겠지요.
삶 속에서 사랑을 구현하시는 초아 선생님의 글, 감사히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7.15 14:00:26 *.70.72.121
늘 몸 마음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진묵대사
2007.07.15 14:13:35 *.124.165.90
예수님도 제자들이 있었고, 부처님 제자들이 있었듯이... 이제는 초아 선생님께도 제자들이 하나 둘씩 생겨나는 느낌을 받습니다. 아주 다양한 분야의 제자들... 시.공간을 초월한 선생님의 일상의 변화에 빨알간 꽃망울이 영글어 갑니다...^^ 화이팅 !!
프로필 이미지
앨리스
2007.07.15 14:37:27 *.252.102.202
초아선생님은 모든 사람들에게 open mind이신 것 같습니다. 정말 아름다운 인연입니다. 그런데, 저는 가끔 새로운 만남을 경계하고 겁내하는 사람들을 회사에서 종종 봅니다. 하지만 그들도 이내 시간이 좀 지나면 친근해 지더군요. 만남에 대해 저극적인 태도는 사람마다 다른 듯 합니다. 게다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주기란 쉽지 않죠. 가끔 실제 만남에 대한 이야기를 올려주시는 글을 읽고 잔잔한 감동을 받습니다. 저두 부산 가면 뵐 수 있을까요? ^^
프로필 이미지
옹박
2007.07.15 14:46:16 *.232.147.203
초아 선생님 글을 읽으니, 가슴이 아프네요.
송ㅇㅇ님 힘 내세요
프로필 이미지
여주
2007.07.15 20:55:03 *.121.104.168
송oo님이 참 복이 많은 분입니다. 어떤 인연이 이렇게 이끌었는지... 8월에 부산으로 한 번 찾아뵐게요, 선생님. 건강하시기를...
프로필 이미지
김나경
2007.07.16 11:29:20 *.96.167.193
요사이 주일날 성당에도 잘 안 나가고 땡땡이다.
그러면서 하는 엉뚱한 상상이 "성당가서 절을 하면 안 되나?"
이런 것들ㅋㅋ

분명히 나는 절대자 - 신 , 하느님을 굳게 믿으니 불교신자는 아니다.
하지만 요사이 절에 가서 절을 하고 싶단 생각이 종종 든다...
예수도원이라~
참 재밌다.

초아선생님 고맙습니다^^
주역 책 잘 열심히 읽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초아
2007.07.16 11:38:58 *.253.249.71
우리의 삶을 영위해 가는 방법중에 두가지의 기류가 있습니다. 보수와 개혁입니다. 즉 뭉침과 분산같은 것이지요.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는 인류의 정점에 가서야 밝혀지겠지요.

종교에 접하는 우리들의 마음과 행동도 마찬가지 입니다. 남들이 믿으니까, 훌륭한 사람이 신봉하니까, 한때 김영삼대통령(계신교)시절에는 계신교가, 김대중 대통령(캐톨릭)시절에는 성당이 번성한 것은 이를 단적으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과연 방울소리에 따라가는 군중이 되어야 하겠습니까? 반면에 진실 진리를
프로필 이미지
여행자
2007.07.16 13:37:49 *.148.52.112
참 아릉다운 만남입니다.

한 생애를 살며 그런 만남이 있음은 행복이며 축복입니다.

가슴이 뭉클해지는 글입니다.

초아선생님의 말씀에 공감이 많이 갑니다.

요즈음 개인적으로 초아선생님의 글 읽는 즐거움이 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초아
2007.07.17 21:26:42 *.253.249.67
서울서, 을유문화사 앞마당에서 그대가 내게 준 볼펜을 보면서 자네의 모든이에게 주고 픈 맘을 알았다네. 그댈 보내고, 일을 마치고,모든이의 배웅이 끝난 앞마당에 조계사의 쇠북 소리가 은은히 들릴 때 자그만한 그대 모습이 얼핏 보였다네...
항상 진리를 찾으려는 발걸음이 여행으로 변하고 어느듯 그대는 여행자가 되었네. 만행에서 부디 참 진리를 얻기를 기원하며 자네가 준 연필로 답장을 보낸다.

프로필 이미지
초아
2007.07.18 15:44:26 *.253.249.67
난 그리스도교인도 불교도도 아닙니다. 그러나 누구보다 성경과 불경을 많이 읽고 깊은 생각은 해보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역경은 나의 직업속에 있었으니 말할 것도 없구요.
현재의 예수교는 유일신사상입니다.
불교는 엄격하게 따지면 무신론입니다. 인간과 신을 같이하는 종교이니 그렇습니다. 그리고 역경은 신을 믿으라는 이야긴 없습니다. 오직 삶의 근간을 공부하여 지혜롭고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학문입니다.

나는 무제의 사상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현재의 신학자와 달리 해석하는 것을 다른 이가 볼 때에는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마음속의 천국과 죽은 후에 가는 천국이라는 것에 대한 사고의 차이 입니다. 그의 배움과 사고가 틀렸다면 가르치고 증명하여 바른 길로 인도 해야지요.

그대가 믿는 방식과 다르고 나의 배움과 사고가 다르다고 비평하는 건 아닙니까? 오히려 새로운 성경해석을 넓은 아량으로 받아드려 그를 인도하지 못하는 무제의 담임목사가 문제 입니다. 그로 인하여 지금까지 공부해 온 대학과 직업을 버리고, 오년이라는 신학교의 공부와 수행에 그의 청춘을 바쳤는데 그를 바로 잡아주지 않고 내다 버린 그의 스승이 더욱 문제 인 것입니다.

무제도 한때에는 길거리에서, 차안에서 미친 듯이 전도 한 적도 있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기도와 신앙속에서 젊은 시절은 살아 왔습니다. 그가 새로운 자기 깨달음을 주장하고 실천하는것을 난 바르고 정의롭게 보였습니다.

가만히 가르친데로 목회를 하고, 자기주장을 없애면 지금같이 건축 노동자생활은 안하겠지요. 아내도 애들도 낳아서 공부도 시키고 어였한 중견 목사로써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는 그가 깨달은 진리를 위해서 자신의 기득권을 버린 그를 난 정의롭게 보입니다. 용기있는 외침으로 보입니다.

주역에서의 신(神)은 시간입니다. 시간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밖혀 돌아가실 때에도, 부처님이 열반 할 때에도, 히로시마에 원폭이 투하되어 수십만명이 몰살하여도 시간은 한치의 멈춤도 없이 흘러갑니다.

난 고등학교 시절에 M,R,A라는 도덕 재무장운동에 참여 한 적이 있습니다. 창시자인 후랑크 북맨박사가 "신은 죽었다. 이제 새로운 형의 종교가 태동할 것이다."라고 이야기 한 구절이 생각납니다.

그대의 믿음을 무시하거나 아니라고 비평치는 않습니다. 그러나 타의 믿음도 존경하는 마음이 예수님의 사랑의 원체가 아닐 까요?

프로필 이미지
초아
2007.07.19 06:40:14 *.253.249.67
좋은 말씀입니다. 진리는 영원치 않습니다. 예수님이 테어난 에루살림의 유태인은 예수를 인정치 않습니다. 그들은 모세오경(구약성경, 현재의 로마 교황청의 구약과는 다릅니다)만을 신봉합니다. 부처님이 태어 난 인도에서는 불교가 없습니다. 왜 일까요?
"진리는 세상과 접합하면서 변한다"
마태는 로마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여 선교활동 중 로마정교와 합하였고, 달마는 중국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중국의 선교와 융합하니 그 것이 현재의 우리 불교인 북방불교, 선종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간而不遷 有孚옹若"
간이불천(수행) 유부옹약(신앙)
위에서 이야기하는 주역의"수행(修行)과 신앙(信仰)"의 중요함을 주장하고 싶습니다.
불교에서는 의심이라는 것은 위대하다 의심이라는 화두가 그대를 도의 세계로 인도한다.
그리스도교에서는 신앙은 의심치 않아야 한다. 의심이 없는 신앙생활이 그대를 천국으로 인도 할 것이다.
이런 차이 이겠지요

나는 반 스콜라주의 철학자 스피노자의 "세상이 네일 종말이 온다 하여도 나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을 드리면서 그대의 훌륭한 종교관를 가슴에 간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지현
2007.07.21 21:13:05 *.67.52.154
몇 가지 걱정이 되어 제가 올린 댓글을 삭제 했습니다. 스치는 느낌이 좋지가 않습니다.
선의가 악의의 결과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적으로 알고는 있었지만
직접 경험 해본적이 없어 제가 실수를 한 것 같습니다.
참 느낌이 좋지가 않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4 인사드리며 용서도 함께 구합니다. [4] 김종욱 2007.07.27 2186
1633 영남권 모임 사진입니다. file [7] 정 희 근 2007.07.25 2443
1632 자연생태포럼 숲 모임 공지 file [10] 아름다운놈 2007.07.23 3030
1631 변경모-영남권 모임(후기) / 하멜린의 '피리부는 사나이' [2] 해촌 차순성 2007.07.23 2414
1630 영남권 첫번째 모임을 마치고.... [12] 정 희 근 2007.07.21 2712
1629 최재천교수님의 학교밖 강의 [2] idgie 2007.07.21 2845
1628 4차 서포터즈모임에 다녀와서~ [15] 박경환 2007.07.20 2280
1627 경주모임 안내 [4] 정 희 근 2007.07.20 2100
1626 8강 진출 - 행운인가? 실력인가? file 이기찬 2007.07.19 1761
1625 써포터즈 4차 정기 오프모임 장소 안내 [2] 김지혜 2007.07.18 2093
1624 초아선생님 책이 품절이던데... [1] 희재 2007.07.17 2020
1623 아시안컵의 악령 vs 후퇴수비의 댓가 file 이기찬 2007.07.16 2124
1622 써포터즈 4차 정기 오프모임 공지 [10] 김지혜 2007.07.15 2078
1621 ... idgie 2007.07.15 1796
» 목사 동생이 생겼다네 [13] 초아 서 대원 2007.07.14 3078
1619 자연생태포럼 1st 공부 모임 공지 file [9] 아름다운놈 2007.07.13 2364
1618 위대한 봉사 [5] 진묵대사 2007.07.12 2171
1617 7월 21일 경주 확정! [20] 정 희 근 2007.07.12 2959
1616 초아선생님 감사합니다. [1] 惠仁_귀귀 2007.07.12 2090
1615 자기혁명에 대해.../ "사자같이 젊은 놈들" 구하... [5] soon 2007.07.11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