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기원
- 조회 수 3269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인류사에 큰 영향을 준 사과이야기입니다.
첫번째 사과가 아담과 이브의 사과
두번째 사과가 세잔느의 사과라고하지만(서양에서는요) 그래도 뉴튼의 떨어지는 사과라고 할 수잇지요?
세번째 사과가 스티브 잡스의 한입먹다 만 사과 애플입니다.
그러나 저생각으로는... 원래 영 0번째 사과가 있었다는 것이고 그 사과를 찾아서 현제사용한다면 4번째 사과이자 종극의 사과일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그 마지막 사과가 홍옥(紅玉)입니다.
이 홍옥은 사대문명이 발생이전 1000년에 있었던 동이족의 문화라는 것입니다.
이것의 바탕은 홍익인간사상으로 다른 여타종교를 다 포함할 수있는 사상이라는 것을 이미지 메이킹한 것이 홍옥입니다.
홍산문명을 간단하게 덧붙입니다.
훙산 문화
훙산 문화 (홍산문화, 중국어 간체: 红山文化, 정체: 紅山文化, 병음: hóngshān wénhuà)는 중국만리장성 북동부에 존재했던 신석기 시대의 문화이다. 연대는 기원전 4700년 ~ 기원전 2900년 경이며, 옌산 산맥의 북쪽 랴오허 지류의 서 랴오허 상류 부근에 널리 퍼져 있었다. 현재의 하베이성 북부에서 내몽골 자치구 동남부, 랴오닝 성 서부에 해당한다.
목차[숨기기] |
[편집]개요
현재의 명칭은 내몽고 자치구의 츠펑 시에 있는 홍산호우(红山後, 홍산후) 유적에서 유래하였다. 홍산문화는 1908년 일본의 고고학자 도리이 류조(鳥居龍蔵)에 의해 발견되어, 1935년 하마다 코사쿠(濱田耕作)나 미즈노 세이치(水野清一) 등에 의해 대규모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전후 각지에서 발굴이 잇달았으며, 채도와 세석기의 특징을 가진 이 문화는 1954년 홍산후를 기념하여 홍산 문화라고 명명되었다.
[편집]생활상
훙산 문화에서는 농업이 주를 이루며, 가축을 사육한 축산도 발달하고 있어 돼지나 양이 길러졌다.한편에서는 수렵이나 채집 등으로 야생 동물을 사냥하거나 야생초를 채집하기도 했다.
[편집]유적 유물
이들은 농업을 주로 한 문화로 용등을 본떠 만든 비취등의 구슬로부터 현재 중국에 연결되는 문화나 종교의 존재도 볼 수 있다.
홍산 문화의 주된 유적은 서 랴오허 상류의 지류인 황수(潢水) 및 투허(土河) 유역에 퍼져 있다. 발견된 석기는 타제석기, 마제석기, 세석기 등으로 그 대부분은 농기구이며, 돌보습(石耜), 돌쟁기(石犁), 돌호미(石鋤) 등의 종류가 많다.
홍산 문화의 도기는 진흙 홍도 및 협사회도(夾沙灰陶)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진흙으로 만들어 붓으로 그림 그린 채도(채문 토기)는 취사나 식사 등에 사용되고, 문양이 새겨진 협사회도는 음식을 담는 곳에 사용되었다. 다른 도기에서는 임산부를 본뜬 흉상이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홍산 문화에서는 양사오 문화와 같은 채도 문화는 발달하지 않았지만, 룽산 문화의 흑도와 같은 세련된 조형미를 가진다. 또 후기 유적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환도도 발견되고 있다.
홍산 문화의 분묘에서는 비취 등의 석재로 동물 등의 형태로 조각한 장식품이 많이 출토되었다. 돼지, 호랑이, 새 외에도 용을 새긴 것도 발견되고 있다. 높은 공예의 수준이 홍산 문화의 큰 특징이 되고 있다. 《저룡(猪龍)》또는 《옥저룡(玉猪龍)》으로 불리는 홍산 문화의 옥용(용을 조각한 구슬)의 조형은 단순하며, 용이 원형으로 된 것이 많지만, 후기로 가면서 반용(盤龍), 문용(紋龍) 등의 구별이 분명해진다. 고고학자 중에는 홍산 문화가 이후 중원에서 시작된 용 숭배의 근원이라는 견해도 있다.
[편집]뉘우허량 유적
1983년에 랴오닝성 링위안 시에서 젠핑 현에 걸친 넓은 범위에서 발견된 《뉘우허량 유적》(牛河梁遺跡, Niuheliang)에서는 홍산 문화와 차이가 큰 제사 시설이 발견되고 있다. 5㎢의 넓은 범위에 돌을 쌓아 만들어진 분묘나 제단이 정연하게 분포하고 있다. 또 돌 마루와 채색한 벽이 있던 신전이 발견되어, 눈을 비취로 만든 여성두상 도기가 발견되어 《여신묘》라고 불리게 되었다. 발굴 과정에서 지하 1m에서 제사를 지냈던 장소나 제단, 벽화, 돌무덤(석총) 등이 발견되었다.
여신묘안에는 사람 세 배 크기의 도제의 상이 줄지어 있었다. 이 상은 신상으로 추측되며, 현재 중국 문화에서는 유례없는 것이다.
뉘우허량에서 발견된 기념비적인 건축물의 존재나 또 여러 가지 토지와 교역의 증거로 인해 이 시기에 선사시대의 수장국인 왕국이 있었다고 추측된다.
여신묘에서는 채도도 발견되었다. 부근에서 60개 이상의 고분도 발굴되었고, 이것들은 돌을 짜서 석실을 만들고 그 위에 조약돌을 씌워 무덤을 만들었다. 그 내부에서 구슬 등의 유물도 발견되었다. 근처의 두 곳의 언덕 위에는 돌무덤이 발견되었고, 그 가까운 곳에서는 석회암을 쌓아 올려 만든 둥근 무덤이나 사각형의 무덤도 있었다. 이러한 고분 중에서는 용이나 거북이의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홍산 문화에서는 제물을 바쳤다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