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2013년 12월 3일 09시 53분 등록

직장인, 책에서 길을 묻다

 

고전(古典)은 옛사람이 오래전에 쓴 책이 아니다. 고전은 인간보다 훨씬 수명이 긴 책이다. 한 시대보다 오래, 길게는 수천년 동안 살아남은 책이다. 시간으로 인해 더욱 윤기 나는 책이 고전이다. 고전을 읽는 이유는 옛 시절에 관한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함이 아니다. 과거로의 회귀도 아니다. 고전 읽기는 오래된 과거를 거울삼아 현재를 가늠하고, 미래로 가는 길을 찾는 과정이다. 신영복은 <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에서 “과거는 현재와 미래의 디딤돌이면서 동시에 짐이다. 짐이기 때문에 지혜가 되기도 할 것”이라고 말하며, 과거를 지혜로 만드는 방법으로 고전 읽기를 꼽는다. 고전은 수많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거치며 꽃피워 온 인류 사상의 정수이기 때문이다. 고전은 ‘오래된 미래’를 담고 있다.

 

신영복은 “고전 독법은 과거와 현재의 대화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대화를 선취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대화는 일방적인 과정이 아니다. 과거에 비추어 현재를 살피는 것은, 현재에 비추어 과거를 배우는 것이기도 하다. 과거와 현재의 상호관계를 통해 둘 다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역사는 반복된다. 그래서 고전을 읽으면 미래가 ‘오래된 과거’임을 알 수 있다. 개인의 역사도 마찬가지다. 오늘의 나는 어제의 나 속에 있고, 내일의 나는 오늘의 나 안에 있다. 우리는 고전을 통해 세상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이들이 고전에서 길을 찾고 스스로를 발견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고전을 충실히 읽기 위해서는 어떤 태도와 관점으로 읽느냐가 중요하다. 신영복은 스스로를 성찰하는 태도로, 현재 자신에게 절박한 문제를 화두삼아 고전을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성찰적 태도는 깨어 있는 정신이고, 나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며 읽는 사람은 설렁설렁 읽지 않는다.

 

고전은 책이라는 영토에 우뚝 솟아오른 산이다. 높은 산은 멀리서 보면 편하지만, 참맛을 알려면 직접 올라봐야 한다. 하지만 선뜻 발걸음을 내밀기는 부담스럽다. ‘고전을 읽겠다는 것은 태산준령 앞에 호미 한 자루로 마주 서는 격’이라는 말은 빈말이 아니다. 이럴 때 좋은 안내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신영복의 <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은 훌륭한 안내자다. 이 책에는 20년 넘게 고전을 읽으며 스스로를 성찰해온 저자의 삶이 배어 있다. 동양고전을 명쾌하게 풀어내는 사유는 저자의 내공을 보여준다.

 

올 한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 지나온 삶을 돌아보고 현재의 나를 들여다보며 미래를 조망해 볼 시점이다. 겨울은 춥고 밤이 긴 계절이다. 신영복의 책을 읽으며 깊은 겨울을 보내보자. 이 책에 나오는 동양고전 가운데 끌리는 한 권을 골라 겨울 내내 함께 하는 것도 좋다. 동양고전 한 권은 몇 개월을 읽어도 질리지 않는 깊이를 가지고 있다. 고전을 읽으며 정신의 땀을 흘려보자. 마음이 맑고 건강해질 것이다.

 

홍승완,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kmc1976@naver.com

 

1385982519_00490082501_20131203.jpg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이름으로 한겨레 신문에 연재하고 있는 열세번째 칼럼이 12월 3일자에 실렸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시고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working/613651.html

 

IP *.252.144.13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94 치유와 코칭의 글쓰기 15기 모집 효우 2013.12.04 2144
2993 송년회 관련해서 말씀드려요... 15기 김신웅 2013.12.04 2115
2992 [참여자 모집] 내 인생 100대 명장면 (사진 자서전) [3] 뎀뵤 2013.12.04 3412
2991 [북포럼 초대] '그만둬도 괜찮아' 유재경 저자와의 만남 재키제동 2013.12.03 2700
» [한겨레신문] 홍승완 칼럼 '고전이라는 산에서 내려다 본... file 재키제동 2013.12.03 2252
2989 5천만의 꿈, 5천만의 역사 file [1] 타오 한정화 2013.12.02 2632
2988 구변경연 함성사모, 영남 36차, 2013 송년모임 후기 file [15] 형산 2013.12.01 3018
2987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송년모임 장소 변경 공지! 글쓴이 2013.11.27 3042
2986 연구원 제도 관련 문의드립니다 [3] 카베라 2013.11.27 2624
2985 더 알고 싶습니다 [3] 글쓴이 2013.11.26 2235
2984 <나침반 프로그램> 개강 안내: 12/7(토)~8(일) file [1] 옹박 2013.11.25 3851
2983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2013년도 송년모임 공지! file [1] 운 전 2013.11.25 2592
2982 헌신적인 반대자가 되라 15기 김신웅 2013.11.21 2101
2981 2기 연구원 박소정 득녀! [5] 뎀뵤 2013.11.19 3204
2980 [책을 이야기하는 남자], 토크 콘서트 초대 file 인디74 2013.11.19 2787
2979 발표회 후기 file [12] 최우성 2013.11.19 2641
2978 [한겨레칼럼] 박승오 칼럼 '영리한 여우가 매번 고슴도치... 재키제동 2013.11.19 2324
2977 사람이 최대의 자산이다. [7] 한불 2013.11.18 4227
2976 '내 인생의 노래 발표회' - 울림이 전해져서 file [2] 한정화 2013.11.17 2788
2975 ‘내 인생의 노래’ 발표회 - 사진 모음 & 간단후기 file [4] 신재동 2013.11.17 3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