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4년 11월 25일 09시 10분 등록

 

몇 년전부터 인문학(人文學)이 대세입니다. 제 아무리 경제, 경영, 사회과학, 정치, 수학 등에 뛰어난 사람일지라도, 인문적 소양이 없다면 무언가 부족하거나 아쉬운 사람으로 여겨질 정도로 최근의 인문학은 그 위세가 당당해 보입니다. 직장인들의 경우, 광고쟁이 박웅현씨가 쓴 책은 도끼다여덟 단어가 크게 히트하면서 인문학이란 학문이 조금 더 곁으로 가까이 다가온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인문학(人文學)이란 사람()과 문화()에 대한 모든 것을 연구, 탐구하는 학문으로, 인간 본연의 존재가치와 인생의 기간동안 수반되는 모든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한마디로 인간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룬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인문학의 범주에는 언어학, 문학, 역사, 법학, 철학, 고고학, 예술, 비평 등 다양한 학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야말로 학문계의 감초같은 존재라 할 수 있죠.

 

인문학에 대한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교육 또는 학습이라는 뜻을 가진 파이데이아(Paideia)’에서 유래되었는데, 파이데이아는 기원전 5세기 중반 철학사상가이자 교수였던 소피스트(Sophist)들이 젊은이들을 도시국가에 걸맞는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해 실시했던 교육과정을 일컫는다 하네요. 그리고 인문학을 영어로는 ‘Humanities’라 표기하는데, 이는 인간의 본성이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후마니타스(Humanitas)’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죠. 이 말은 기원전 55년경 고대로마의 정치가이자 저술가였던 키케로(Marcus T. Cicero, B.C.106~B.C.43)가 쓴 웅변가에 관하여(Oratore)라는 책에서 처음 언급되었는데, 지금과는 의미가 전혀 다른 웅변가 양성을 위한 정규과목 혹은 프로그램을 지칭했다고 합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일반 교육과정으로 출발한 인문학은 중세의 종교교육에 밀려 그 힘을 잃었다가, 14세기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며 다시 화려하게 부활합니다. 즉 중세의 신()만을 중심으로 하는 신에 대한 복종 또는 순종형 가치관에서, 인간본연의 정신을 회복하고 되살리자는 일종의 반항형(?) 가치관으로 바뀌게 된거죠. 이로써 인문학은 비로소 인간가치에 대해 되돌아봄과 동시에 인간이란 무엇이고 왜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과 탐구를 시작하게 됩니다. 14세기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었던 시인이자 인문주의자였던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는 인문학의 어원이 된 후마니타스(Humanitas)’젊음을 유지하고 노후를 즐기며, 번영을 강화하며, 역경의 피난처가 되거나 위안을 제공받는 학문이다. 우리가 시골에 가거나 여행하는 밤에 우리와 함께하거나, 거친 세상의 방해를 받지 않고 집에서와 같이 편안한 즐거움을 주게 하는 학문이다.”라고 정의하고 있죠. 꽤나 인문학적이죠?^^

 

르네상스 시대에 꽃을 피운 인문학은 근대와 현대로 들어서며 혁명이라고까지 부를 수 있는 과학기술의 발달에 밀려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과학이 발달하면 발달할수록 잃어가는 인간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회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며 다시 그 자리를 굳건히 다져가는 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현상과 사실을 연구하는 학문에서, 이제는 인간다움이 무엇이며 인간이 생을 누리는 동안 추구해야 지향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사색하고 탐구하는 학문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문학자로 유명한 경희대 도정일 교수는 인문학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인문학은 자기 정신을 유지하게 합니다. 본질적인 가치를 잊지 않게 하죠. 또한 인문학은 비판적인 학문입니다. 인간에 대한 성찰과 반성, 정신의 자기 회귀에요. 시선을 밖으로만 돌리는 게 아니라 자기 자신과 우리 사회를 돌아보게 함으로써 행복한 삶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흔히 인문학을 고전(古典)으로 그 범위를 좁혀 생각하고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문학은 인간의 삶 그리고 영혼까지 다루는 학문 위의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학혁명으로 인해 지구뿐 아니라 우주에서 벌어지는 현상까지 밝혀내는 시대로 들어섰지만, 그 결과 우리는 스스로를 돌아볼 여유도 없이 그저 바쁘게 삶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갈수록 거대해지는 산업 자본주의 시대에서 인간의 역할은 그저 부품 혹은 소모품 하나로 전락해 버렸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현대 교육 또한 산업화 시대에 걸맞는 산업일꾼(?)을 찍어내는데 맞추어져 있고, 이제는 그러한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다보니 인간은 그저 사는 동안 경제적 문제없이 잘 벌고, 잘 쓰면서 살아갈 수 있다면 그래도 그다지 나쁘지 않은 삶을 살았노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 버렸습니다. 진정한 삶의 문제를 느끼지 못하게까지 된거죠.

 

인문학은 이러한 세태에 화두를 던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왜 사는가그리고 무엇을 위해 사는가라는 그런 질문을 말이죠.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유명한 지그문트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 또한 과연 인간이 삶 속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며,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며, “아무런 의심할 여지도 없이 그 해답은 바로 행복이다라고 힘주어 말합니다. 맞습니다. 인문학은 행복을 위해 존재하는 학문입니다. 우리가 고전을 읽으며 선인들의 지혜를 배우고, 철학을 통해 진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사색하며, 뛰어난 예술작품을 보거나 웅장한 클래식을 들으며 감동하는 이유는 한번 태어난 인생을 잘 살기 위함이며, 잘 산다는 것은 바로 행복하게 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인간이 행복하게 살아야 할 이유조차 모른 채 삶을 허비할 수 밖에 없다면, 인문학의 존재 이유는 없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IP *.122.139.253

프로필 이미지
2014.11.25 11:02:32 *.50.127.43

안녕하세요, 인문학에 관심을 가진지 얼마 안 된 대학생입니다.

삶의 이유와 목적이 '행복'하기 위해서라는 것에 동의를 하는데 그렇다면 왜 인간은 행복해야 할까요?

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쉽게 답이 떠오르지 않더라구요.

사람마다 본인의 삶이 왜 행복해야 하는지 다 다르겠지만 누구나 어느 정도 공감할 이유가 있을 것 같기도 해서요.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11.27 11:52:23 *.221.51.252
인간이 행복해야 하는 이유를 찾으시는 군요. ^^
저도 답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이유를 답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랑이나 행복의 가치는 불멸의 가치라는 것은 인류 역사를 통해 이미 증명된 것 같습니다. 또한 저 스스로의 인생을 되돌아봐도 그렇고요.^^
프로필 이미지
2014.11.27 13:06:51 *.122.139.253

인간이 행복해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기 위해서는 먼저 행복이 뭔지 알아야겠지요. 그쵸?^^

 

행복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만족과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라고 합니다. 이는 어떤 일이나 사건이 자신에게 긍정적인 쪽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어떤 물건에 대한 소유나 활용에 따라 스스로의 감정이 만족과 즐거움으로 채워질 때를 우리는 행복이라 부를 수 있을 겁니다.

 

즉 행복이란 어떠한 일, 사건, 물건 등에 대한 인간적 욕구가 있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그 욕구를 충족시킬 때 발생되는 감정적 느낌이 바로 행복이다 보시면 될 듯 합니다. 인간의 욕구에 대해서는 애슬로우의 동기이론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요, 애슬로우는 인간이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의 5단계로 구분되어지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종합하자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본능적으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생활을 통해 생리적 욕구 외에 다양한 욕구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욕구들을 충족하고 만족시키기 위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행동의 결과로 여러 욕구들을 충족시키게 되었을 때 만족과 즐거움에 대한 감정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을 행복이라 부르는거죠. 즉 인간이 행복해야 하는 이유는 '욕구충족을 위해서'이고, 더 간단히 말하자면, '원래 행복을 추구하도록 태어났다'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뭐라고 뭐라고 주저리 주저리 써 놓았는데, 제가 뭘 말하려는지는 아시겠죠? ^^

그리고 이건 순전히 제 견해일 뿐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4.11.28 10:52:25 *.175.250.219

매슬로우는 자신의 욕구5단계의 삼각형을 '뒤집어 놓아야 하는 건데..." 잘못했다고 말했다죠...죽을때.

....자이실현욕구가 1차적욕구라는 말인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6 중2 때 가출한 그 남자 김용규 2014.12.11 2503
2075 나를 위로하지 마, 내가 위로할게 한 명석 2014.12.10 3094
2074 인생이 힘들 수 밖에 없는 이유 file 차칸양(양재우) 2014.12.09 2863
2073 뛰어난 학습자가 되는 법 연지원 2014.12.08 2416
2072 감사노트, 일단 일주일만 써보지 않을래요 file 로이스(旦京) 2014.12.07 5047
2071 고1 때 동거를 시작한 친구 김용규 2014.12.04 2318
2070 불안을 떠안고, 타자를 껴안고, 실패를 감수하리 한 명석 2014.12.03 2542
2069 경제공부를 위한 4가지 중요 포인트 차칸양(양재우) 2014.12.02 2334
2068 너를 빨리 잊어야 한다 연지원 2014.12.01 2518
2067 Monologue 書元 2014.11.29 2220
2066 충분히 의미있는 투자 해피맘CEO 2014.11.28 2046
2065 그대의 거울 김용규 2014.11.27 2219
2064 내가 너무 많은 문제를 가져 왔어요. 한 명석 2014.11.26 2034
» 자본주의 그리고 인문학 [4] 차칸양(양재우) 2014.11.25 2297
2062 효율성만으로는 부족하다 연지원 2014.11.24 1984
2061 나의 창조적 소비, 노트 file 로이스(旦京) 2014.11.22 2414
2060 제 생긴 대로 살게 되었다 해피맘CEO 2014.11.21 2360
2059 당신은 어떤 삶을 살고 있느냐는 질문 1 김용규 2014.11.20 2392
2058 11월이 잔인하게 느껴질 때는 한 명석 2014.11.19 2290
2057 당신의 현 보유자산을 공개하시죠! 차칸양(양재우) 2014.11.18 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