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1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9년 10월 29일 00시 47분 등록

IMG_0212.jpg

붉나무는 가을에 단풍이 붉고 붉어서 얻은 이름이다. 단풍나무가 없는 숲에서도 고운 가을 단풍을 있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생각해 보았는가?

서울 가본지 꽤 오래 되었습니다. 광화문 앞이 확 바뀌었다던데 지금 서울의 풍경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빌딩 숲이야 예나 지금이나 늘 그럴 테지만, 이 즈음 고궁의 바람과 빛깔은 기억이 날 듯도 합니다. 경복궁과 경희궁도 좋지만, 아마도 지금, 덕수궁 가을은 지나치기 아까운 빛깔일 것입니다. 많은 궁궐 중에서도 가을의 아름다운 바람과 빛깔이 주는 황홀경은 뭐니뭐니해도 비원이 최고이지 싶습니다. 숲에 살면서도 더러 그곳 연못에 비추는 단풍 빛깔에 문을 닫을 때까지 넋을 잃고 취했던 날들이 떠오르는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여기 나 살고 있는 숲도 단풍이 좋습니다. 호수처럼 아담한 괴산댐 위, 산막이라는 마을에서 옛날 장에 가던 길을 복원해 놓은 산막이 옛길에 요즘 많은 이들이 찾아 듭니다. 모두 가을을 기억하려는 이들입니다. 그들 중 가끔 나의 숲 안내를 희망하는 이들이 있으면 그들 앞에 서는 날도 있습니다. 요즘 나는 그들에게 단풍 이야기 한 자락을 해주고는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단풍이 가장 아름다운 곳이 어디냐고 묻습니다. ‘설악산’, ‘내장산이 약방의 감초처럼 그들 입에 오릅니다. 이어서 그곳의 단풍이 왜 가장 아름다우냐 묻습니다. 이 질문에 감초는 일교차가 됩니다. 우리나라 산 중에서 왜 그곳의 단풍이 가장 아름다울까요? 물론 일교차가 크면 분명 단풍은 더 아름답습니다. 나무들의 생리적 반응이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왜 특정한 곳의 단풍이 더 아름다워 유명해 졌을까요? 나는 이렇게 대답해 줍니다. “단풍이 드는 나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산세가 험한 산일수록 단풍은 깊고 아름답습니다. 궁궐이나 내장산 가로변처럼 일부러 심은 단풍나무를 제외하고 산 자체 만으로 단풍을 보면 산세의 험난함에 단풍 빛의 곱고 화려함이 비례합니다.

 

왜 그럴까요? 아마 그 이유는 사람의 간섭이 적은 산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산세가 험하면 사람의 간섭도 어렵습니다. 사람의 간섭이 적은 산은 숲 고유의 질서에 따라 나무와 풀들의 시대가 변해갑니다. 초기의 숲은 제법 긴 시간, 소나무처럼 빛을 좋아하는 나무들이 숲의 주인 행세를 합니다. 그러다가 서서히 어느 정도 음지를 견디는 능력을 키워온 낙엽활엽수에게 그 자리를 내주며 세력을 잃어갑니다. 산벚나무, 생강나무, 붉나무, 쪽동백, 화살나무, 회잎나무이들은 모두 가을이면 단풍으로 고운 나무들입니다. 이렇게 노랗고 붉게 제 잎을 물들여 지우는 나무들이 많이 살수록 그 숲의 가을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내가 사는 마을에 산막이 옛길을 복원한 입구에는 소나무만 살고 있습니다. 옛길을 복원하면서 입구를 소나무 숲테마로 정리한 탓입니다. 그곳은 소나무를 제외한 나무들을 모두 베고 소나무만을 남겨둔 곳입니다. 잘려나간 나무들은 소나무에 비추어 잡목 대접을 받았습니다. 그 잡목(?)들의 대부분이 바로 가을 단풍으로 고운 나무들인 것입니다. 이 땅, 사람의 손길이 닿는 숲에 사는 잡목(?)들은 불행한 현대사를 겪어 왔습니다. 일제 강점기의 수탈을 끝내자 한국전쟁의 포화에 불타야 했고, 전후 긴 시간 수많은 아궁이의 땔감으로 잘려나갔습니다. 전원주택지나 개발지에서도 소나무는 대접을 받지만 그들은 천덕꾸러기입니다.

 

가을은 우리가 단풍 드는 나무에게 한 일을 기억합니다. 단풍이 거의 없는 숲에 서면 나는 잡목의 원성을 듣습니다. 다양성을 존중하지 못하는 문화의 단조로움이 숲에 조차 이르는 이 사회의 여유 없음을 한탄하게 됩니다. 나는 지금 사계절 비원의 정원처럼 아름다운 숲을 그리게 됩니다. 방방곡곡 다양성의 씨앗이 터져 나오는 그 사회를 그리게 됩니다. 그대는 이 가을 무엇을 그리워하는지요?

IP *.229.199.92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9.10.29 07:40:06 *.213.76.81
단풍이 모두 지고 나목(裸木)의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오는 나무들을 그리워하게 되었어요.
형형색색의 단풍보다도 나목의 모습이 훨씬 더 아름답게 느껴집니다.

=

소나무를 참 좋아하고 소나무 숲 걷기를 참 좋아하지만
그것이 자연의 "섭리"가 아님을 알고 마음이 그랬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솔향기는 나에게 행복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주한
2009.10.29 09:37:48 *.174.66.219
요즘 공부하는 것이 태어난 대로의 나로 살지 않고 사회화된 나로 살 때에 행복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불행한것은 나 스스로가 사회화된 나인지 본연의 나인지를 잘 알 수 없다는 것이죠.
숲도 그러네요. 이 사회가 사람을 본연의 모습대로 살지 못하도록 밀어붙이듯이 숲까지도 그렇게 만드는군요.
여름에 안하던 땔감나무하랴 책 마무리 하시랴 바쁘시겠어요.
날좀 추워지면 나무하러 가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