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장재용
  • 조회 수 1253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1년 9월 28일 18시 03분 등록

어느 등산가의 회상

 

시간이 상처 입힐 수 없는 그 무엇이 그대에게는 필요하다. 서슴지 말고 걸어가라. 그대는 이 세계의 인간이 아니다.’ –에밀 자벨-

 

19세기 정상 정복이라는 다소 천박한 욕망을 토대로 진행된 비약적인 등산 발전은 1세기 내에 대부분의 알프스 지역 봉우리들에 인간의 발을 허락하게 했다. 여전히 인류의 대부분이 수렵을 통한 원시적 삶이 지배적 시간이라면 아무런 대가 없이 죽음을 담보하고 오르는 등산이라는 행위는 이전의 인류의 시선으로 보기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다. 수렵의 시대, 그 먼 곳까지 가지 않더라도 중세, 신이 인간을 지배하던 시대는 자연을 두려워하고 신봉하며 대지보다 높은 지경의 산들을 신격화 했다면 그런 산들을 인간이 올라가기 시작한 순간부터는 신이 지배하던 세계를 벗어나고자 했던 근대 인간의 대표적 표상이 됐다. 불행하게도 그 시점은 근대의 제국주의 팽창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아쉽게도 프랑스 산악인 에밀 자벨 Emile javelle(1847~1883)은 이 시대의 사람이다.

 

그러나 그에게는 특별함이 있다. 산을 정복의 대상으로 보았던 당시 대부분의 산악인들과는 조금은 달랐다. 소규모든 대규모든 소속을 통해 활동하던 세태와는 달리 그는 늘 혼자 산을 올랐다. 그리고 사색했다. 사색이 없는 행동이란 행동이 없는 사색만큼 무의미한 것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실천과 사색을 절묘하게 자신의 생애에 조화시켜 낸 사람이 에밀 자벨이다. 그는 등산가이자 문학인이요 활동가이자 철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가 풀어내는 산의 묘사는 탁월하다. 죽음을 비켜가는 등반가의 순간 순간을 마치 카메라를 찍듯 정확하고 세밀하게 그려 보여준다. 에밀 자벨의 모든 등반기는 그래서 단순한 결과 보고서라기 보다는 인간 심상의 정밀한 기록이어서 더 값지다. 그가 산에 오를 때마다 꼼꼼하게 그리고 심혈을 기울였던 기록은 그의 사후 16년이 지난 1899년에 한 후배가 자벨의 등반기를 수집해 알피니스트의 회상록(Souvenirs d'un Alpiniste)’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했다. 한국어로는 1991년 故 김장호 선생이 한글로 번역하여 어느 등산가의 회상이라는 제목으로 간행됐다.

 

인간이란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그것은 언젠가는 소멸한다. 그런 것은 골짜기의 푸른 주름살 밑 조그만 한 구석이나 작게 희뿌옇게 긁힌 상처에 약간 그 자국을 인정할 뿐이다. 인간은 무서운 공간의 넓이 속에 제 혼자 있음을 알아차리고 그때 우주의 신비란 전혀 가늠할 수 없는 것, 어떤 종교, 어떤 철학도 우리에게 그 진정한 관념을 줄 수는 없는 것, 뿐인가 눈을 뜨면 뜰수록 그 신비는 커지기만 한다는 다른 어디서도 느끼지 못했던 감회에 사로잡힌다. 이런 무한의 공허를 바라보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사람은 일찍이 몰랐던 불안에 떨게 되며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로 가는가, 애착을 느끼는 이런 아름다운 세계를 다시는 볼 수 없다는 것이 과연 정말인가, 하고 자문한다. 이 심장, 가슴 속에 불타고 있는 것이 느껴지는 이 사랑의 아궁이가 어딘가 암흑으로 사라지기 위해 한때 흔들리고 있는 작은 불꽃에 지나지 않는단 말인가.’

 

그는 자연을 동경하여 산에 올랐지만 그 산을 두려워했다. 어느 날, 그는 산에 올라 우주의 시간을 생각하고 자신의 미천함을 깨달았던 모양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미물인 자신이 우주가 빚어낸 산 앞에서 시간 너머의 세계를 가늠하곤 감히 그곳으로 들어가서 비벼대는 일을 두려워했던 것이다. 그가 남긴 장자적 사유는 어떤가. 잡새의 소확행 류의 저 차원의 자유를 찬양하던 사람들에게 붕새의 대자유를 설명하듯 소요유를 잡고 있다.

 

, 인간의 초라함이여. , 세계의 왜소함이여, 이런 그림을 앞에 두고 그대들은 무엇인가. 이 빛의 나라, 이 순결의 영토에서 바라볼 때, 그대는 대체 누구인가?’

 

최후의 인간이 최후의 오두막 그 폐허 위에서 멸망할 때 소크라테스의 사상, 셰익스피어의 창조, 라파엘로의 심상, 베토벤의 꿈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우리는 동시에 두 개의 세계에서 살고 있다. 그것은 둘이 다같이 무궁하며 멋지기 때문이다. 두 개의 세계 중 어느 것이 꿈이고 어느 것이 현실이란 말인가?’

 

또한 그가 남긴 산과 계곡, 폭포, 광막한 알프스의 준봉들을 표현한 심상은 어떤가. 기가 막힌다. 나는 그가 남긴 주옥 같은 자연에 대한 표현이 산악인의 글에서 나오게 되었음을 깊이 감사하고 고마워하고 있다. 산을 사랑하여 산에서 한 평생 놀다 가고자 한 것이 자신의 유일한 철학이라 말했던 에밀 자벨은 그 깊은 철학적 사유에 더하여 산이 그를 사랑하는데 까지 이르지 않았나 한다. 왜냐하면 산이 그를 데려갔기 때문이다. 너무나 아까운 36년 짧은 해를 산과 함께 보내어 산이 그를 놓아주지 않았던 것이 아니겠는가.

 

이 책은 그의 사후에 펴낸 유고집이다. 주로 그의 등반기가 주를 이루지만 그는 등반기를 쓴 산악인이라기 보다는 문학적 글쓰기를 하는 산악인이었다. 글은 심오하고 깨끗하다. 인간의 뇌를 꺼내 풍욕시키는 매력이 있는 글이다. 1991년 국내에 처음 소개되어 현재는 절판된 귀한 책이다. 그래서 책의 구성은 매우 단조롭다. 더 이상 단조로울 수 없을 만큼이지만 그 묵직한 단순함 속에 무거운 배낭을 메고 말없이 묵묵히 걸어가는 한 등산가의 강철 같은 신념을 읽을 수 있다. Emile javelle, 그가 마치 나였다는 느낌 때문이었을까 나는 그의 표현을 많이 인용하기도 했다. 오늘 죽은 산악인을 다시 살려내 내 옆에 앉혀 본다.


 

IP *.77.156.75

프로필 이미지
2021.10.07 16:56:10 *.169.227.25

같은 생명을 가진 사람이 달라지는 이유... 

덧없음을 알면서도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신 앞에 겸손할 수 있는 그런,

그래서 파스칼이 그랬을까요 ? 

인간은 

자연 앞에 여리고 여린 한 낱 갈대에 지나지 않지만 스스로의 위대함을 알지 못하는 자연보다도 

인간이 더 위대한 것은 자신이 하찮은 존재라는 것을 자각한다는 것이라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5 [수요편지] 전문가에 대한 미신 불씨 2024.03.27 94
4334 [내 삶의 단어장] 코인, 영어 할배 [1] 에움길~ 2024.03.12 109
4333 [수요편지] 거시와 미시 불씨 2024.03.13 158
4332 [수요편지] 목적을 위한 삶, 삶을 위한 목적 [1] 불씨 2024.03.06 174
4331 [책과 함께] 모든 나라의 역사는 같다 /피의 꽃잎들 [1] 에움길~ 2024.02.27 194
4330 [수요편지] 행복에 대한 또다른 이런 저런... [1] 불씨 2024.02.28 205
4329 [내 삶의 단어장] 바구니, 진정성 [2] 에움길~ 2024.02.20 209
4328 [내 삶의 단어장] 덧없이 흐르는 이야기: 마그리트와 프랑스어와 루이비통 [1] 에움길~ 2024.03.05 214
4327 [내 삶의 단어장] 각인, 그 무엇으로부터도 에움길~ 2024.01.30 224
4326 [내 삶의 단어장] El Condor Pasa 철새는 날아가고, 나는 편안하고 [1] 에움길~ 2024.03.19 238
4325 [내 삶의 단어장] 호박, 마법 또는 저주 [1] 에움길~ 2024.02.06 242
4324 [수요편지] 행복에 관해 헷갈려 하지 말아야 할 것들 불씨 2024.02.21 259
4323 [수요편지] 답 없는 리더 [1] 불씨 2024.02.07 270
4322 언제나 들리는 소리 어니언 2023.12.21 271
4321 [수요편지] 잠 못 드는 밤 비는 안 내리네 [2] 불씨 2023.11.22 289
4320 [수요편지] 흉터 [2] 불씨 2024.02.14 294
4319 안 해도 좋았을 도전이란 없다 어니언 2023.12.07 309
4318 [수요편지] enlivenment 불씨 2023.12.20 325
4317 [내 삶의 단어장] 엄마! 뜨거운 여름날의 수제비 에움길~ 2023.11.13 326
4316 [수요편지] 삶의 문제를 대하는 자세 불씨 2024.01.31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