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나의

일상에서

  • 한정화
  • 조회 수 3956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5월 24일 13시 00분 등록

로댕의 '지옥의 문'에 반했다.
영웅의 여정 중 '첫관문'의 모티브로 로댕의 '지옥의 문'을 그림 속에 넣으려 한다. 로댕의 작품들을 사진으로 보면서 육체가 부드럽고 표정들이 부드럽다는 것을 느꼈다.

지옥의 문에 수많은 인간을 담아내다니 로댕은 위대하다.

s-20100522-3.JPG


s-20100522-2.JPG

s-20100522-4.JPG

s-20100522-5.JPG

s-20100523-1.JPG

23일은 늦깨 일어나서 얼마 그리지 않았다.

단테의 신곡에 반한 로댕.
강철의 연금술사에 반한 나.
단테의 신곡의 7가지 죄악을 캐릭터로 담아낸 '강철의 연금술사'에는 로댕의 '지옥의 문'이 나온다.
'진리의 문'이라는 것이 연금술사가 술법을 행할 때, 쾅하고 앞에 나타나는 것인데, 그 속 안에서는 지식이 폭포 쏟아지듯이 연금술사의 머리속으로 쏟아져 들어간다. 그런데 그 문은 다른 세상으로 연결시켜주는 통로이다.
물리학에서 말하는 웜홀과 같은 것이다.

'첫관문'이란 것을 그리려 했을 때 가장 먼저 '진리의 문(=로댕의 지옥의 문)'이 떠올랐다.
내가 몇달동안 연금술에 빠져 지냈기 때문일 것이다.

영웅의 여정...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것, '문'.
그 문을 통과하고 나면 세상이 달라보일까?
연금술사의 머리 속에 세상의 진리라고 하는 것들이 쏟아져 들어갔으니 이전과는 달라보일지 모르겠다.

(단군 프로젝트에 '매일 그리기'를 계획하여... 당분간 100일 창작은 '단군의 후예들' 이라는 다른 게시판으로 옮겨갈 겁니다. )  



IP *.93.45.60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4 23:44:46 *.75.6.40
그 문을 지났다고 해서
없던 것이 보이지는 않겠지?  다만 못 보던 것이 보이는 것이겠지.
하긴 ,,,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것은 없는 것이니까...

우리같은 일상의 보통사람들에게는
그 문은 그럴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


프로필 이미지
2010.05.25 17:54:53 *.93.45.60
음. .. 보여도 못보는 저. ^^*
그냥그냥 볼 뿐이죠. 그래서 그냥그냥 안보이죠. 헤헤헤.

그림 그릴 때, 선생님이 보시는 걸 저는 못봐서 무슨 말인지 못알아 듣고 선생님은 보이시니 제가 답답한 제자이고.... 그래요. 앞에 뻔히 같이 보는 데, 누구는 보고 누구는 못보고.
 그런 일이 아주 많이 겪어요. 어느 때인가는 보는 데, 왜 보는지도 모르고 보기도 하고. 그것을 안다고 다 보이는 것도 아니라서....
프로필 이미지
idgie
2010.05.28 08:46:25 *.193.194.24
지금 시립미술관에서 로댕전을 한다는 플랭카드를 봤지. 같이 가고프다. 언젠가는 가겠지. 로댕에 빠졌던 친구 하나가 몹시 그리웠어. 그 플랭카드를 봤을 때. 지금은 베트남에 있지. 이젠 소식도 끊어졌어. 내가 핸드폰 잃어버리는 바람에.  그녀의 다음블로그 주소로 잃어버리고.  명사치매증세가 오는 건지, 용량초과상태로 사는 것인지. ㅎ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 뛰어들다. [3] 맑은 2008.01.31 3831
295 [Human transition] 9. 노력은 행운과 친하다-2 홍승완 2003.07.27 3839
294 시작합니다 [8] 사무엘 2007.03.14 3840
293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은행1 : 그라민 은행의 탄생 홍승완 2005.02.07 3842
292 책쓰기로 1인기업 세우기 file [3] 구직자 2007.07.17 3844
291 <식염수양의 좌충우돌 서점일기> ‘그날이 오면’ 서... [7] 식염수 2007.11.22 3845
290 고객을 영웅으로 만드는 법 구본형 2006.06.23 3846
289 [선물] 어떤 수건 좋아하세요? [6] 강미영 2010.07.06 3852
288 그림 다시 그리다. file [7] 맑은 김인건 2010.07.27 3863
287 땀과 눈물. 고단했던 나의 이민. file [2] 예종희 2014.01.27 3871
286 [Human transition] 6. 변화를 지속시키는 방법-2 홍승완 2003.06.22 3872
285 3M의 혁신 이야기3 홍승완 2005.03.03 3877
284 맛을 보아야 그 어울림을 알 수 있지요 [1] 박상진 2004.01.06 3891
283 [Human transition] 5. 상징과 의식 [2] 홍승완 2003.06.22 3898
282 지옥의 포도 단식(3) [1] 삐걱 줌마 2007.11.02 3899
281 콘텐트 단식 [1] 맑은 2008.04.06 3902
280 IDEO의 나이트라인 프로젝트 홍승완 2004.12.31 3903
279 나를 뽑으려고 하는 사람의 4가지 질문 [2] 신밧드의보험(푸른약속) 2007.07.12 3908
278 아티스트웨이와 그 효과 [2] 맑은 2007.11.15 3913
277 재미있는(?)전략이야기-전략의 어원, Strategus [1] crepio 2009.09.14 3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