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연구원

연구원

  • 현정
  • 조회 수 3036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8년 6월 17일 10시 09분 등록
1) 내가 알고 있는 세계사 중 가장 인상 깊은 장면 하나를 묘사할 것

마가렛 생어 (Margaret Sanger) 1879~ 1966, 미국 사회운동가, ‘산아제한운동’제창

1914년 어느 날 뉴욕의 한 빈민가 병원(이스트 사이드 요양원)에서 일하던 간호사 마가렛은 그녀가 돌보던 환자가 유산 후유증으로 숨지는 것을 보게 된다.

그녀의 환자는 이번에도 혼자서 유산을 시도하다가 응급실에 실려왔다. 그녀의 환자는 트럭
운전사의 부인이었는데 혼자서 유산을 시도하다가 후유증을 통해 죽게 되었다. 사실, 그 이
전에도 그 부인은 혼자서 유산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처음 혼자서 유산을 시도해 죽을 뻔
했을 때, 그녀는 의사에게 임신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며 피임할 방법을 가르쳐 달라고 했
었다. 그러자, 의사는 “당신 남편더러 지붕에 올라가 자라고 하세요.” 라고 무책임하게 비아
냥 거렸었다. 그 일이 있은 후 얼마 되지 않아 또 원하지 않은 임신을 하자 다시 혼자서 유
산을 시도 하였고 그로 인해 죽게 된 것이다.

마가렛은 그녀의 죽음을 보면서 자신의 어머니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평생 18명의 아이를 임신을 했고 그 중 11명을 낳았었다. 그녀는 어머니가 잦은 임신과 유산으로 인해서 건강을 해쳤고, 무능한 아버지 밑에서 적은 수입으로 11명의 아이들을 기르느라고 너무 쇠약해져서 40대에 일찍 돌아가셨다고 늘 생각을 해 왔던 터였다. 그 뿐 아니었다. 그녀가 근무하는 병원에서도 출산과 관련된 여성들의 죽음은 매우 빈번했다. 간호사로 일하던 마가렛은 다산이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었다. (당시는 의료 수준이 낮아 산욕열로 죽는 산모도 무척 많았었다.)

그 자신이 벌써 안정된 중산층 가정의 세 자녀의 어머니였지만, 그 날 마가렛은 자신이 남은 일생 동안 무엇을 해야 할지를 알게 되었다. 출산과 유산과 관련하여 대를 물리는 여성들의 죽음이 연상이 되었고, 그녀는 자신이 여성들을 이 질병과 죽음의 공포로부터 지켜 주어야 한다고 생각을 했다. 그 날 그녀의 머리는 재빨리 돌기 시작했고, 순식간에 그녀가 왜 피임법을 여성들에게 알려야 하는지, 그리고 피임을 금지하는 미국의 법에 반대를 해야 하는지가 명확하게 보였다.

‘여성들을 질병과 죽음의 공포로부터 해방을 시키기 위해서는 섹스와 임신이 분리가 되어야 한다. 성생활을 해도 임신이 안 되는 방법이란 피임밖에 없다. 만약 임신할 염려 없이 자유롭게 성생활을 할 수 있다면, 건강뿐 아니라 남성으로부터의 자유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 후 산아제한이라는 이 세상에서 가장 마녀적이고 부도덕한 운동을 시작한 그녀를 아무도 말릴 수 없었다.

<마가렛 생어의 연보>
1897년 미국의 뉴욕주 코닝에서 탄생, 11남매 중 여섯째, 네 딸 중 셋째
어머니 앤은 아일랜드계 로마 카톨릭 신자
아버지는 비석 가제를 운영하며 석수 일을 겸하고 있었음.
1914년 산아 제한 운동 시작
‘여성의 반란’ , 라는 페미니즘 잡지 창간
‘가족제한 Family limitation’ 이라는 피임 기술에 대해 세밀하게 기록한 책자 유포한 혐의로 구속의 위기를 맞음.
구속의 위기를 피해 유럽으로 망명.
1915년 미국으로 귀국
1916년 동생 에델 번과 함께 산아 제한 전문 진료소인 브라운스빌 의료원을 개원하여 피임장치 시술. 경찰에 의해 강제 폐쇄되기 전 열흘 간 브루클린에 사는 주부 488명에게 피임장치 시술
1917년 ‘가족제한’이라는 책의 출판과 관련하여 투옥되었으나 운동이 전국에 알려지는 효과를 얻음.
‘성병 치료와 예방을 위해 여성에게 피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의사에게 준다’ 는 판결을 받음.
1923년 의사, 사회주의자, 자선 사업가들의 재정 후원을 얻어 ‘산아 제한 의료 연구소’설립.
전문의들로 구성된 이 연구소에서 한나 스턴 박사가 피임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임상실험과 의료 기록을 체계화함.
의사들에게 피임 교육을 실시함.
1936년 끈질긴 법정 투쟁으로 풍속교란방지법 철폐
1937년 미국 의학 협회에서 ‘피임을 의료 기관에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합법적인 부문으로 인식한다’는 결의안을 이끌어 냄.
1942년 국제가족계획협회의 초대 회장직을 역임.
로비활동으로 자금을 마련하여 경구용 피임약 개발에 이바지
그녀의 활동이 일본과 인도에까지 미침
1960년 미국 내에서 경구용 피임약이 시판됨
1965년 코네티컷 주의 피임금지법(기혼 여성에게도 금지 되어 있었음)이 위헌 판결.
1966년 사망

참고문헌 : 참 아름다운 도전 1, 이병철 엮음, 명상 출판사
인터넷 Times




Margaret Sanger
Her crusade to legalize birth control spurred the movement for women's liberation
By GLORIA STEINEM

Monday, April 13, 1998
The movement she started will grow to be, a hundred years from now, the most influential of all time," predicted futurist and historian H.G. Wells in 1931. "When the history of our civilization is written, it will be a biological history, and Margaret Sanger will be its heroine."

Though this prophecy of nearly 70 years ago credited one woman with the power that actually came from a wide and deep movement of women, no one person deserves it more. Now that reproductive freedom is becoming accepted and conservative groups are fighting to maintain control over women's bodies as the means of reproduction, Sanger's revolution may be even more controversial than during her 50-year career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battles. Her experience can teach us many lessons.
She taught us, first, to look at the world as if women mattered. Born into an Irish working-class family, Margaret witnessed her mother's slow death, worn out after 18 pregnancies and 11 live births. While working as a practical nurse and midwife in the poorest neighborhoods of New York City in the years before World War I, she saw women deprived of their health, sexuality and ability to care for children already born. Contraceptive information was so suppressed by clergy-influenced, physician-accepted laws that it was a criminal offense to send it through the mail. Yet the educated had access to such information and could use subterfuge to buy "French" products, which were really condoms and other barrier methods, and "feminine hygiene" products, which were really spermicides.

It was this injustice that inspired Sanger to defy church and state. In a series of articles called "What Every Girl Should Know," then in her own newspaper The Woman Rebel and finally through neighborhood clinics that dispensed woman-controlled forms of birth control (a phrase she coined), Sanger put information and power into the hands of women.
While in Europe for a year to avoid severe criminal penalties, partly due to her political radicalism, partly for violating postal obscenity laws, she learned more about contraception, the politics of sexuality and the commonality of women's experience. Her case was dismissed after her return to the States. Sanger continued to push legal and social boundaries by initiating sex counseling, founding the American Birth Control League (which became, in 1942, the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of America) and organizing the firs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Eventually her work would extend as far as Japan and India, where organizations she helped start still flourish.
Sanger was past 80 when she saw the first marketing of a contraceptive pill, which she had helped develop. But legal change was slow. It took until 1965, a year before her death, for the Supreme Court to strike down a Connecticut law that prohibited the use of contraception, even by married couples. Extended to unmarried couples only in 1972, this constitutionally guaranteed right to privacy would become as important to women's equality as the vote. In 1973 the right to privacy was extended to the abortion decision of a woman and her physician, thus making abortion a safe and legal alternative — unlike the $5 illegal butcheries of Sanger's day.
One can imagine Sanger's response to the current anti-choice lobby and congressional leadership that opposes abortion, sex education in schools, and federally funded contraceptive programs that would make abortion less necessary; that supports ownership of young women's bodies through parental-consent laws; that limits poor women's choices by denying Medicaid funding; and that holds hostage the entire U.S. billion-dollar debt to the United Nations in the hope of attaching an antiabortion rider. As in her day, the question seems to be less about what gets decided than who has the power to make the decision.
One can also imagine her response to pro-life rhetoric being used to justify an average of one clinic bombing or arson per month — sometimes the same clinics Sanger helped found — and the murder of six clinic staff members, the attempted murder of 15 others, and assault and battery against 104 more. In each case, the justification is that potential fetal life is more important than a living woman's health or freedom.
What are mistakes in our era that parallel those of Sanger's? There is still an effort to distort her goal of giving women control over their bodies by attributing such quotes to Sanger as "More children from the fit, less from the unfit — that is the chief issue of birth control." Sanger didn't say those words; in fact, she condemned them as a eugenicist argument for "cradle competition." To her, poor mental development was largely the result of poverty, overpopulation and the lack of attention to children. She correctly foresaw racism as the nation's major challenge, conducted surveys that countered stereotypes regarding the black community and birth control, and established clinics in the rural South with the help of such African-American leaders as W.E.B. Du Bois and Mary McLeod Bethune.
Nonetheless, expediency caused Sanger to distance herself from her radical past; for instance, she used soft phrases such as "family planning" instead of her original, more pointed argument that the poor were being manipulated into producing an endless supply of cheap labor. She also adopted the mainstream eugenics language of the day, partly as a tactic, since many eugenicists opposed birth control on the grounds that the educated would use it more. Though her own work was directed toward voluntary birth control and public health programs, her use of eugenics language probably helped justify sterilization abuse. Her misjudgments should cause us to wonder what parallel errors we are making now and to question any tactics that fail to embody the ends we hope to achieve.
Sanger led by example. Her brave and joyous life included fulfilling work, three children, two husbands, many lovers and an international network of friends and colleagues. She was charismatic and sometimes quixotic, but she never abandoned her focus on women's freedom and its larger implications for social justice (an inspiration that continues through Ellen Chesler's excellent biography, Woman of Valor: Margaret Sanger and the Birth Control Movement in America). Indeed, she lived as if she and everyone else had the right to control her or his own life. By word and deed, she pioneered the most radical, humane and transforming political movement of the century.
Gloria Steinem is a co-founder of Ms. magazine and author of Revolution from Within


2) 내 개인의 역사 속에서 가장 중요한 도약이 이루어 졌던 장면에 대하여

나의 가장 큰 도약은 내 의식의 저 밑에서 왔다. 그 무엇보다도 ‘내가 내 삶이 주인’이라는
관념을 갖기 시작하면서 였는데 그 과정을 다음과 같았다.

2005년 10월 어느 날, 나는 마케팅 리서처였다. 새로운 상품의 시장을 분석하는 일, 그 일
의 본질을 나는 좋아했다. 그러나, 고학력 사회인 한국에서, 마케팅 리서치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와 결부된 밤샘근무와 야근의 연속, 그로 인한 누적된 피로와 건강의 악화. 휴식의 부
재 등은 좋아하기가 쉽지 않았다. 휴식이 없는 삶은 내 육체적인 건강 이외에 정신적인 건
강까지도 빼앗아 가고 있었다.

일은 자꾸 나와 분리되어 갔고, 인생이 허무했으며, 내 영혼이 자꾸 죽어감을 느꼈다. 내 영
혼과 몸이 분리 되었고 그 분리의 시간이 차츰 길어져 갔다. 나는 그냥 아무 의미 없이 하
루를 보내고 있었고, 어떤 날은 아침에 하루가 재발 빨리 지나가기를 빌기도 했다. 정신을
차려보면 한 달이 지나가 있었고, 또 정신을 차리면 여섯 달이 훌쩍 지나가 있었다. 그 상
태로는 백 만년 아니 천만년을 살아도 죽은 거나 다름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그 즈음, 오래 전부터 간직해 온 ‘내 자신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다시 꺼내어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있었다. 영혼에 대한 책들을 읽기 시작했다. 주말도 없고, 야근의 연속인 회사였지만 그 안에서도 나는 영혼을 찾아 헤매었다. 절대 그 문제를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편집증에 걸린 사람처럼 끊임없이 파고들었다. 파고 들고 또 파고 들었다.

그 날, 야근을 하고 있을 때였다. 나는 내 안에 누군가가 말하는 소리를 들었다.
“너 지금 행복하니?”
나는 답했다.
“아니, 나는 날마다 행복해지기로 결심하지만 자꾸만 다른 쪽으로 끌려가고 있어. 나도 나를 통제하기가 힘들어.”
“그럼, 계속 이렇게 살고 싶니?”
“아니, 행복해지고 싶어. 행복하게 살고 싶어.”
“그럼, 그건 누가 해 줄 수 있을까?”
“아, 알 것 같아. 그건 나야. 바로 나.”

아, 그거였다. ‘나’였다. 내 인생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것도, 내 영혼을 다시 살려
낼 수 있는 것도, 내 삶에 의미를 부여해 줄 수 있는 것도. ‘내 자신’뿐이었다.

‘오랫동안 열쇠를 내가 쥐고 있었으면서 정작 나는 몰랐구나. 회사도, 가족도, 친구도, 사회
도 아닌 바로 ‘내’가 쥐고 있으면서도 몰랐구나.’

순간, 마음이 편안해졌다. 그리고 지금은 몹시 지쳐 있지만 그 지친 ‘나’를 잘 달래서 다시
정상의 상태로 회복시켜 두어야 겠다고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그날 밤 나는 나를 달래 줄 선물을 하나 내 자신에게 해 주어야 겠다고 생각을 했고 그 선물로 ‘혼자만의 배낭 여행’을 골랐다.

가까운 친구들과 상의를 했으나 모두들 나를 말렸다. 나도 알고는 있었다. 현실적인 잣대로는 내가 선택이 옳지 않다는 사실을.

그러나 나는 또한 알고 있었다. 이 세상 그 모두가 나를 반대 한다 해도 지금은 다시 ‘나를 찾을 때’이고 거기에 미쳐야 한다는 사실을. 그래서, 더 이상 질질 끌려가는 ‘내’가 아닌 내 자신을 이끌어 가는 ‘나’로 살아야 한다는 사실을.

나는 모든 것을 버리고 원점으로 돌아가기를 바랬다. 그 무모하고도 담대한, 모든 것을 버리기로 결심한, 그 여행길에서 나는 새로운 사실들을 하나씩 알게 되었다.

내 삶의 주인이 나이며, 그 어느 누구도 내 인생을 바꾸지 못한다는 사실을. 지금의 나 자신이 맘에 안 든다면 그것은 모두 내가 만든 것이며, 맘에 안 드는 나를 고칠 수 있는 것도 나 자신뿐이라는 사실을. 나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것도 불행하게 만드는 것도 모두 나라는 사실을. 나를 바꾸지 못하면 세상도 절대로 달라질 수 없다는 사실을. 억울하지만 지금의 나를 만든 것도 모두 나라는 사실을.

그리고 많이 반성했다. 내 스스로 패배감에게 자리를 내어 주었던 그 많은 날들을, 해 보지도 않고 ‘할 수 없다’고 포기했던 그 많은 세월들을.

여행에서 새로 만난 나는 이전의 나와는 매우 다른 모습이었다. 새로운 것을 대할 때 서슴지 않을 정도로 용감했고, 어느 나라 사람을 만나도 친해질 수 있을 정도로 사교적이었으며, 빈 손으로 공짜 저녁을 몇 번이나 얻어 먹을 정도로 행운을 끌어들이는 사람이었다.

나는 두려워하고, 폐쇄적이며, 약해 빠지고, 불운한 나를 그 여행길에 모두 버렸다.

다시 나를 사랑하게 되었고 두려움 없이 세상과 맞서자는 결심을 했다.


3) 도약이 이루어 진 다음 그것은 지속되었나? 아니면 중단 되었나? 도약이 이루어 진 다음에 새로운 차원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장악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그 이후 2년 정도 나는 또 다른 가벼운 도약들을 거친다. 하나는 한 의식 전환 프로그램을
통해서 였고, 또 다른 하나는 모닝 페이지를 통해서였다.

여행은 나에게 어렴풋한 ‘나’라는 존재를 받아들이게 했으며 ‘나’를 다시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그 동안 벌었던 돈을 모두 탕진했고 나는 무일푼이었지만 이상하게도 나는 행복했다. 내 생각엔 그 이상한 마약이 지속이 되어야 할 것 같았다. 그렇게 살다가 죽으면 후회 없을 것 같았다.

그 마약을 지속시키는 법, 뭔지 모르겠지만 방법이 있을 것 같았다. 그 방법을 찾아 헤매이기 시작하는 나의 편집증은 다시 시작됐다. 나는 한 의식 전환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그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낌없이 나를 다시 시험하기 시작했다. 그 프로그램을 통해서 나는 한 가지 확고한 깨달음을 얻었다. “내 인생 내가 만드는 거구나.“ 이 깨달음을 얻은 후 나는 환경 탓, 상황 탓, 타인 탓을 하지 않기 시작했다. 그제서야 제대로 내 인생의 주도자가 된 것 같았다. 불평이 줄었고 훨씬 행복해졌다.

이제서야 나로 돌아왔지만 쉽게 흔들리기도 했다. 무엇이든 이런 상태를 지속시킬만한 일을 찾고 싶었다. 우연히 의식 전환 프로그램에서 알게 된 지인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모닝 페이지’모임을 알게 되었고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

모임의 장소가 회사에서 매우 멀었고 (인천 공항  예술의 전당) 모임 내에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그러나, 내 가슴이 나에게 명령을 했다. “그 모임에 참여해. 그걸 해야 해.”

솔직히 처음에는 별로 기대를 하지 않았다. 혼자 하면 될 걸 굳이 모임까지 만들어 이런 것을 해야 하나 싶었다. 그러나 나는 가슴이 심하게 시키는 걸 그대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냥 몰입했다. 12주 동안 이게 나한테 뭘 가르쳐 줄라나 궁금했다. 호기심 쟁이에다 노는 것 좋아하는 내가 회사, 집, 모닝 페이지 빼고 나머지는 다 정리했다. 몰입을 하기 시작했다.

12주 동안 나는 서서히 변했다. 날마다 아침에 무언가를 써 나아간다는 것은 정말 경이로운 일이었다. 적어도 그것을 쓰는 동안에 나는 나와 대화를 하고 있었고 인생에 새로운 해답을 얻었고 잘못된 것을 고칠 힘을 얻었다. 무엇보다도 날마다 나는 새로운 날을 시작하고 있었다.

12주 동안 빠짐없이 모닝 페이지를 쓰고 나자 나에게 있었던 잘못된 자아 이미지 “나는 끝을 맺지 못한다.” 가 없어졌다. 대신 자부심이 나를 가득 채웠다. 나는 끝도 아주 잘 맺는 사람이구나. 12주 동안 이지만 나는 그 누구보다도 몰입을 할 수 있는 사람이었구나. 매일매일 성공하면 나머지 내 생도 성공으로 만들 수 있겠구나. 나는 알고 보니 에너지가 많았던 사람이었구나. 그랬었구나. 그랬었구나.

모닝 페이지 활동을 통해서 나는 내가 글을 쓸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깊게 사유하거나 현학적이거나 그런 글은 못 쓰겠지만 진솔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는 쓸 수 있겠구나. 그리고 그것이 나에게 많은 힘을 주는구나.

그리고 모닝 페이지가 인연이 되어, 한숙 언니의 고마운 권유로 나는 변경연 연구원에 지원
을 하게 되었다. 변화! 나는 그것에 맛을 들인 것 같다. 뭔지 모르겠지만 여기 변경연에서도
나는 또 다른 나의 변화를 겪게 될 것 같다.

이 모든 경험을 겪으면서 얻게 된 결론 하나,

가장 장악해야 할 요소는 내 안에 있는 의식 즉 ‘나’라는 관념의 근원이다. 거기에 흔들림이 생기면 모든 것은 너무도 쉽게 무너진다. 무슨 일이 있어도, 어떤 실수가 있어도, 어떤 실패가 있어도 잘 다독여서 그것이 무너지게 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나를 매우 사랑해야 한다. 그리고 나를 믿어야 한다.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나를 사랑하기 시작하면 모든 어려움을 풀리게 되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매일 매일의 나를 무너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일 매일 새로운 나와 대화하고 새로운 나를 인정해 주는 것. 매일 매일 조그만 성공을 해 나아가는 것 그것을 나는 지금 연습하고 있다.
IP *.84.242.254

프로필 이미지
안나
2008.06.22 12:17:49 *.49.55.199
나를 믿어주는 것, 나를 사랑하는 것 저에게는 쉽지 않아요. 믿어주려고 해도 번번히 일을 그르치는 이 녀석을 어찌 해야 할지 고민 중이였어요. 하지만 믿어주고 사랑해 주는게 먼저였네요. 읽은 후에 여운이 남아서 몇마디 적어요. 언젠가 인연이 닿는다면 곡 한번 만나고 싶네요. 오늘부터 기도해야쥐~ 이루어져라~ 얍!!!
프로필 이미지
현정
2008.06.22 17:15:48 *.72.227.114
안나님...저도 뵙고 싶네요..
저도 참 오래 걸렸나봐요..나를 믿어주고 사랑해 주는 법을 배우기 까지...왠지..안나님은 저보다 더 빨리 배우실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