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익상
- 조회 수 2027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이제 연구원 활동을 시작한지 3주가 지났다. 그동안 어떻게 시간이 흘러갔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바쁜 일상을 보냈다. 하지만 그건 분명 이전의 일상과는 분명히 다른 일상이었다. 이제 일상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일상을 '만들어'간다는 느낌이 커져가고 있다. 가장 기분 좋은 느낌중의 하나이다. 또 하나 달라진 점은 시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새삼스런 인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주어진 과제를 마감 시간 내에 제출하려면 내게 주어진 24시간 중에서 어떻게든 일정 부분을 떼어내어 책을 읽고 생각하고 내용을 정리하는 데 할애를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시간관리가 필요했고 아직 여러 가지 실험이 진행중이다. 가끔은 책을 읽으면서도 내가 책 읽는 것 자체를 즐기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슬며시 웃음이 나오곤 하는데 그러면 한 숨 돌리고 여유를 찾으려고 노력한다.
그렇게 책을 읽는 동안 왜 책을 읽어야 하느냐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봉착하기도 한다. 한동안 놓았던 책을 다시 펼쳐 든 것은 약 1∼2년 전부터였던 것 같다. 하지만 그것이 책 자체가 주는 즐거움 때문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사람은 누구나 어려운 시기를 보낼 때 누군가 옆에서 도와주고 조언을 해줄 만한 대상을 찾게 된다. 그 방법이나 대상이야 저마다 처한 상황과 경중이 다르므로 한 마디로 답할 수 없을 것이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시킨 것도 아닌데(아마 이건 사교적이지 못한 내 성격 탓일 것이다) 그 당시 나에게는 책이 유일한 돌파구임을 직감했던 것 같다. 돌이켜 생각해 보니 살아오면서 힘들고 어려웠을 때 유일한 친구가 되어 준 것이 바로 책이었다. 나는 예전에는 한 권의 책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꿔놓는 일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것도 가능한 일이라 여겨질 정도로 책이 나에게 끼친 영향은 큰 것이다.
하지만 나는 두 번 다시 책의 힘을 빌어 나 자신을 바로 세우려는 노력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니 사실은 그런 상황을 두 번 다시 만들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책을 읽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에서 언제라도 시작할 수 있고 쉽게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무시하게 되는 일이 바로 독서라는 생각이 든다. 독서가 위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그 힘을 발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살아가는 힘을 일상으로부터 얻어내는 능력. 그것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독서에도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나는 지금 그 훈련을 하고 있는 셈이다. 나는 고도의 집중력을 가진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도 가능하면 책상 위 독서대에 책을 올려놓고 읽는 것이 편하다. 하지만 이 훈련을 통해 얻고 싶은 것 중의 하나가 고도의 집중력이다.
나는 막연하나마 이 훈련을 무사히 마친 후 터득하게 될 어떤 통찰력 같은 것을 갈망하고 있다. 그 통찰력을 통해 남과 다르게 혹은 다른 각도에서 사물을 볼 줄 아는 힘, 다른 각도에서 생각하는 힘, 내 생각을 정리해서 나 자신과 남에게 설득력 있게 풀어 보일 수 있는 힘... 그런 것 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갖고 싶은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착하고 따뜻한 시선이다. 책을 읽다가 그런 시선을 갖게 된다면 참 좋은 일일 것이다.
신영복 선생님의 <강의>에 이런 구절이 있다. "마음(心)이 좋다는 것은 마음이 착하다는 뜻입니다. 착하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배려할 줄 안다는 뜻입니다. 배려한다는 것은 그 사람과 자기가 맺고 있는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IP *.74.173.84
그렇게 책을 읽는 동안 왜 책을 읽어야 하느냐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봉착하기도 한다. 한동안 놓았던 책을 다시 펼쳐 든 것은 약 1∼2년 전부터였던 것 같다. 하지만 그것이 책 자체가 주는 즐거움 때문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사람은 누구나 어려운 시기를 보낼 때 누군가 옆에서 도와주고 조언을 해줄 만한 대상을 찾게 된다. 그 방법이나 대상이야 저마다 처한 상황과 경중이 다르므로 한 마디로 답할 수 없을 것이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시킨 것도 아닌데(아마 이건 사교적이지 못한 내 성격 탓일 것이다) 그 당시 나에게는 책이 유일한 돌파구임을 직감했던 것 같다. 돌이켜 생각해 보니 살아오면서 힘들고 어려웠을 때 유일한 친구가 되어 준 것이 바로 책이었다. 나는 예전에는 한 권의 책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꿔놓는 일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것도 가능한 일이라 여겨질 정도로 책이 나에게 끼친 영향은 큰 것이다.
하지만 나는 두 번 다시 책의 힘을 빌어 나 자신을 바로 세우려는 노력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니 사실은 그런 상황을 두 번 다시 만들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책을 읽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에서 언제라도 시작할 수 있고 쉽게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무시하게 되는 일이 바로 독서라는 생각이 든다. 독서가 위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그 힘을 발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살아가는 힘을 일상으로부터 얻어내는 능력. 그것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독서에도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나는 지금 그 훈련을 하고 있는 셈이다. 나는 고도의 집중력을 가진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도 가능하면 책상 위 독서대에 책을 올려놓고 읽는 것이 편하다. 하지만 이 훈련을 통해 얻고 싶은 것 중의 하나가 고도의 집중력이다.
나는 막연하나마 이 훈련을 무사히 마친 후 터득하게 될 어떤 통찰력 같은 것을 갈망하고 있다. 그 통찰력을 통해 남과 다르게 혹은 다른 각도에서 사물을 볼 줄 아는 힘, 다른 각도에서 생각하는 힘, 내 생각을 정리해서 나 자신과 남에게 설득력 있게 풀어 보일 수 있는 힘... 그런 것 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갖고 싶은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착하고 따뜻한 시선이다. 책을 읽다가 그런 시선을 갖게 된다면 참 좋은 일일 것이다.
신영복 선생님의 <강의>에 이런 구절이 있다. "마음(心)이 좋다는 것은 마음이 착하다는 뜻입니다. 착하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배려할 줄 안다는 뜻입니다. 배려한다는 것은 그 사람과 자기가 맺고 있는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9 | 흔들림에 대하여 [2] | 손수일 | 2005.04.11 | 2393 |
388 | [3] 21세기 최고의 마술 [1] | 오세나 | 2005.04.11 | 2700 |
387 | 지금이 그 때. [2] | 강미영 | 2005.04.11 | 2067 |
» | [주간칼럼_03] 독서는 나의 힘 [1] | 이익상 | 2005.04.11 | 2027 |
385 | <변화학 칼럼3> 새롭게 정의하라! [3] | 문요한 | 2005.04.11 | 2327 |
384 | [3] 시작의 끝(the end of the beginning) [2] | 홍승완 | 2005.04.10 | 2477 |
383 | 주간칼럼3-중소기업1:그들의 현실 | 박노진 | 2005.04.10 | 2120 |
382 | 공감(共感) [1] | 오병곤 | 2005.04.09 | 2233 |
381 | 아이 키우기에 대한 소견 [6] | 신재동 | 2005.04.05 | 2125 |
380 | 운명이라는 것 [3] | 손수일 | 2005.04.05 | 2305 |
379 | 인연의 끈에서 자유로워지기 [4] | 강미영 | 2005.04.04 | 2112 |
378 | [주간칼럼_02]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3] | 이익상 | 2005.04.04 | 2178 |
377 | <변화학 칼럼2> 살아 숨쉰다는 것 [4] | 문요한 | 2005.04.04 | 2556 |
376 | [2] 시간이 돈이 되는 시대 [2] | 오세나 | 2005.04.04 | 2077 |
375 | [2] 몰입 [4] | 홍승완 | 2005.04.04 | 2204 |
374 | 프로세스 개선을 제대로 추진하려면 [2] | 오병곤 | 2005.04.04 | 29081 |
373 | 나무를심는 사람들("지오노" 의 원작에서... ) [6] | 나무의기원 | 2005.04.03 | 4847 |
372 | 주간칼럼2 - 실패 [4] | 박노진 | 2005.03.31 | 2471 |
371 | 지성인과 지식인 | 장박사 | 2005.03.30 | 2484 |
370 | -->[re]그래도 아직은 살만한 세상 아닐까요? ^^ | 강미영 | 2005.03.31 | 19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