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노진
- 조회 수 2076
- 댓글 수 2
- 추천 수 0
마흔에 좋아하게 된 사람들
연구원 활동을 하면서부터 해야 할 일중의 하나가 내가 누구를 롤모델로 삼아 살 것 인가였다. 나이 마흔을 넘기면서 비로소 삶에 대한 애착과 진정성이 생겼다고 느낀 적이 부쩍 많아졌다. 아파트 한 채를 늘리기 위해 모든 시간을 그 욕망에 다 쓰고 만 지난 시간이 너무나 아쉬웠기 때문이다. 아직도 그 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욕망에서 삶의 진정성이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욕망을 이겨내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마흔의 중압감을 느껴야만 했고, 그러한 중압감속에서 내가 바라고 원하는 것에 대한 절박함을 찾아냈던 것이다. 특히나 20대나 30대의 열정이나 무모함이 사라지는 허망함속에 가슴속 깊숙한 곳에서 삶의 간절한 욕망을 다시 찾아내는 것이다. 그래서 만난 세 분의 존경하는 분들이 있다.
언제나 한결같은 그래서 엄격하고 단호한 그의 하루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항상 가슴 벅찬 구 본형 선생님이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마흔 이후의 삶을 다시 살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많은 것들을 바꾸게 되었다. 언제나 답을 알으켜 주시지 않는다. 당신 스스로 배우고 깨우친 것처럼 우리들에게도 한결같이 같은 모습이시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자신을 위해 2시간 정도를 투자해라. 하루를 이겨야 어제의 내가 내일의 내가 되지 않는다. 변화는 어느 날 갑자기 오지 않는다. 매일 매일을 수련해야만 내가 바라는 나가 될 수 있다.
선생님의 특별함을 배우고 싶은 것이 아니라, 평범한 하루를 나에게 투자하여 하고 싶고 잘하는 것을 직업으로 만들어 삶의 질을 높이는 그의 평범하지만은 않은 하루의 변화를 배우고 싶은 것이다. 언제나 그와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함을 느낀다.
30대 중반이었을 무렵 스스로 자만심에 빠진 적이 있었다. 난 참 잘난 놈이구나. 세상이 이렇게 쉽게 하고 싶은 데로 살 수 있는 것을 보니 별거 아니구나 한 적이 있었다. 신은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세상과 인간을 만들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치 않았다. 경영자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한편으로는 가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유한킴벌리 문 국현 사장을 만나고 나서였다.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즐겁게 누리며 살 수 있도록 하는 인간중심의 경영철학을 가지고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은 아닐 것이다.
4조 2교대제와 평생학습시스템 구축으로 고용증가 그리고 생산성과 수익성의 향상이라는 성과를 가져온 것은 한국적 경영모델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유한킴벌리식 경영모델이 국내 많은 중소기업들에게도 적용 가능한 경영시스템으로 만들어질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나 그의 윤리경영은 저절로 머리 숙여 스스로를 반성하게 만들고도 남는다.
돈이라는 부분에 남녀노소 누구나 민감하지 않은 이가 없을 것이다. 살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인지 돈을 벌기 위해 사는 것인지 모를 정도로 온 나라가 자본의 논리에 빠져 사는 느낌이다. 몇 년 사이 전국의 부동산가격이 폭등하다시피 해 빈익빈 부익부의 격차가 심해지고, 없는 사람과 젊은이의 허탈감을 더해 주고 있다.
토종자본으로 간접투자 시대를 연 미래에셋의 박 현주 회장을 최근 호감이 가는 인물로 정해 놓고 연구해 보고 있다. 그의 뛰어난 부의 축적 능력을 연구하고 싶은 것이 아니고 적립식 편드는 미래에셋으로 인지될 만큼 일반인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고, 평범한 샐러리맨들도 노후를 보장하고 부에 대한 조그마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의 금융재능을 조금이나마 알아보고 싶은 것이다. 돈이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하는 우리네 일상에서 돈맥을 읽는 탁월한 안목으로 한국판 워랜 버핏으로 불리는 그가 우리처럼 일반인들도 돈을 벌 수 있게 해 줄지 지켜볼 일이다.
세 분의 공통적인 면은 평범한 개인을 전문가로 만들어 주는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스스로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타고난 재능과 기질을 이해하고 강점을 계발하여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일로 만드는 전문가의 시대에 이 분들만큼 우리도 전문가가 되어볼 일이다. 어쩌면 이 분들의 직업적 특징들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가 만들어 나갈 나의 미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IP *.247.37.150
연구원 활동을 하면서부터 해야 할 일중의 하나가 내가 누구를 롤모델로 삼아 살 것 인가였다. 나이 마흔을 넘기면서 비로소 삶에 대한 애착과 진정성이 생겼다고 느낀 적이 부쩍 많아졌다. 아파트 한 채를 늘리기 위해 모든 시간을 그 욕망에 다 쓰고 만 지난 시간이 너무나 아쉬웠기 때문이다. 아직도 그 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욕망에서 삶의 진정성이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욕망을 이겨내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마흔의 중압감을 느껴야만 했고, 그러한 중압감속에서 내가 바라고 원하는 것에 대한 절박함을 찾아냈던 것이다. 특히나 20대나 30대의 열정이나 무모함이 사라지는 허망함속에 가슴속 깊숙한 곳에서 삶의 간절한 욕망을 다시 찾아내는 것이다. 그래서 만난 세 분의 존경하는 분들이 있다.
언제나 한결같은 그래서 엄격하고 단호한 그의 하루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항상 가슴 벅찬 구 본형 선생님이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마흔 이후의 삶을 다시 살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많은 것들을 바꾸게 되었다. 언제나 답을 알으켜 주시지 않는다. 당신 스스로 배우고 깨우친 것처럼 우리들에게도 한결같이 같은 모습이시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자신을 위해 2시간 정도를 투자해라. 하루를 이겨야 어제의 내가 내일의 내가 되지 않는다. 변화는 어느 날 갑자기 오지 않는다. 매일 매일을 수련해야만 내가 바라는 나가 될 수 있다.
선생님의 특별함을 배우고 싶은 것이 아니라, 평범한 하루를 나에게 투자하여 하고 싶고 잘하는 것을 직업으로 만들어 삶의 질을 높이는 그의 평범하지만은 않은 하루의 변화를 배우고 싶은 것이다. 언제나 그와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함을 느낀다.
30대 중반이었을 무렵 스스로 자만심에 빠진 적이 있었다. 난 참 잘난 놈이구나. 세상이 이렇게 쉽게 하고 싶은 데로 살 수 있는 것을 보니 별거 아니구나 한 적이 있었다. 신은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세상과 인간을 만들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치 않았다. 경영자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한편으로는 가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유한킴벌리 문 국현 사장을 만나고 나서였다.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즐겁게 누리며 살 수 있도록 하는 인간중심의 경영철학을 가지고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은 아닐 것이다.
4조 2교대제와 평생학습시스템 구축으로 고용증가 그리고 생산성과 수익성의 향상이라는 성과를 가져온 것은 한국적 경영모델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유한킴벌리식 경영모델이 국내 많은 중소기업들에게도 적용 가능한 경영시스템으로 만들어질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나 그의 윤리경영은 저절로 머리 숙여 스스로를 반성하게 만들고도 남는다.
돈이라는 부분에 남녀노소 누구나 민감하지 않은 이가 없을 것이다. 살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인지 돈을 벌기 위해 사는 것인지 모를 정도로 온 나라가 자본의 논리에 빠져 사는 느낌이다. 몇 년 사이 전국의 부동산가격이 폭등하다시피 해 빈익빈 부익부의 격차가 심해지고, 없는 사람과 젊은이의 허탈감을 더해 주고 있다.
토종자본으로 간접투자 시대를 연 미래에셋의 박 현주 회장을 최근 호감이 가는 인물로 정해 놓고 연구해 보고 있다. 그의 뛰어난 부의 축적 능력을 연구하고 싶은 것이 아니고 적립식 편드는 미래에셋으로 인지될 만큼 일반인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고, 평범한 샐러리맨들도 노후를 보장하고 부에 대한 조그마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의 금융재능을 조금이나마 알아보고 싶은 것이다. 돈이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하는 우리네 일상에서 돈맥을 읽는 탁월한 안목으로 한국판 워랜 버핏으로 불리는 그가 우리처럼 일반인들도 돈을 벌 수 있게 해 줄지 지켜볼 일이다.
세 분의 공통적인 면은 평범한 개인을 전문가로 만들어 주는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스스로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타고난 재능과 기질을 이해하고 강점을 계발하여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일로 만드는 전문가의 시대에 이 분들만큼 우리도 전문가가 되어볼 일이다. 어쩌면 이 분들의 직업적 특징들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가 만들어 나갈 나의 미래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09 | '꿈'이라는 자양분 키우기 [1] | 신재동 | 2005.07.22 | 2116 |
508 | <변화학 칼럼15> 그 산에 내가 있었네 [2] | 문요한 | 2005.07.21 | 2277 |
507 | 고승덕 변호사의 글 [2] | 김미영 | 2005.07.16 | 2590 |
506 | You've got to find what you love [1] | 달봉이 1 | 2005.07.16 | 2512 |
505 | 여름날 [1] | 구본형 | 2005.07.15 | 1969 |
504 | <변화를 위한 우화>아기박쥐의 첫비행2 [2] | 문요한 | 2005.07.15 | 2117 |
503 | <변화를 위한 우화> 아기박쥐의 첫비행1 | 문요한 | 2005.07.15 | 2056 |
» | 주간칼럼 14 - 마흔에 좋아하게 된 사람들 [2] | 박노진 | 2005.07.14 | 2076 |
501 | 유한킴벌리 연구-CEO의 말 2 | 박노진 | 2005.07.12 | 2162 |
500 | 생명공학과 국가발전-황우석교수강의(동영상) [1] | 박노성 | 2005.07.12 | 2248 |
499 | 자신감을 얻기 위한 노력 [3] | 신재동 | 2005.07.12 | 2130 |
498 | 유한킴벌리 연구 - CEO의 말 1 | 박노진 | 2005.07.11 | 1975 |
497 | 드림팀을 꿈꾸며 [4] | 오병곤 | 2005.07.10 | 2108 |
496 | 어려운 이야기는 안 한다. [3] | 김성렬 | 2005.07.09 | 2129 |
495 | <변화칼럼14> 내 안에 더 큰 나를 만나다 [3] | 문요한 | 2005.07.07 | 2161 |
494 | 언어 폭력 없는 온라인 공간 만들기는 불가능한 것일까 | 신재동 | 2005.07.05 | 2079 |
493 | 그렇게 살면서 깨달아 지는 겁니다. [1] | 오옥균 | 2005.07.04 | 2251 |
492 | 선조와 이영남 | 박노진 | 2005.07.04 | 2513 |
491 | 중요한 사실.. | 김미영 | 2005.07.04 | 2107 |
490 | 돈(Money)에대한 思 [1] | 숲기원 | 2005.07.04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