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2006년 11월 6일 21시 03분 등록
나비효과를 아는가?

아마도 대부분 나비효과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리고 많은분들이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나비효과란 중국 베이징[北京]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다음 달 미국 뉴욕에서 폭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과학이론이다.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E. Lorentz)가 1961년 기상관측을 하다가 생각해낸 이 원리는 훗날 물리학에서 말하는 카오스 이론(Chaos Theory)의 토대가 되었다. 변화무쌍한 날씨의 예측이 힘든 이유를, 지구상 어디에서인가 일어난 조그만 변화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날씨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으로 설명한 것이다.

처음에 이 현상을 설명할 때는 나비가 아닌 갈매기가 사용되었지만, 이후에는 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갈매기를 나비로 바꾸었다. 이 가상의 현상은 기존의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른바 '초기 조건에의 민감한 의존성', 곧 작은 변화가 결과적으로 엄청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경우를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화 시대에서 나비효과는 더욱 강한 힘을 갖는다. 디지털과 매스컴 혁명으로 정보의 흐름이 매우 빨라지면서 지구촌 한 구석의 미세한 변화가 순식간에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것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네이버 지식검색 참고-



그런데 이 나비효과가 외부세계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내부에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나비의 날개짓을 자신의 조그마한 생각으로 대체해 보자.

그럼 어제 어떤 느낌이 드는가? 만약 자신이 부정적인 생각을 밥먹듯이 하는 사람이라면 그 조그만 부정적인 생각이 온 몸으로 나타날 때가 되면 큰 신체적 병이나 혹은 무기력증,나태증이라는 병리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자기에 대한 긍정적 생각을 자주 하는 사람이라면 그 생각의 나비짓이 세월이라는 시공간을 지나 자신의 외부로 효과가 나타날 때에는 몇천배 아니 몇만배의 능력을 주지 않겠는가?

이것이 일명 "생각의 나비효과"다.

이 연구소의 좋은 글을 대하고 그 순간 다짐하는 생각의 파편은 언젠가는 작은 나비의 날개짓이 폭풍우로 변하듯이자신을 능력있고 성공하고 있는 사람이라는 폭풍우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 얼마나 큰 기쁨이며 깨달음인가?

그러나 생각의 나비짓이 위대한 폭풍우라는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생각의 틀, 즉 두뇌의 프로그램을 긍정적 프로그램으로

손질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는다면 그 작은 생각의 나비짓은 어느새 독수리의 날카로운 발톱에 찟겨나가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바다 거북이 수만개의 알을 바닷가 모래에 낳는다. 일단 거북은 알에서 부하하면 모래위로 올라와 자연적으로 바다를 향하게

되는데 모래위에 머리를 내미는 순간 모래위에 포진하고 있는 주많은 갈매기 등과 같은 조류에게 1차적으로 습격을 받고 살아남은 소수의 거북은 바다 게와 같은 갑각류의 공격을 다시 받는다. 그런 갈매기와 게의 공격을 피해 바다에 도착한 거북들 또한 안심하기는 일러서 수심이 낮은 곳까지 와서 기다리는 상어 등과 같은 포식자에게 또 무차별 공격을 받습니다

그리하여 살아남는 확률은 1% 미만이라고 한다.



우리의 긍정적인 생각의 나비짓도 우리가 처한 현실속에서 이런 죽음을 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긍정적인 생각의 나비짓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어느새 1%의 긍정적인 생각이 나를 위대한 폭풍우로 만들 것이다.



해볼만하지 않은가?



꿈꾸는 간디 오성민

2006.11.6일 씀

IP *.200.97.235

프로필 이미지
도명수
2006.11.10 10:03:42 *.57.36.34
간디님 잘지내죠

긍정적 사고는 의학적으로도 좋다고 입증된 사실이죠.
T-엔돌핀이라는 호르몬 생성으로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고, 문제해결력을 키워주며, 젊음을 선사하죠

아마 간디님도 성공은 물론이고 젊음과 장수를 누릴겁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