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람처럼
- 조회 수 210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구청 문화원 주최로 정월대보름 잔치가 열렸다.
동대항 윷놀이, 줄다리기, 투호 놀이, 흥겨운 사물놀이가 마실나온 동네사람들을 맞는다.
동별로 천막치고 자리를 만들어 음식과 술을 내어 주었다.
얼큰한 김치찌개와 김치전 그리고 막걸리...
김치전에 막걸리 한 잔 마시니 그저 좋기만 하다.
많은 동네 사람들이 한데 모여 여는 잔치가 흥겹기만 하다.
어르신 한 분이 미소를 가득 머금고 이리 비틀 저리 비틀 어깨춤을 추고 있다.
중앙 무대 건너편에는 커다란 달집이 우뚝 서 있다.
저녁 무렵에는 쥐불놀이를 체험하는 '도구'를 무료로 제공해 주었다.
어릴적 그렇게 돌려대던 깡통이 다자란 어른들 향수에 고스란히 남았는지 체험장 앞의 줄은 길기만 하다. 부모들은 자신의 어릴적 추억을 아이들에게도 선물하려는 듯 열심히 시범 보이고, 불씨를 살리기위해 필사적으로 돌려댔다.
큰 아이는 쥐불놀이가 처음이다. 서툴렀다. 활활타오르는 불꽃이 든 깡통을 돌리는 것 자체가 무섭나 보다. 한 두번 땅에 튕겨도 보고 자신에게 다가서는 불꽃에 겁을 먹기도 했지만 이내 씽씽 돌린다. 둘째 아이는 깡통이 머리위로 떨어지는 아찔한 순간을 경험하곤 두번다시 줄을 잡지 않았다. 조금만 더 크면 잘할 수 있단다.
달집에 자신의 소원을 적어 함께 태우는 행사도 마련되었다.
큰 아이, 작은 아이 모두 정성껏 소원을 적었다.
아빠의 훔쳐보기 시도에 아이들은 온 몸으로 종이를 가려가며 소원을 적었다.
아빠의 호기심 가득한 눈빛을 달래는 듯 소원을 밝히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말한다.
그래도 궁금하다. 아이들 소원은 무엇일까?
달집은 활활타오르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소원을 달집에 실어보냈다.
대보름달은 두둥실 떠올라 모두의 마음에 희망을 심어주었다.
아이를 무등태워 대보름달을 보여주었다.
아이들은 또 다시 소원을 비는 기도를 드린다.
기도하는 아이들 모습이 아름답다.
너희들 소원이 꼭 이루어지기 바란다.
IP *.230.174.166
동대항 윷놀이, 줄다리기, 투호 놀이, 흥겨운 사물놀이가 마실나온 동네사람들을 맞는다.
동별로 천막치고 자리를 만들어 음식과 술을 내어 주었다.
얼큰한 김치찌개와 김치전 그리고 막걸리...
김치전에 막걸리 한 잔 마시니 그저 좋기만 하다.
많은 동네 사람들이 한데 모여 여는 잔치가 흥겹기만 하다.
어르신 한 분이 미소를 가득 머금고 이리 비틀 저리 비틀 어깨춤을 추고 있다.
중앙 무대 건너편에는 커다란 달집이 우뚝 서 있다.
저녁 무렵에는 쥐불놀이를 체험하는 '도구'를 무료로 제공해 주었다.
어릴적 그렇게 돌려대던 깡통이 다자란 어른들 향수에 고스란히 남았는지 체험장 앞의 줄은 길기만 하다. 부모들은 자신의 어릴적 추억을 아이들에게도 선물하려는 듯 열심히 시범 보이고, 불씨를 살리기위해 필사적으로 돌려댔다.
큰 아이는 쥐불놀이가 처음이다. 서툴렀다. 활활타오르는 불꽃이 든 깡통을 돌리는 것 자체가 무섭나 보다. 한 두번 땅에 튕겨도 보고 자신에게 다가서는 불꽃에 겁을 먹기도 했지만 이내 씽씽 돌린다. 둘째 아이는 깡통이 머리위로 떨어지는 아찔한 순간을 경험하곤 두번다시 줄을 잡지 않았다. 조금만 더 크면 잘할 수 있단다.
달집에 자신의 소원을 적어 함께 태우는 행사도 마련되었다.
큰 아이, 작은 아이 모두 정성껏 소원을 적었다.
아빠의 훔쳐보기 시도에 아이들은 온 몸으로 종이를 가려가며 소원을 적었다.
아빠의 호기심 가득한 눈빛을 달래는 듯 소원을 밝히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말한다.
그래도 궁금하다. 아이들 소원은 무엇일까?
달집은 활활타오르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소원을 달집에 실어보냈다.
대보름달은 두둥실 떠올라 모두의 마음에 희망을 심어주었다.
아이를 무등태워 대보름달을 보여주었다.
아이들은 또 다시 소원을 비는 기도를 드린다.
기도하는 아이들 모습이 아름답다.
너희들 소원이 꼭 이루어지기 바란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정월대보름에... | 바람처럼 | 2007.03.04 | 2106 |
1428 | 도로 앞 풍경 [3] | 바람처럼 | 2007.03.03 | 2055 |
1427 | 술 마신 날의 풍경 [5] | 香仁 은남 | 2007.03.02 | 2575 |
1426 | 냄비국수 시식 파노라마 [4] | 오병곤 | 2007.03.01 | 1960 |
1425 | 학교 앞 풍경 [2] | 바람처럼 | 2007.02.28 | 1992 |
1424 | 조급증 [1] | 김귀자 | 2007.02.28 | 2100 |
1423 | 추억 몇장 2 [10] | 신재동 | 2007.02.26 | 2147 |
1422 | 봄이 오는 곳 [4] | 한정화 | 2007.02.23 | 1999 |
1421 | 광주에서의 한달-39 [8] | 도명수 | 2007.02.23 | 2153 |
1420 | '굿바이 게으름'과 '여관' [2] | 정재엽 | 2007.02.21 | 2463 |
1419 | Over the rainbow [2] | 정재엽 | 2007.02.20 | 2138 |
1418 | 오늘같은 날에는 [6] | 모모 | 2007.02.20 | 1917 |
1417 | 좀 더 너그러워지고 싶다 [2] | 신재동 | 2007.02.20 | 2039 |
1416 | 오면 반갑고 가면 더 반갑고 [1] | 자로 | 2007.02.20 | 2110 |
1415 | 서대원선생님의 골프만상을 읽고서-38 [2] | 도명수 | 2007.02.17 | 2192 |
1414 | 느낌속에 흐르는 시간 5 [2] | 백산 | 2007.02.17 | 2070 |
1413 | 아가사진 몇장 [11] | 신재동 | 2007.02.16 | 2187 |
1412 | 변하지 않는 것 [2] | 한정화 | 2007.02.15 | 2158 |
1411 | 추억 몇장 [11] | 신재동 | 2007.02.15 | 2236 |
1410 | 똥키호테 칼럼-무모함의 시대- [2] | 강인묵 | 2007.02.15 | 2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