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박상현
  • 조회 수 2402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0년 2월 22일 02시 05분 등록

친구 셋이 재잘재잘 잡담을 나누며 길을 가다가, 그 중 한 명이  5만원권 지폐를 주웠다.

 

돈을 주은 길동이가 먼저 말을 꺼냈다 

“이건 이웃을 실천으로 사랑하라는 신의 계시야. 그제부터 아이티 지진성금을 낼까 고민중이었거든.”

 

옆에 있던 대식이가 말했다. 

무슨 소리. 거저 얻은 돈이니 파출소에 갖다 주자.

잠자코 있던 영철이가 둘에게 귓속말로 속삭였다.
 "너네 내 성질 알지. 우리집 가난해"

길동이는 플라톤적인 이데아를 믿는 종교적 인간이다. 대식이는 개인의 권리를 국가에 양도한 사회계약론자이다. 그럼 영철이는?  위대한 인간, 즉 영웅을 위해 평범한 사람들이 희생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짝퉁 니체주의자쯤~ ^^ 이 심심한 얘기를 지어낸 이유는 실재와 인식간의 그 참을 수 없는 언밸런스함을 말하고 싶어서다.

실재는 곧 fact다. 하지만 한 가지 사실을 가지고 사람들은 각기 다른 진술을 내어 놓는다. 사물의 가치를 따지는 기준이 저마다 다르고 그에 따라 보는 관점도 제각각이다.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철학사를 꿰뚫은 러셀은 철학이 "삶의 방식을 제안하고 삶에 영감을 불어넣는 일"이라고 규정한다. 여기서 철학이란 학문이 아니라 삶의 지표로서 읽혀진다. 얼핏 신화의 역할과도 일맥상통한다. 하지만 다른점이 분명히 있다. 신화가 인류의 DNA에 내재된 무언의 집단의식이라면, 철학은 보편자로서의 神話를 무의식의 우물에서 건져올려 입맛에 따라 자르고 붙이고 색칠한 개별자의 化身이다.

서양철학사를 읽으면서 새삼스럽게 느낀 것은 철학이 결국은 언어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상의 용어 하나하나를 내가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고 일관된 함의를 갖도록 재정의하는 게 철학이라는 것이다. 철학은 학문의 세계에서 뿐만 아니라 나의 일상에서 경험의 관계망과 언어의 사유를 통하여 새롭게 생명을 얻는다. 그것은 생활에서 나를 지배하는 정언명령의 역할을 한다. 의식의 정제과정을 통해 정리한 나의 정언명령을 소개한다.

나에게 철학이란 귀납법이다. 다른 사람의 인생을 참조하되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겠다. 나보다 크고 존귀해 보인다고 하여 무작정 베끼지 않겠다. 선험적인 절대가치란 없다. 하루의 일과에서 오늘의 시사점을 찾은 것만으로 충분하며, 일상의 실험을 통해 나의 것으로 변용해 나갈 것이다.

나에게 철학이란 주관주의다. 내가 生의 주체로 살아있는 고로 나는 존재한다. 마음은 공백을 무엇으로든 채우기 마련인데, 내가 채우지 못하면 남이 채우게 될 것임을 나는 안다.

나에게 철학이란 실증주의다. 불확실과 고난 앞에서 회피하지 않고 문제와 직면하겠다. 의연하게 현실을 파악하고 그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지혜를 구하겠다.

나에게 철학이란 공리주의다. 내면에서 벗어나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긍정의 에너지를 전이하는 에너지 파이프다. 통합하고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겠다.

IP *.212.68.201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2.22 18:23:59 *.154.57.140
나에게 철학이란 포장마차의 깡소주다. ㅋㅋ
상현님, 우리가 3차면접 때 만나서 소주마실 수 있겠지요?

친구 세명 이야기와
각각... 종교적 인간, 사회계약론자, 짝퉁 니체주의자로 비유한 게 인상깊네요.
상현님 글 중간중간에  탁상을 치는 주먹이 크게 보이지요?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0.02.23 00:09:39 *.53.229.15
길동,대식,영철의 얘기에서 웃음이.ㅋㅋ.. 저는 영철이에게 한표를 던지겠습니다.ㅎ.
프로필 이미지
2010.02.23 04:46:50 *.106.7.10
'내가 채우지 못하면 남이 채우게 될 것임을 안다'
공감입니다 ^^
내가 선택하지 않는 것은 결국 "선택하지 않기"를 선택하는 것'이지요.
채워가는 오늘 하루 되시길!
프로필 이미지
최우성
2010.02.23 14:57:09 *.30.254.28
강한 내공과 포스가 느껴집니다. 즐거웠습니다. 길동이나 대식이나 영철이나, 전부 내 안에 있는 것 같군요...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2.23 15:48:15 *.83.68.7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긍정의 에너지를 전이하는 에너지 파이프다.'
통합하고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겠다.
멋진 '마음가짐'  이시네요. ^^  
 
프로필 이미지
윤인희
2010.02.23 23:54:08 *.181.65.136
실증주의: 불확실과 고난 앞의 문제와 직면하겠다. 의연하게 현실을 파악하고 그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지혜를 구하겠다.
공리주의: 긍정의 에너지를 전이하는 에너지 파이프다. 통합하고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겠다.


좋은 정언명령이군요.  특히 저에게는 실증과 공리가 와 닿는군요. 참으로 신나는 공존을 위해 노력하자고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9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 - 김영숙 [2] 김영숙 2010.02.24 2523
2728 장사 2.0 [2] 맑은 김인건 2010.02.23 1986
2727 수도꼭지 [11] 박미옥 2010.02.22 2135
2726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7] 김연주 2010.02.22 2349
2725 칼럼2 생각한대로 살지 않으면... [12] 신진철 2010.02.22 2744
2724 서양철학사 (칼럼) [4] 김용빈 2010.02.22 1976
2723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3] 박현주 2010.02.22 2028
2722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 김영숙 [6] 김영숙 2010.02.22 2529
2721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5] 최우성 2010.02.22 2163
2720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2] narara 2010.02.22 2122
2719 철학이란 무엇인가? [7] 윤인희 2010.02.22 2167
2718 <2주> 김창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야콘 2010.02.22 2293
2717 [6기후보칼럼2] (나에게) 철학 알기와 도 닦기 [3] 심장호 2010.02.22 2329
2716 두번째 에세이_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2] 김혜영 2010.02.22 2097
»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6] 박상현 2010.02.22 2402
2714 칼럼2.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3] 이선형 2010.02.21 2456
2713 2주.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미나 2010.02.21 2103
2712 [여행의 철학] 여행은 최고의 자기계발이다 아름다운 길 연구가 2010.02.21 2394
2711 컬럼 2주차-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6] 이은주 2010.02.21 2649
2710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박미옥 2010.02.20 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