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1년 10월 12일 18시 43분 등록

장미 5. 울고 싶은가?

  스테판이 긴 수술을 마치고 중환자실로 옮겨갔다. 닥터 고는 수술이 잘 끝났다고 말해준다. 함께 밤을 새우며 기다려주던 아이들 고모부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평택으로 돌아갔다. 지친 마음을 달래며 나도 집으로 돌아왔다. 늘 있던 자리에 보이지 않는 모습 하나. 불을 끄고 나도 긴 잠에 들어갔다.

다음날 아침, 면회시간에 맞춰서 병원으로 갔다. 소식을 들은 형제들이 찾아왔다. 고모들은 신심 깊은 기도를 해준다. 막내 동생이 표정에 변화가 없는 형을 보며 말을 건다. “형, 이제 좋으우? 그러고 있으니 편해?” 긴 세월을 옆에서 지켜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말이다. 나보다 더 오랜 세월을 지켜보았으니.... 그로서는 오랜만에 속 깊은 마음을 형에게 말해보는 것 같다. 면회시간이 끝나고 우리는 다 밖으로 나왔다. 멍하다. 잘 끝난 수술인데 그의 표정이 돌아오지 않는다. 불러도 반응이 없다. 평소에도 조금 느리게 반응을 하는 사람이었지만 이 속도는 너무 느린 것 같다.

어찌어찌 다 인사를 하고 떠났다. 이런 일이 한주일 내내 반복되고 있다. 소식을 듣고 면회시간에 사람들이 다녀간다. 그렇지 않은 날은 나 혼자 돌아보고 온다. 그날도 그렇게 똑같은 시간에 가서 똑 같이 머리를 한번 쓰다듬어 주고 돌아오는 길이었다. 버스를 타고 맨 앞에 앉아서 눈을 감고 있었다. 핸드폰이 울렸다. 나와 동갑인 친정 올케다. 우리는 같은 띠답게 취향이 비슷했다. 작은 오빠가 그녀를 처음 우리 집에 소개 하던 날, 항렬에 상관없이 생년월일로 사람을 존중하던 우리 오빠가 살짝 생월을 사기쳤다. 내 생월보다 서너 달 앞세워 태어났다고 했다. 그러나 나중에 밝혀진 진실이다. 동갑 올케는 밥그릇으로 위계를 정하자면 나보다 밥그릇 수가 모자란다. 아들 많은 집 외동딸이었던 올케는 무척 고왔다. 우리 집에 시집와서 참 많은 일을 해낸 어른스런 올케이다. 그녀가 내게 전화를 했다.

“고모, 어디 있는데...”
“응, 문병 마치고 집에 가는 길이야.“
“에이그..... 불쌍한 것~”

세상에, 원 세상에 내가 그렇게 되었다. 세상에 불쌍한 사람이 되었다. 뭔가 알 수없이 진행되는 , 그리고 예고 없이 다가온 이 이상한 일이 그제서야 감이 잡혔다. 그리고 폭포처럼 눈물이 쏟아졌다. 그냥 그렇게 721번 버스 제일 앞자리에 앉아서 울었다.

집으로 돌아왔다. 조용하다. 막막했다. 조금 눈물이 났다. 점점 더 크게 울어보았다. 내가 이제 불쌍한 것이 되어버린 순간이다. 전화벨이 울린다. 놀랍다. 이런 순간에 어떻게 이 분이 전화를 주셨을까? “전화를 다 주시다니요.... 가문의 영광입니다.” 갑자기 늘 하던데로 너스레가 나왔다.  그러나 조금 있다가 진심이 저 혼자 튀어 나갔다. “저 지금 울고 있는데요.....” 전화기 속에서 그 분은 마구 웃기셨다. 참을 수가 없어서 막 웃었다. 한참을 웃다가 보니 이건 정말 정상이 아니다. 어린 시절 형제들과 놀면서 불러대던 노래가 생각이 났다. “울다가 웃으면..... 어쩐 데요.....” 슬그머니 확인해보니 그건 아니다. 그래서 또 그렇다고 말하며 웃었다. 그렇게 한 삼십분은 말을 했을 것이다. 듣고 또 말하고 또 듣고 웃고  또 말하고..... 이제 전화기 속에서 다시 정답게 목소리가 전하는 말이 들려온다. “그럼 전화를 끊고 또 우십시요.”

말 잘 듣는 착한 아이가 되려고 정말 다시 울어보려고 했더니 이미 상황은 끝났다. 괜히 우습기만 했다. 절묘한 타이밍에 실컷 울고 실컷 웃었다. 그리고 다시 쉬다가 저녁 면회를 위해 병원으로 갔다. 이렇게 얼마나 계속되었는지 모른다. 아침과 저녁, 단 30분의 면회를 위해 묵묵히 갔다. 때론 문 앞에서 책을 읽었고 때론 친구와 함께 밥을 먹었다. 앞날은 생각하지 않았다. 내게는 오늘 하루도 무사히 그를 보고 돌아오는 것이 참 감사한 일이었다.

IP *.69.159.123

프로필 이미지
2011.10.13 22:02:42 *.225.142.106
목놓아 울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던 죽음이 저에게도 있었지요.
지난 여름 먼 이국의 바다위에서 엉엉 울던 저를 안아주시던 선생님을 기억합니다.
선생님의 글도 그 때 그 품처럼 따뜻하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10.18 10:55:25 *.69.159.123
사실은 죽음을 얘기를 하다보면 나중엔 지쳐서 ...
넋없이 살게 되는 것 같아.... 넋없샨....
그러나 꾸준히 써 보는 것이 치유하는 힘, 혹은 삶의 의미를 찾는 힘을 돌려주는 것 같아요.
늘, 글읽고 격려해줘서 고마워요. 선 샤인~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2 #6. 미나의 모의 비행 - 견뎌내기 & 상상하기 file [14] 미나 2011.10.16 2269
2671 나비 No.25 - 북풍인가, 태양인가? file [12] [2] 유재경 2011.10.16 7774
2670 [Sasha] 컬럼26. 놀이터에서 제대로 놀기 file [9] 사샤 2011.10.16 2248
2669 단상(斷想) 82 - 작은 영웅 file [3] 書元 2011.10.16 2037
2668 [늑대26] 일과 삶의 균형_개인 [16] 강훈 2011.10.16 2055
2667 장미 6. 인드라 망 [6] 범해 좌경숙 2011.10.13 2608
» 장미 5. 울고 싶은가? [2] 범해 좌경숙 2011.10.12 2170
2665 장미 4. 가상 북리뷰 - 칠일간의 만남 [4] 범해 좌경숙 2011.10.12 2173
2664 장미 3. 만일 오늘이 내 생애 마지막 날이라면.... [8] 범해 좌경숙 2011.10.10 3005
2663 [늑대25] 논리의 오류 [13] [1] 강훈 2011.10.10 2300
2662 [Sasha] 컬럼 24 사샤의 목걸이 file [6] 사샤 2011.10.10 2171
2661 24. 당신의 오른손은? file [7] 미선 2011.10.10 2015
2660 당신이 가장 자신있는 부분은 어디입니까? [7] 루미 2011.10.09 2715
2659 [Monday,String Beans-#5] 사진과 함께하는 시간여행_2 file [10] [1] 양경수 2011.10.09 3816
2658 #5. 미나의 모의비행 – 백수생활백서 & 재능 발견 [9] 미나 2011.10.09 2512
2657 나비 No.24 - 건투를 빈다. [15] [1] 유재경 2011.10.09 4596
2656 단상(斷想) 81 - 나의 줄리엣에게 file [4] 書元 2011.10.09 2107
2655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0. 어머니란 이름 書元 2011.10.09 2206
2654 장미 2. 사람은 가고 그의 말은 남았습니다. [6] 범해 좌경숙 2011.10.06 2262
2653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9. Mr.Simple 對 Mrs.Multi 書元 2011.10.03 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