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미나
  • 조회 수 221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2년 1월 10일 21시 16분 등록

1.     프로필

이제 서른 줄에 들어선 여자 청춘. 대학을 졸업하는 23세까지 읽은 책은 교과서와 참고서, 그리고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읽은 책 몇 권이 전부였다. 그리고 첫 직장으로 보험영업을 선택하면서 각종 자기계발서와 경제관련 책들을 주로 읽었다. 그렇게 28년이란 시간을 살면서 꾸준히 하나를 해온 것이라곤 손에 꼽을 정도이다. 다행히 스물아홉에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이 되면서 매주 책 한 권을 읽고, 책 리뷰를 쓰고, 하나의 칼럼을 꾸준히 써 오고 있으며, 스스로 매우 뿌듯하고 대견하게 느끼고 있다. 그 외에 영어 공부, 그림 그리기 등 다양한 것들을 생각나면 바로 시작하고, 흥미가 떨어지면 바로 중단하는 엄청난 실행력을 가지고 있다. 지금도 개인 블로그-파워블로그는 아니다-, 페이스북 개인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고, 팟캐스트를 통한 1인 미디어를 준비 중이다. 하지만 이것 역시 얼마나 지속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2009년 말, <2>이라는 책을 읽고 즉흥적으로 만든 함께 꾸는 꿈 너머 꿈이란 모임을 통해 평생지기 친구들이 생겼다. 시도하는 변화와 실험들은 어쩌다 한번씩 이렇게 엄청난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그 외의 대부분 실험들은 중도에 포기하거나 실패하지만, 그로 인해 쫄기보다 이번에 잘 안 됐으니, 다음엔 잘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무한 긍정 에너지의 소유자이다.

서른, 한 가지 일을 꾸준히 해 왔다면, 승진도 하고, 안정적인 회사생활 중이어야 하는 나이이다. 하지만, 5년 가량의 첫 사회생활을 마치고, 2의 사춘기를 맞이하게 된다. 2011, 흔히 아홉수라 불리는 한 해 동안 직접 두드리는 회사의 문은 단 하나도 열리지 않았다. 나를 향해 열리는 문만 존재할 뿐이었다. 그리고 지금도 우연한 기회가 주어져 4개월 단기 계약직으로 공기업에서 아주 편하게 일을 하고 있다. 사람들은 이런 나를 보며 계약기간이 끝나고 나면 뭐 할거냐?’, ‘다른 일자리를 찾고 있는지?’, ‘특별한 계획이 있는지?’ 물어보며 걱정을 한다. 하지만 정작 당사자인 나는 걱정을 하지 않는다. 특별히 하고 싶은 일도, 딱히 미치고 싶은 무엇을 찾은 것도 아니지만,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나를 향해 또 다른 문이 열릴 것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취업을 하기 위한 관문인 대학에 갔던 것을 후회하고 있다. 학자금 대출까지 받아가며 받은 대학생활을 보낸 그 시간에 차라리 어디 책만 잔뜩 있는 곳으로 떠나 4년간 책만 볼 수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철없는 청춘이다. 이름만 대면 알만한 회사에서 승진하고, 결혼하고, 아이 낳는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기대하는 삶에 왠지 모를 거부감을 느끼는 영혼이다. 이런 쳇바퀴 도는 삶에 얽매이기보다는, 매 순간 나를 향해 열리는 문으로 큰 고민 없이 뚜벅 뚜벅 걸어 들어간다. 그리고 한치 앞도 모르는 지금의 인생이 그 문들을 따라 들어가다 보면, 언젠가 그 삶의 가운데 나만의 희열을 찾을 수 있을 거라 굳게 믿으며 살아가고 있다. 2012년 현재, 인생의 목표는 하나다. 이태리로 가는 것. 가서 무엇으로 먹고 살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곳에서 자유를 만끽하며 책 읽고, 글 쓰는 사람이 되기를 꿈꾼다. 세상의 잉여로 살아가고 있고, 앞으로도 즐겁고 유쾌하고 여유로운 잉여의 삶을 꿈꾼다. 나와 같은 잉여들이 결국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2.     목차

프롤로그 :  루카의 바람, 잊혀지지 않는...

 

불안은 영혼을 잠식할까? - 나의 바닥을 찾아서

- 요이, ! 백수생활 시작

- 백수생활 백서(빈대붙기 신공 / 생계형 알바는 필수)

- 좌충우돌 구직기(특별한, 혹은 특이한 면접 / 일이란? 하늘에서 떨어지는 무엇! / 동아줄도 골라서 잡아야 한다)

- 가족, 엄마와 단 둘이 살기(풀리지 않는 숙제, 엄마와의 갈등, 맏이로 산다는 것은)

- 불청객, 불면증

- 돈을 잃다. 자신감도 함께.

- 그저 멍하니 하늘만 바라봐

- 아련한 소주의 추억

- 나는 얼마짜리 딱지인가

- 돈 안 쓰고 버티는 법

- 미친 외로움이 나를 찾아올 때

- 친구의 결혼식 가는 길

- 친구를 떠나보내며(친구를 기억하며)

 

불안에 쫄지 않기 근거 없는 자신감과 무한 긍정에너지 발사

- 이태리, 현실적인 벽들 / 이태리로 가는 첫 걸음, ! / 이탈리아 청년을 만나다

- 돈 없는 선배의 비애

- 취업 전선에 뛰어들기, 일하고 싶은 회사를 찾아서...

- 수면 밖으로... 수면 위로 고개를 쳐들다.

- 세계 유일의 미나 방송, 우리집 Hz의 추억

- 이탈리아를 상상하다.

- 건강해야 청춘이다

- 수천명의 사람들, 그 사람들을 뽑는 단 한가지 방식

 

 

나를 찾아 몸부림치다 - 나도 나를 모른다.

- 사회, 운동, 정치 그리고 나의 삶

- 사실 문제는 나였다. 나의 재발견

- 가슴을 뛰게 만드는 일

- 여행 그리고 추억

- 오아시스 나의 점심시간

- 이상과 현실의 경계에 서다

- 나는 단세포 생물이다

- 내가 행복한 순간을 찾아서-1

 

 

남들이 뭐라고 하건 말건 my way - 나의 희열을 따라서

- 나도 알아, 금방 싫증 날 거란 걸. 하지만 '지금 내가 원하니까!'

- 내키면, 떠나라.

- 이태리 친구들과의 서신

- 근무시간의 20%는 나를 위해!!(할일없는 회사에서 딴짓하기

- 가방은 늘 가볍게(언제든 떠날 수 있게)

-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 내 인생의 그물망 - 친구에게 배우다

 

 

깨달음과 삶의 상관관계 - 무언가를 깨닫는 삶은 견디기 쉽다

- 실패해도 괜찮아

- 페르소나, 가면이 내게 남긴 것

- 잃어버린 5만원을 되찾다, 따뜻한 마음과 함께.

- 낮은데로 가세요, 길을 만드세요

- 한번만 더 생각했더라면

- 세상을 떠난 친구가 내게 남긴 것

 

 

에필로그 :  이태리 루카로. 나는 간다.

 

3.     서문

20대 후반, 그리고 30대 초반에 제2의 사춘기 겪고 있는 나의 이야기다. 요즘 많은 이들이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말한다. 청춘이라는 단어는 수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다. 하지만, 청춘의 모습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 청춘을 겪은 세대들이 지금의 청춘들을 위로하려고 애쓴다. 그리고 지금 청춘들이 88만원 세대, 잉여, 백조와 백수 등으로 불리는 것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미안해 한다. 물론 이렇게 지금의 청춘들을 챙기려 애쓰는 것이 감사한 일이긴 하지만, 이런 위로와 책임에 대한 미안함이 나는 왜 이리 부담스러운지 모르겠다. 인문계열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소수의 몇 명을 제외한 나머지가 대학입시란 단 하나의 목표만을 향해 달려 가야만 한다. 또한 대학입학과 동시에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열심히 스펙을 쌓아야만 한다. 어느 기업 인사담당자는스펙은 성실성의 척도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이런 현실 앞에서 우리는 스펙 쌓기를 무시할 수가 없다. 이렇게 우리네 청춘은 각자의 창의성과 개성 그리고 강점은 깡그리 무시한 채 기업의 선택을 받기 위해 스펙 쌓기에 몰두한다. 대학이란 공간에서 우리는 기업이 원하는 천편일률적인 인재로 붕어빵 틀을 거친 똑 같은 모양과 크기의 붕어빵처럼 대학을 졸업한다.

이런 현실에서 기성세대들은 우리에게 말한다.

당신이 미치고 싶은 것을 찾으세요. 그리고 그것에 당신의 열정을 쏟으세요.”

 

하지만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춘들 중에 미치고 싶은 무언가를 찾은 청춘은 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은 한 가지, 취업만을 위해서 달려갈 수 밖에 없고, 그것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한다. 나는 꿈이 있었다. 하늘을 날고 싶은 꿈이 있었다. 그래서 돈을 벌어 그 꿈을 이루고자 회사에 취업을 했다. 회사생활을 하면서 그 꿈을 잃었다. 많은 청춘들도 부푼 꿈을 안고 사회생활을 시작하지만, 쳇바퀴도는 일상의 반복에서 숙제하듯 돈을 모으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사회가 기대하고 요구하는 틀로 들어간다. 나는 왠지 이 틀이 싫다. 그래서 이 틀에서 벗어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내 삶을 공감받기 위해 쓰여졌다. 내게 공감해 줄 수 있는 이들 은 어쩔 수 없이 사회의 틀 안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그 틀을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 그리고 자신의 꿈을 찾고 싶은 사람, 남들과 조금은 다르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내 삶을 통해 책을 읽는 독자도, 지금은 이렇게 힘들고 찌질하게 살고 있지만, 그래도 이 사회의 틀을 벗어나고 싶은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이 나뿐만이 아니구나?’라고 공감 받을 수 있다면 좋겠다.

 

그래서 지금 사회의 틀에 만족하고, 그 틀 안에서 자신의 꿈을 키우고 있는 사람에게는 감흥이 없을 것이다. ‘굳이 저렇게 사서 고생을 하면서, 살아야 해? 그냥 사회가 원하는 대로 살면 편하잖아? 남들 눈치도 안 봐도 되고 말이지.’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전혀 공감이 안 될 수 있다.

 

하지만 삶의 목표가 환희이고, 그 환희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분명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가 원하는 청춘들의 위치와 용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 그들이 이름 붙이는 것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또 다른 희망이 될 지도 모른다.

 

청춘들이 다 같은 모습일 수 없다. 생김새도, 각자가 가진 강점도, 성격도, 모두 다르다. 나 역시 그 수많은 청춘들 중에 한 명일 뿐이다. 나는 그저나 답게살고 싶다. 이 책에서 보여지는 모습은나 답게살아가고 있는 내가 살아가는 지극히 현실적인 모습이다. 내 모습과 똑 같은 삶을 꿈 꾸는 청춘이 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또한 내 삶이 어떤 해답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사회의 틀을 벗어나서 살 수 있는 방법도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싶다.

 

성배로 향하는 열쇠는 공감,

다른 사람의 슬픔을 마치 여러분의 것인 양,

느끼고 또 같이 고통 받는 것이다.

 

공감의 위력을

깨달은 사람은

성배를 발견한 사람이다. (조셉 캠벨의 <신화와 인생> )

 

조셉 캠벨이 말하는 성배란 자기의 의지력으로 사는 삶을 의미한다. 이 책은 이 성배를 찾으려는 이들에게 큰 공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P *.38.222.35

프로필 이미지
2012.02.03 05:15:52 *.153.110.150

" 취업을 하기 위한 관문인 대학에 갔던 것을 후회하고 있다. .... 대학생활을 보낸 그 시간에 차라리 어디 책만 잔뜩 있는 곳으로 떠나 4년간 책만 볼 수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철없는 청춘이다."

왜이리 공감이 되지요? 건승하세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32 [늑대 39] 시간에 대한 집착 (수정) file [4]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30 2519
2831 이 죽일놈의 왠수 [2] 루미 2012.01.30 2856
2830 39. 지금 어떤 감정을 선택할 것인가? [2] 미선 2012.01.30 2088
2829 나비 No.39 - 미녀 삼총사 모여라 file [9] 재키 제동 2012.01.29 3077
2828 [양갱] #New서문 _ <일상은 신비다> file [4] 양갱 2012.01.29 2087
2827 단상(斷想) 89 - 진정한 구함 file 書元 2012.01.29 2242
2826 #18. 신치의 모의비행-어느 연휴 외 [2] 미나 2012.01.29 2118
2825 #17. 신치의 모의비행 - 새해 계획 세우기 [10] 미나 2012.01.23 2306
2824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8. 지금은 여성시대 [4] 書元 2012.01.23 2453
2823 나도 할 말 있다구요 [5] 루미 2012.01.23 2185
2822 38. 완벽함. 그 뒤에는 file [5] 미선 2012.01.23 2186
2821 [양갱] 똑같은 하늘을 본적이 있는가?(수정) file [9] 양갱 2012.01.23 2160
2820 [늑대38] 시간에 대한 집착 [8]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22 2151
2819 [Sasha] 기다림의 고통 file [4] 사샤 2012.01.22 2328
2818 나비 No.38 - 걱정에서 벗어나는 법 file [9] 재키 제동 2012.01.21 2528
2817 #16. 신치의 모의비행 - 이제는 말 할 수 있다 [2] 미나 2012.01.17 2158
2816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7. 올인(all in) 書元 2012.01.15 2385
2815 [늑대 37-1] '프로젝트 열정 만들기' 의 목차 [2]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12 2679
» <신치의 모의 비행> 프로필, 목차, 서문_수정 [1] 미나 2012.01.10 2219
2813 [늑대 37_서문수정] '일할 맛' 나는 공동체를 꿈꾸며 [3]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10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