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사샤
  • 조회 수 2327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2년 1월 22일 17시 38분 등록



기다리는 시간은 언제나 길다 

난 긴 정적을 기다리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더는 싫다

그래서 점점 행동 반경이 줄어든다 

다 표현하지 못한다 그래서 다시 기다림이 시작된다 

오늘 오후 5시도 지독하게 길다 

낮 2시의 그림자보다 더 깊이 그늘져 하루를 가린다 

아니 그 때부터 짧아져야 할 그림자가 계속해서 자라고만 있는 것 같은 기분이다 

사람은 사람으로 잊는다고 하는데 때로 부작용은 사람은 또 다른 사람을 더 많이 생각나게도 한다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은 상대성의 세상에서는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가볍던 눈송이의 무게가 빙하처럼 가슴을 짓눌러온다 

하늘에서 하늘 하늘 꽃잎처럼 떨어져서 차츰 쌓여 있는 눈의 무게가 이내 기다림의 무게 만큼이나 무거워져 있다 그때 울리는 문자 알림 소리에 가슴이 '쿵'하고 울리지만 결국 기다린 적 없는 광고 문자가 날 비웃듯이 정적이 흐르는 방안을 까르르 웃으며 지나간다. 

눈은 언젠가 녹을테니 이 무게감 또한 줄어들 수 있겠지만 빙하가 지나간 자리는 분명히 생채기로 그 흔적을 남길 것이다. 그러면 기다림에 대한 두려움은 또 한층 두꺼워질 것이다. 그러다보면 다 표현하지 못하는게 아니라 표현하는 법을 기억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사랑한다'라는 표현과 함께 기다림은 동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말이다. 금요일 오후의 하늘은 모든 피로한 마음을 감싸안을 것처럼 포근하다. 그 푸른 겨울빛도 상큼하고 말이다. 이렇게 날씨는 마음의 분위기를 맞추지 못한다. 


그의 눈을 들여다보지 말았어야 한다. 그 안에서 나의 모습을 발견하는 순간 난 그 과거와 미래 또한 함께 보아버렸다. 강물에 조각배를 띄워 보낸 순간처럼 이제는 그저 그 강물의 흐름에 자신의 운명을 맡겨야 할 것만 같다. 하지만 이 세상에 운명이라는 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의지처가 필요해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막이 필요하기 때문에 존재할 뿐, 실제로 그런건 없다. 모든 것은 인연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지금이 곧 모든 것이다. 기다림을 멈추던 이어가던 나의 선택이지만 그 다음에 이어져 오는 일들은 그 선택에 따른 반응들이라는 것이다. 순간의 선택 속에서 계속 순간이동하는 삶의 비밀이 때로는 신기하기도 무섭기도 하다. 수학 공식을 알아도 상대의 마음의 크기를 재는 법은 알 수 없는 것처럼 우리는 정확하지 못한 세계 속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는 필연의 움직임들로 얽혀 있다. 


마음 깊이 드리워진 짙은 그림자와 눈을 없애려면 빛을 찾거나 온기를 찾아야 한다. 난 그래서 두 가지를 한 번에 날려버릴 벽난로에 불을 지펴보기로 한다. 그 환하고 따뜻한 불에 나의 마음을 맡겨본다. 조금 나아지는 것 같다. 늘 상대와 나 사이의 자유를 꿈꾸면서도 그러한 사랑이 시작되려고하면 집착과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다. 아니 계속되는 확인과 질문들은 상대를 질리게 하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은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대한 응급처치일 뿐이다. 감정적으로 그 사랑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말로라도 그 마음을 안정시키기고 싶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면 당분간은 이어질 수 있겠지만 이렇게 기다림이 길어지다가는 결국은 그 골은 깊어져서 서로의 거리가 더 이상은 가까워질 수 없을 만큼 멀어지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때로 기다림은 잔혹하리만큼 차갑고 빙하를 녹일만큼 뜨겁다. 


늘 익숙하다 생각하지만 사랑은 늘 새롭다. 그래서 사람들은 다시금 사랑에 희망을 걸고 다시금 사랑을 할 수 있는 것이리라. 마치 어머니들이 그 고통을 이겨내고 아이를 낳고는 다시는 안 낳아야 정상이거늘 둘째 셋째를 출산하는 것과 같은 이치가 아니겠는가. 사랑으로 품고 그렇게 이겨내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것이다. 우주의 섭리이다. 


오후 5시까지 길어지던 그림자를 삼켜버린 겨울해가 저물어간다. 그래서 슬픔이 머물때는 밤이 기다려진다. 게다가 밤은 기다리지 않아도 와서 좋다. 밤의 품 안에서 위안을 찾는다. 흙탕물처럼 되어 버린 마음의 그늘을 송두리째 덮쳐버려서 슬픔과 밤의 차이를 가려버리기 때문인가보다. 그리고 내 곁에는 따뜻한 벽난로도 있다. 로맨틱하다. 마치 100년의 시간이 지난 것같은 생각이 든다. 한 생이 지나 버린 것 같다. 전생도 지나고 현생도 지나서 다음 생의 어느 밤인 것 같은 이 아득함은 무엇일까. 기다림이란 사람을 이다지도 아득하게 만들어 버린다. 무엇을 해도 시간은 표현한 그 순간에 멈춰서 있다. 광화문 한 복판을 아무것도 입지 않고 며칠째 달리고 있는 기분이 이런걸까. 그래서 이제는 아무렇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나를 시선들이 반갑지는 않는 불편한 괴리감 정도랄까. 공기와도 분리되어 있고, 소리와도 멀어져있고 지금과 난 한참 떨어져 있는 나만의 알 속에 몸을 숨기고 있다. 알몸인채로 데굴데굴 굴러서 여기저기 생채기가 난 채로 굴러다니고 있는 기분. 


이 세상의 모든 노래들이 자신의 주제곡처럼 들리기 시작하면 사랑하고 있는 거라던 친구의 말이 떠올랐다. 그래서 일부러 제목없고 가사없는 클래식을 듣는다. 둥글게 말려져 있는 몸과 마음 사이사이로 그래도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투명음표들에 대한 기회라고 할 수 있겠다. 인지될 수 있는 모든 것은 나의 방어막에서 해석되느라 이 가슴 깊숙한 곳까지 위안이되어 안착되지 못하니까 말이다. 기다림이 끝나는 건 언제일까. 기다리는 그것이 도착하는 순간 그리고 스스로 그만하자고 생각한 순간. 그 어느 것도 행복한 결말이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기다리는 것이 도착했지만 원하던 내용이 아닐 수도 있고 스스로 그만하자고 선언하는 것은 좌절을 동반하니까 말이다. 늘 이렇게 최악의 상황을 예상하는데 익숙해서 지금은 마치 게임을 즐기듯이 경우의 수를 따져보고 있다. 


고등학교 때에 확률을 가장 못했었는데, 좀 더 열심히는 해둘 걸 그랬나보다. 의외로 실생활에서 유용한 학문 중에 하나인 것 같다. 그 모든 것이 정밀하게 떨어지지는 않지만 안도감을 동반하는데에는 가끔 유용하기도 하다. 모든 주의를 다시금 모아들이고 있다. 그래서 넓지도 않은 마음의 공간이 지금 팽창할 것 같다. 얼렸다 녹였다 팽창했다 수축했다를 반복하다가 보면 결국 지쳐서 잊고 잠으로 회복을 청할 수 있기 때문이리라. 




Kiki-de-Montparnasse432.jpg

IP *.84.246.131

프로필 이미지
2012.01.23 00:04:17 *.138.53.71

캬~ 기다림의 고통이 확 느껴진다.

근데 이 느낌이 지금의 너를 사로잡는 느낌인가?

그저 금요일 오후 5시에 스쳐지나간 느낌일 뿐인가?

그림 속의 저 처자는 왜 글썽이고 있는지.

 

너의 이 글이 네 책에 잘 자리잡아 스쳐지나가는 과정으로 보여지기를.

결국 삶의 환희로 다가가기를.

프로필 이미지
2012.01.24 17:38:59 *.140.216.250

아.. 언니.. 얼마전 페이스북에도 얘기했지만..

 

지금 언니에게 가장 필요한 건 뭐?? 사랑할 사람.

 

진한, 길고 길었던 외로움이 마구 밀려든다. 언니 글을 읽고나니.

 

2012년엔 언니를 세상 그 누구보다 사랑해 줄 수 있는 누군가가 '뿅!!'하고 나타나길!!! ㅋ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잘생긴 외국인이었으면 좋겠다. 그이도 역시 언니처럼 한껏 자유로운 영혼이길.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2.01.25 09:35:12 *.163.164.177

사랑이 깊어지고, 상념도 깊어지고...

젊은 프란치스코가 장미 꽃 밭을 옷을 벗고 뛰었듯이

그대의 마음도, 사랑도 광화문 어딘가를...

장미 꽃밭을 뛰던 사람이 위대해졌듯이

그대의 사랑도 빨리 결실을 맺어서.

위대한 삶과의 인연을 빨리 맛볼 수 있기를...

프로필 이미지
2012.01.25 20:12:05 *.143.156.74

금요일 오후 5시는 내 낮잠 시간인데 사샤는 이렇게 운치있는 생각을 하는구나.

새해에는 사샤의 외로움을 채우고 넘칠 멋진 남자가 나타나면 좋겠구나.

그러면 사샤의 글에도 향기가 넘칠텐데 말이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32 [늑대 39] 시간에 대한 집착 (수정) file [4]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30 2519
2831 이 죽일놈의 왠수 [2] 루미 2012.01.30 2855
2830 39. 지금 어떤 감정을 선택할 것인가? [2] 미선 2012.01.30 2088
2829 나비 No.39 - 미녀 삼총사 모여라 file [9] 재키 제동 2012.01.29 3077
2828 [양갱] #New서문 _ <일상은 신비다> file [4] 양갱 2012.01.29 2087
2827 단상(斷想) 89 - 진정한 구함 file 書元 2012.01.29 2242
2826 #18. 신치의 모의비행-어느 연휴 외 [2] 미나 2012.01.29 2118
2825 #17. 신치의 모의비행 - 새해 계획 세우기 [10] 미나 2012.01.23 2305
2824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8. 지금은 여성시대 [4] 書元 2012.01.23 2453
2823 나도 할 말 있다구요 [5] 루미 2012.01.23 2185
2822 38. 완벽함. 그 뒤에는 file [5] 미선 2012.01.23 2186
2821 [양갱] 똑같은 하늘을 본적이 있는가?(수정) file [9] 양갱 2012.01.23 2160
2820 [늑대38] 시간에 대한 집착 [8]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22 2151
» [Sasha] 기다림의 고통 file [4] 사샤 2012.01.22 2327
2818 나비 No.38 - 걱정에서 벗어나는 법 file [9] 재키 제동 2012.01.21 2528
2817 #16. 신치의 모의비행 - 이제는 말 할 수 있다 [2] 미나 2012.01.17 2158
2816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7. 올인(all in) 書元 2012.01.15 2385
2815 [늑대 37-1] '프로젝트 열정 만들기' 의 목차 [2]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12 2679
2814 <신치의 모의 비행> 프로필, 목차, 서문_수정 [1] 미나 2012.01.10 2219
2813 [늑대 37_서문수정] '일할 맛' 나는 공동체를 꿈꾸며 [3]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1.10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