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11월 5일 10시 12분 등록

21세기 샐리올리브 끌림의 법칙  '다산과 만나다.'

 

 

다산 정약용

다산 선생 지식경영법

 

 

지식을 경영하라. 지식을 경영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이런 의미로 받아들여져 구입한 이 책은 몇 년째 내 서가에 묵히고 있었다.

다산 치학 10강 50목 200결 어마어마한 방대한 분량이요 작업이다.

이 책에 끌려서 사 놓고 손도 대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번주에 내 손에서 한참을 노니는 중이다.

책 여기저기를 훑어보다가 다산 기념관이 여기서 얼마 되지 않음을 발견했다.  남양주 조안리.

아니 그보다 다산의 향기가 맡고 싶어졌다.

 

 

금요일 날씨는 막바지 가을이 아쉬운 듯 하늘은 높고 공기는 그지없이 맑았다.

30분을 달리니 실학박물관 이정표가 나온다. 다산 기념관은 그동안 서너번 갔던 기찻길이 일품인 카페 봉쥬르를 지나 있었다.

 

P1310633.jpg                        P1310632.jpg

 

 

다산의 거리가 조성되어 있었고 [다산 유적지]라는 팻말이 정겹다.

다산기념관과 다산 문화관으로 크게 이분되어 있었다. 기념관과 문화관의 정보도 좋지만

여유당의 운치 있는 한옥이 더 정겹다. 더 기분이 좋았던 것은 실학박물관에서 지금도 여러가지 세미나나 행사가 있다는 일이다.

단지 지자체에서의 겉치례로 만들어진 공간이 아니라 일반인이나 자라나는 꿈나무들에게 구체적으로 무언가를 주고 있다는 것이

내 마음을 가볍게 해 준다.

 

18년의 유배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그는 75살의 나이로 생을 마칠 때까지 이 곳에서 보냈다 생각하니 만감이 교차한다.

조그만 가파른 언덕을 올라서니 두 분이 합장 했는지 커다란 봉분이 나를 반긴다.

다산 선생님에게 인사를 했다.

 

P1310702.jpg       P1310680.jpg

 

"선생님 당신의 훌륭한 업적으로 제가 이곳 까지 이끌려서 왔습니다."

아마도 강진서 유배생활을 하던 그가, 외롭고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던 그가

21세기에 왠 여인이 이곳 자신을 만나기 위해 왔다는 것을 다산 선생은 알까?

혼자서 다산 유적지를 돌아보는 사람들도 있고, 견학을 온 팀들도 있었다.

 

잠시 서 있었다.

스치는 11월초  못내 아쉬워 하면서 가고 있는 가을 바람이 부드러웠다.

책을 시작하려는 시점에 당신을 만난건 행운인 것 같습니다.

" 잘 해 보거라." 아끼는 황산에게 하듯 다산이 내게 말을 건넨다.

 

 

또 다산은 내게 말한다.

부지런히 노력해라. 성심으로 노력해라. 복사뼈가 세 번 구멍나고 벼루가 여러 개 밑창 나도록 노력하고 또 노력해라.

공부해서 무엇에 쓰겠느냐고 묻지 마라. 공부는 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을 수 없어 하는 것이다.

사람이 세상에 나서 책을 안 읽고 무슨 일을 하겠느냐?

백년도 못되는 인생이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이 세상에 살다간 보람을 어디서 찾겠느냐?

 

 

하하 다산 선생님 이젠 100년을 훌쩍 넘겨 사는 저희는 오늘날 100년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요.

다음번에 올 때는 꼭 막걸리를 사와서 다산 선생님이랑 한잔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도 엄청난 감동적인 장 절 때문에 옮겨 적느라 고생을 했는데,

다음엔 책에 의문 났던 부분을 샅샅이 적어와 한잔 드리며 여줘 보아야 겠다.

이분도 우리 사부님 처럼 질문 하는 것을 좋아하신다는 것을 책을 보며 알았다.

 

 

너른 마당에서는 다산 선생 탄 생 250주년을 맞이하여 여러가지 행사가 펼쳐지는 중이다.

붓글씨 대회도 열고 거중기 전시하며, 다산의 여러 시구들을 옮겨 적은 판넬들이 지나가는 사람들을 멈춰 서게 한다.

 

P1310668.jpg        P1310656.jpg

 

책을 보면서도 다산 기념관을 구경하면서도 가장 기이한 부분은 거중기를 만든 사실이다.

그는 학자이면서 또 물리학자였다는 책의 구절도 나온다.

하늘은 가끔은 한 사람에게 많은 지식을 주시나보다 라는 생각도 잠시 하다가 여러가지 학문을 하다보면

결국 통 (通) 하는 시점을 만나게  된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에 멈춘다.

 

다시 정약용 선생님 상 앞에서  여쭈어 보았다.

"선생님 전 구슬이 많은데 어찌 꿰어야 잘 꿰는 것인지 몰라 고민 중입니다.

음...실타래가 엉클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

 

그가 다시금 내게 말 한다.

 

"지금까지 해 왔던 작업을 뒤집어 보거라. "

공부하는 사람들은 흔히 자신이 연구하는 대상에 대해 앞선 연구가 많으면 많다고 투덜대고, 없으면 없다고 한숨 쉰다.

많으면 더 이상 새로 연구할 것이 없을 것만 같고, 없으면 막상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막막하기 때문이다.

 

 

모든 자료는 방향과 시각을 바꿔 보면 모두 새롭다.

어느 것이고 전인미답의 경지 아닌 것이 없다.

남들이 추수하고 간 논밭에서 떨어진 이삭을 줍고, 별것 아니라고

내버려둔 자료에서 가공하지 않은 원석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빈틈을 헤집어 새로운 시각을 찾아내고, 남들이 보고도 못 본 사실을 탐색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남들 하는 대로 하고, 남이 가는 길로만 가서는 큰 성취를 이룰 수가 없다.

 

 

 

난 ..왜 책 때문에 이끌려 여유당까지 갔었는지를 알게 되었다.

다음에 올 때는 꼭 막걸리를 들고 오겠노라고 약속을 하며 발길을 돌렸다. 

 

 

 

 

 

 

 

 

IP *.9.168.1

프로필 이미지
2012.11.05 11:52:54 *.9.168.1

지난주 이어서 쓰기로 한 무대공포증은 ..컬럼을 올리고 나니 앗차 싶습니다. 죄송.

다음주에 이어집니다. 샐리올리브.

프로필 이미지
2012.11.05 14:30:55 *.196.23.76

끌림에 의해 정약용 선생님을 더 가까이 느꼈을 수 있었겠당.

 

다른 책들이 참 좋았지만 이번 책은 특히 더 좋았어요.

전 뭐 가르쳐 주는 책을 주로 많이 좋아하는데, 특히 적용점이 있는 책이 좋거든요.

정약용 선생님 덕분에 내가 지금 힘들 수밖에 없는 이유도 알았고, 더 파고 들어야 한다는 생각도 했음.

 

아.. 다음에 나도 같이 ㅋㅋ 막걸리 좋아요 ^^

프로필 이미지
2012.11.05 16:04:37 *.120.78.130

하하 그릏구나 세린은 알려주는 책을 좋아하는구나

그러고 보니 나도 그런가보네..

 

그러자 우리 다함께 다산 기념관으로 ㅋㅋ

실학박물관은 내가 못 보고 온거더라고 4000원내야 들어간다네..

다음엔 싸악 ~ 돌아보고 오자구요

프로필 이미지
2012.11.05 15:33:08 *.229.239.39

아마도 이 해가 가지전에 팔팔이은 찾아갈 곳이 생긴 것 같네요.

그때 질문 보따리는 셀리가 책임 지구려, 막걸리는 내가 책임 질거니까!

프로필 이미지
2012.11.05 16:05:27 *.120.78.130

ㅋㅋ 겨울맞이 나들이 한번 해야겠네요?

더 추워지기 전에 고맙습니다 웨버님 *^^*

프로필 이미지
2012.11.06 08:16:18 *.35.158.67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있었네요. 도서관에서 다산의 다른 책들을

보는 것보다 다산의 발자취가 느껴지는 곳에서 공부하는 것이

참 공부인 것 같습니다. 

다산의 가르침대로 앉아서 고민하지 말고, 생각한 것을 실천하고

행동하는 누님이 부럽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2.11.06 13:15:54 *.120.78.130

어..승욱아 가족들과 나들이 삼아 다녀와도 참 좋을 곳이더라..

다 둘러본 후  서연형님이 가르쳐 준 곳인데 

'저녁바람 부드럽게 ' 에서 식사해도 좋고...늘 공부하는 아버지랑 사는

너네 자녀들은 참 행복하겠다..

 

난 울 아버지께서 어렸을 때 박물관이며 국립극장이며 참 많이 데리고 다니셨는데

그런 힘이 있는 것 같더라.  내 안에 ...똥쟁이 화이팅이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2 ‘지금 여기’ 에 기초 해야 한다. [3] 학이시습 2012.11.05 2537
3231 쌀과자#27_경제기사 읽는 코드 [5] 서연 2012.11.05 2170
» 21세기 샐리올리브 끌림의 법칙 file [7] [1] 샐리올리브 2012.11.05 2417
3229 중년여성이 다산으로부터 배워야 할 것들 [2] id: 깔리여신 2012.11.05 3262
3228 수상한 뿌꼬 아저씨 #1 [2] [1] 한젤리타 2012.11.05 2473
3227 마지막회. 시칠리아 미칠리아 _ 더 보스 [3] 레몬 2012.11.05 2323
3226 40에 숲으로 가자 [4] 콩두 2012.10.29 2905
3225 예비 독자들의 속마음 - '세린쌤을 도와줘!' 프로젝트 1 [2] 세린 2012.10.29 2308
3224 쌀과자#26_내려가는 길 [2] 서연 2012.10.29 2257
3223 그녀, 인간의 산 [4] 장재용 2012.10.29 2218
3222 시칠리아 미칠리아 8.황야를 떠도는 승냥이 [2] 레몬 2012.10.29 2516
3221 러셀의 무대 공포증 file [2] 샐리올리브 2012.10.29 3697
3220 성찰하지 않는 삶은 정말로 살만한 가치가 없는 거 임? [4] [2] 학이시습 2012.10.29 2779
3219 질투는 사랑이 아니다 [5] id: 깔리여신 2012.10.29 6123
3218 꿈장수 #2 [4] 한젤리타 2012.10.29 2657
3217 난 화끈하게 벗고 있나? [18] 샐리올리브 2012.10.22 2417
3216 엇갈린 운명 file [11] 세린 2012.10.22 6392
3215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과 정선 아우라지 [4] 콩두 2012.10.22 2406
3214 고개 단상 [4] 장재용 2012.10.22 2239
3213 쌀과자#25_네번의 만남 [5] 서연 2012.10.22 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