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용용^^
  • 조회 수 1939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3년 2월 26일 09시 34분 등록

경주여, 내 어찌 살아야 하는가

 

바이로차나 부다 vairocana budda 는 비로자나불의 산스크리트어다. 그는 형체 없이 광막한 우주를 비추는 대지혜의 빛을 뜻하는 부처의 다른 이름이다. 부처의 법신이라고도 하는데 그의 좌우로 보신의 노사나불, 화신의 석가모니불을 거느린다. 비유컨대 법신은 달이고 호수에 비춰진 달은 화신이요, 그 달을 비추는 호수는 부처의 보신이다. 경주 기림사에서 만난 해박한 보살 아주머니가 말해 주었다. 그리하여 기림사에는 불상을 모신 대웅전은 없고 그 빛을 모신 대적광전이 있다.

 

변하지 않고 만물을 비추는 법신으로부터 그 빛이 변화하여 만들어진 부처의 화신, 그리고 보신이라인간의 상황과 목적에 맞게 변하여진 신, 신은 과연 변한 것인가? 변하지 않은 것인가? 변하지 않는 신을 인간이 변화시킨 것인가? “불변은 변화의 탈시간화된 개념이고 변화는 불변의 시간화된 개념이라 하는데 불변과 변화의 개념이 겨울 끝 경주, 포근하게 내려앉은 햇살 아래, 만물을 덮어버리고도 남을 빛나는 현실앞에서는 맥을 추지 못한다.

 

그날 밤, 변하였는가? 우리는 지난 1년을 놓고 서로에게 갈구하며 물었다. 변화를 물었는지 불변을 물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변하지 않았다면 인간이 아니었겠고 변하였다면 변하지 않고 천 년을 서 있는 감은사터 탑의 첨단 앞에 무참할 터였다.

 

오어사에는 천 년 전 신라사람 원효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있다. 그가 쓰던 삿갓인지 아닌지 알 길은 없지만 그의 것이라 주장하며 해진 채 후대 사람들의 구경거리가 되어 있다. 원효는 그 삿갓을 쓰고 요석공주의 침실로 들었을까, 그 삿갓을 쓰고 천촌만락을 돌아다니며 노래하고 춤추었을까, 그의 파계 이후 함께 하였을 것이라 추측되는 그 삿갓을 쓰고 가난한 사람, 어린아이까지 부처를 알고 염불할 수 있게 했을 터인데 지금, 그 삿갓에 손을 대면 곧 모든 것이 바스라질 듯 하여 영원하지 않을 것을 영원으로 보존하려는 사람들의 마음이 다만 눈물겨울 뿐이다.

 

변하여 질 것은 변하게 내버려 두고 변화하지 말아야 할 것은 목숨 걸며 지키자는 생각은 하루 달리 올라서는 빌딩들과 상전벽해의 변화 앞에서 진부한가? 변화는 불변이라는 역설이 홈플러스 바로 옆 조봇하게 앉은 천년 전 세계의 큰 무덤을 휑하니 지나간다.

 

후퇴 없는 시간에 대해 변화는 진리다. 그렇다면 세상에 모든 멈춰버린 것들은 변화에 대한 부조리인가? 괴로운 질문에 답답하던 차에 내 스승은 와병 중 홀연히 나타나 말하였다. “변화는 개혁의 시점을 묵과한 대가이며, 근본적 개혁을 피해간 적당주의에 대한 가혹한 단죄다. …(그리하여) 변화는 우리에게 결국 쓰러짐 없는 안정과 질서를 가져다 주는 것이다.” 자발적 변화란 곧 자신을 변화로부터 지키기 위한 불변의지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알베르 까뮈가 끼어든다.

 

세계의 부조리가 어디 있는가? 이 눈부신 햇빛인가 아니면 햇빛이 없던 때의 추억인가? 기억 속에 이렇게도 많은 햇빛을 담고서 내가 어떻게 무의미에다 걸고 내기를 할 수 있었던가? 내 주변에서는 그래서 놀란다. 나도 때로 놀란다. 바로 그 태양이 그렇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그리고 빛이 너무나 강렬해지다 보면 우주와 형상들을 캄캄한 눈부심 속에 응고시키고 마는 것이라고 남들에게, 그리고 나 스스로에게 대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건 달리 말할 수도 있을 테지만 내게는 언제나 진리의 빛이었던 이 희고 검은 빛 앞에서 나는 내가 너무나 잘 알고 있기에 남들이 마구잡이로 논하는 것은 견딜 수가 없는 이 부조리에 대하여 그냥 단순하게 내 생각을 밝혀 두고 싶다. 그래도 역시 부조리를 이야기하다 보면 우리는 또다시 햇빛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스승과 카뮈의 화학적 결합으로 세계의 변화는 내 어깨와 척추에 내리쬐는 햇살에 속수무책이 되었다. 양동마을 서백당의 600년 향나무와 머리가 유난히 붉은 삼릉의 소나무, 아침 서광에 자지러지는 탑곡 마애불, 경주는 가는 곳마다 나에게 속삭인다. ‘누가 너를 빚어냈는지 알려 하지 마라. 너는 대지에 발붙이며 섰고 한계와 조건으로 살게 되었다. 피와 살이 없어진 뒤 무엇으로 되려는지 궁금해 하지 마라. 중요한 건 너의 머리에 햇살이 내리쬐고 너의 육근은 울퉁불퉁 살아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을 기뻐하는 것, 늙어 흘러내리는 육에 기쁨을 선사하는 것, 유한한 육을 무한으로 확장하는 마음을 누리는 일이다.’

IP *.51.145.193

프로필 이미지
2013.02.27 11:14:51 *.120.78.130

기림사에서도 비로자나불을 물어보더니 역시 비로자나불에 관심이 있었던 구만?

그랴...용용아 근데 같은 경주를 보고 와도 어찌 네 글을 이리 심오한지?

어렵구나...여전히~

나도 너 처럼 심오한 글을 언제 쓸수 있으려는지..

벌써 다들 보고 싶다. ^^

프로필 이미지
2013.02.27 11:21:34 *.142.242.20

오빠 글 세 번 읽음. 

오빠는 오빠만의 문체가 있고, 깊이가 있어서 참 좋다. 

그런데 잘 못알아 들을 때가 많다. 

그럼 속으로 '아,,, 내가 무식하다. 배워간다.'하고 생각한다. ㅎㅎ


고속버스에서 맥주 두 캔 따는 남자 = 시원하고 자유로운 작가 

계속 그렇게 시원하게~ 자유롭게~ 오빠답게~

매주 글 보여줘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2.27 16:33:53 *.41.190.165

천년의 고도 앞에 쓰여진 재용의 글이 어렵다는 팔팔이들의 여론.

스쳐간 너의 생각은 많은 지식인들을 동원해도 너의 생각에는 이르지 못한거겠지. ~

생각이 보다 명쾌해지는 그 때...재용, 너만의 표현이  살아 날거야^^

이번 여행 때 함께 해서 즐거웠다야~~

프로필 이미지
2013.02.27 22:16:57 *.226.198.190
다시 쓰겠습니다. 정신을 차리고 읽어보니 제데로된 글이 아니었습니다. 같은 주제로 쉽게 다시 쓰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3.01 12:55:26 *.129.0.63

공격은 가장 적극적인 방어라는 말처럼

변화를 능동적으로 끌어오는 것도 변해야만 하는 운명을 가진 이들의 즐거운 받아들임일수도 있겠네요.

같은 코스로 같은 시간을 여행했는데 사람마다 마치 다른 곳을 다닌 듯 하네요,

재용, 나는 여행동안 '경주로 온 게 너무 신나서 맥주 2캔 버스에서 깠다'는 말이 젤 좋았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3.03.01 21:37:17 *.194.37.13

너와 함께 여행하면서,

숙소에 오면 제일 먼저 잠자리에 들고, 늦게 까지 잠을 자는데

매주 과제 속에 담겨 있는 너의 글은 언제 쓰여졌는지 너무 궁금했어.

 

하지만, 이번에 알았어. 그것이 함께 있는 사람들에 대한

너의 배려라는 것을 말이야. 내가 아침 일찍 일어나 시끄럽게 할때에도

조용히 있어주는 내가 너무 고마웠어.

 

재용아, 조만간에 김해갈께! 못다 먹은 맥주 먹자~^^

프로필 이미지
2013.03.02 16:22:06 *.137.98.177

오빠야... 어립다...ㅠㅠ 압도하는 깊이가 정신이 아득아득 까마득.ㅋㅋㅋ

 

그러나 깊이를 메꾸라고 요구할 순 없고 오빠는 묵묵히 더 깊이 파고 파낸 흙을 다독여 더 높은 산을 만들어야 하겠징. 그리고 우리들을 위해 케이블카도 좀 만들고 오빠가 높은 데서 바라보는 풍광을 우리와 함께 공유하게도 해주고.

 

나는 연구원 처음 시작할 때, 사부님이 오빠에게 했던 말이 생각난다. "장재용, 그는 큰 산이 될 것이다." 오빠는 빅 마운틴이 될 것이야... 그 말이 부러웠는데 이제는 나도 사부님과 같은 확신을 공유하고 있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