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오미경
  • 조회 수 2185
  • 댓글 수 14
  • 추천 수 0
2013년 5월 6일 09시 12분 등록

나는 하루살이 - 오미경


  어버이날이 평일이어서 주말에 시간을 내 시골에 갔다. 시골에는 남편이 산다. 걸어서 10분 거리에 어머님이 사신다. 살아계신 부모님은 남편의 어머님이자 나의 시어머님 한 분 뿐이다. 평소같으면 ‘바쁘니까 다음주에나 가지’ 라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기회란 언제나 있는 것이 아니다. 삶은 적절한 타이밍이다. 토요일 오후 느즈막에 수안보파크 야외온천에 어머님을 모시고 갔다. 시골에 갈 때마다 나는 어머님을 모시고 함께 온천에 간다. 차로 15분정도 거리이고 내 자신이 야외온천을 즐기는 이유이다. 오후 느즈막하게 온천을 즐기고 있었다. 그 온천의 특징은 바로 옆에 산이 있다. 나무 형체를 구체적으로 볼 수 있고 풀과 꽃들이 피고 새가 지저귄다. 멀리로는 겹겹이 산이 보인다. 김이 모락모락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고 물밖으로 나온 머리로는 바람을 느낄 수 있었다. 산을 보면서 서서히 저물어가는 시간을 느낄 수 있었다.


  변화라는 것은 눈에 띄게 확확 변하는 게 아니었다. 응시하고 있지 않으면 관찰하지 않으면 서서히 어둠이 몰려오는 것을 알 수 없었다. 신기했다. 많은 시간을 살아왔지만, 서서히 변해가는 시간, 어둠이 드리워져 오는 것을 보았다. 변화는 그런 것이었다. 야외 온천에 처음 들어올 때는 환하게 모든 사물들이 보였다. 계속해서 서서히 빛의 칼라가 회색으로 변하더니 이내 검은색으로 산에 있는 구체적인 나무가 어둠속으로 사라졌다. 커다란 형체만 보였다. 수안보 가는 길에 나무가 연녹색으로 변해있는 것을 보았다. 지난 달 4월 13일 어머님 생신이어서 이 길을 왔을 때는 이런 느낌이 아니었다. 4월이 유난히 추웠고 벚꽃이 피지도 않은 앙상한 나무들만이 있었다. 3주만에 다시 이 길을 찾았을때 나무들은 변해있었다. 가지가지마다 연한 연두색의 잎들이 파릇파릇하게 돋아나서 싱그러움을 느낄 수 있었다. 가만히 서 있는 나무도 변하지 않는 것 같지만, 밤과 낮을 달리 하면서 서서히 변화하고 키가 자라고 성장하고 있었다.


  나의 삶은 어떠하던가. 나의 시간도 밤과 낮으로 하루 스물네시간을 살아간다. 이름은 같지만 나의 형체가 조금씩 변해갈 것이고, 내가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변화해간다. 물리적으로 외형적인 변화는 자연적인 것이기에 그렇다 해도. 나의 내면은 어떠하던가. 내가 변하고자 한다면, 끊임없이 나를 관찰하고 나를 알아가는 데서 부터 시작한다. 과거의 나는 내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내면의 욕망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그저 미디어나 세상 사람들 혹은 학교에서 배운 성공의 잣대에 휘둘려 살아왔던 시간들이었다. 그러다가도 몇 번의 변화를 시도한 끝에 몇 개의 산을 넘고 강을 건너면서 지금의 나로 왔다.


 ‘나는 하루살이다’ 나는 하루만 살아간다. 과거의 후회나 미래의 불안은 모두 허상이었다. 오늘 하루를 춤추면서 내가 살아있다는 것을 느끼지 않고는 미래가 없었다. 모든 것을 내일로 미래로 미룬 오늘은 그저 흘러가는 것이었다. 내 시간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는 내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주인이 될 수 없었다. 그저 흐르는 대로 숨만 쉬고 밥만 먹고 일하기 위해서 일어나고 일터에서 하루를 정신없이 보낸다. 저녁에는 피곤해서 그대로 쓰러져 잠자는 반복된 하루를. 그런 하루는 살아있다고 말할 수는 없었다. 그저 먹고 살기에 급급해 일하는 하루는 그냥 소모전이었다.


  변화는 어느 날 갑자기 무엇이 되고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내 꿈과 욕망을 이루기 위해서 하루를 어떻게 내 것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았다. 느리지만 끊임없이 서두르지 않으면서 내 꿈을 이루기 위해서 ‘하루만 산다’는 마음으로 살아야 했다. 오늘 할 일은 오늘 끝내자. 끝내지 않으면 마칠 때까지 한다.

 

  떡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그날 만든 떡을 모두 파는 떡집이 있었다. 기자가 물었다. “어떻게 떡을 남기지 않고 다 팔수 있습니까?”. 떡집 주인이 대답했다. “ 어렵지 않아요. 마지막 떡이 팔릴 때까지 문을 닫지 않습니다.” 그랬다. 하루를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자. 오늘 나에게 주어진 하루는 무엇을 위해 희생하지도 말고 그 하루 자체에 마음을 다해 살자. 만나는 모든 사람이 마지막 만남이라 생각하고 그 순간에 집중을 하자. 깨어있는 삶은 그런 것이다. 하루를 마치고 잠자리에 들 때, 오늘의 나는 죽었다. 내일 깨어난 나는 새로운 나로서 살아간다. 그것이 바로 하루살이고 하루살이가 모여 나의 삶을 살아가며 나의 평생인 인생이 된다. 나에게 쏟아지는 햇빛은 온 몸으로 받아들이며 내 세포가 기쁨으로 춤을 추는 하루를 살자.  

IP *.50.65.2

프로필 이미지
2013.05.06 09:38:02 *.58.97.136

불빛을 향해 뛰어드는 하루살이.

하루를 살고 죽다.

그리고 매일 매일 다시 태어난다.  ---떡 먹고 싶다.... 냠~!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13:05 *.50.65.2

아침에 눈뜨면 새로운 날이 시작되고

잠자리에 드는 순간 

과거의 나는 사라지네. ^_____^

프로필 이미지
2013.05.06 13:51:40 *.182.82.40


나는 하루살이다! 차분하고도 의연한 기운이 느껴지는 선언이 미경씨에게 잘 어울려요.  선생님께서도 각별하게  몸으로 살아내신 부분인데,일상의 황홀을 살아내기,그 당위와 방법론,사례탐구가  미술작품 탐구보다 그대에게 찰싹 달라붙는 느낌이요!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14:47 *.50.65.2

감사합니다. 

기본기가 탄탄해야 하는 이유를 공부하면서 

계속해서 절감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미술 작품도 제 삶에서 풀어쓰기에 시도해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5.06 15:30:59 *.94.41.89

저도 근심걱정 없이 하루하루 즐겁게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하아, 요새 고민이 넘 많은 것 같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16:49 *.50.65.2

쭌영~~

고민이 많다는 것은 아직도 그대가 살아있음이요.

할 일이 있다는 뜻이겠지요. ^___^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08:45:53 *.216.38.13

떡이 다 팔릴때까지 문을 닫지 않는 자...

보통은 그게 자정을 넘기까봐 두려워 그만 포기하고 문을 닫아버리죠.

'오늘이 마지막인 듯이 우물에 두레박을 대어 물을 길어 올리겠다'는 이해인 수녀님의 싯구가 생각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15:55 *.50.65.2

방법을 알았으니, 저도 시도해 보렵니다.

떡이 팔릴때까지 문을 닫지 않는 마음으로.

그날 할 일을 다 끝내고 삶을 마무리하는 하루살이로요.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08:56:37 *.30.254.29

Design Your Life !!! 

 

열심히 읽겠습니다.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17:11 *.50.65.2

우성 선배님도 화이팅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16:20:23 *.1.160.49

기회란 언제나 있는 것이 아니다.

 

정신이 번쩍 나는 깨달음.

다음 글이 기다려집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19:52 *.50.65.2

한쪽 문이 닫히면, 사방을 둘러보면서

열린 문을 향해 나아가렵니다. ^___^

프로필 이미지
2013.05.10 21:57:16 *.65.153.171
누님! 죄송합니다. 이번주 정말 바빠서 이제서야 누님 칼럼 보았습니다. 괴산 여우숲-누님댁-수안보 온천 시리즈 MT 한번 기획해봐야 겠습니다. 여우숲 김용규선생님, 딱 누님 스타일 일것 같습니다. ^_______^
지금까지 오늘에 살고 오늘에 죽을 동지 형선 동생이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0:22:14 *.50.65.2

형선~~~

낯선 남자의 집에서 머무는 재미도 쏠쏠해요.

늘 낯설기 때문에  또한 새롭게 대하기도 하지요.

빨리 MT  가자구요. 괴산 대학 찰옥수수 맛있어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2 [5월 2주차] 지금 이 순간 file [8] 라비나비 2013.05.13 2024
3471 9-2 마침내 별이 되다 (DS) [15] 버닝덱 2013.05.13 2082
3470 5월 2주차 칼럼 - 내가 책을 읽고 글을 쓰려는 이유 file [16] 유형선 2013.05.13 2158
3469 #2. 필살기는 진지함이다. [8] 쭌영 2013.05.13 2053
3468 떠날수 밖에 없는 이유 - (9기 최재용) [16] jeiwai 2013.05.11 2494
3467 산 life #3_노적봉 [6] 서연 2013.05.09 2907
3466 2-4 너는 나의 미로 콩두 2013.05.08 2311
3465 가까운 죽음 [12] 한정화 2013.05.07 2421
3464 산 life #2_마이너스의 손, 마이더스의 손 [1] 서연 2013.05.07 2615
3463 저와 함께 춤추시겠어요 [6] 한젤리타 2013.05.06 2197
3462 (No.1-1) 명리,아이러니 수용 - 9기 서은경 [13] tampopo 2013.05.06 2035
3461 [5월 1주차] 사부님과의 추억 file [9] 라비나비 2013.05.06 2359
3460 연 날리기 (5월 1주차 칼럼, 9기 유형선) file [7] 유형선 2013.05.06 2274
» 나는 하루살이 [14] 오미경 2013.05.06 2185
3458 Climbing - 6. 오름에도 숨고르기가 필요하다 [1] 書元 2013.05.05 1991
3457 #1. 변화의 방향 [7] 쭌영 2013.05.05 2088
3456 9-1 마흔 세살, 나의 하루를 그리다(DS) [7] 버닝덱 2013.05.04 2169
3455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9기 최재용) [19] jeiwai 2013.05.04 2096
3454 시칠리아 미칠리아 - 소설 전체 file [5] 레몬 2013.05.01 2215
3453 시칠리아 미칠리아 - 몬스터 (수정) [2] 레몬 2013.05.01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