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tampopo
  • 조회 수 2034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3년 5월 6일 11시 58분 등록

칼럼1. 자기경영

--- 죽어야 사는 여자

 

변화Story1.-명리, 아이러니 수용 (한계에 대한 사랑)

변화Story2.-민낯 드러내기 (두려움에 맞서는 용기)

변화Story3.- 습관의 씨앗 (시간과 호흡하는 실천력)

변화Story4.-‘구본형정신 (매일 되살아나는 남자)

  

 

                                                                                              *        *          *  

  

                                    명리(命理), 아이러니 수용

 

 

  *

한 때, 겁 없던 시절이 있었다.

내 의지만 있으면, 세상의 모든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이 늘 내 안에 늘 고여 흐르고 있었다. 내가 동쪽으로 가리라하면 동쪽으로 가고, 내가 저것을 바꾸고 싶다하면 미친 듯이 달려들어 그 일에 몰두했다. 나는 늘 모험심이 넘쳤고 열정적이었으며 내가 추구하는 이상을 실현하고자 이 세상에 태어난 듯 설치는, 다소 부담스러운(?) 여자였다.

적어도 30대 초반까지는 그러했다. 나는 평화라는 신념에 몰두했으며 과거사의 책임이란 의무감에 나를 헌신하듯 다큐멘터리를 찍었으며, 세상 속 여자라는 이름으로 당하는 차별이 마치 내 일인 양 흥분하며 분노의 칼을 뽑아 들었다. 나는 이상주의자였으며 실천적 몽상가였다.

 

이런 나를 보고 대단하다, 존경스럽다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또 한 부류의 사람들은 무모하다 겁 없다고 고개를 내 저었다. 나는 정말 세상에 대해 겁이 없었다. 나는 책읽기보다 내 발로 걸어서 세상을 탐험하고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 속으로 뛰어들어 만나기를 좋아했다. 서로 무언가 통한다 싶으면 미친 듯 행복해 했고 늘 그 통함을 찾아서 마치 그것이 세상의 절대적 진리인양 맹신하였다.

 

그러던 내가 무너졌다.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펄펄 날뛰던 여자가 벌렁 뒤로 자빠졌다. 나에게 한계는 늘 극복의 대상이었다. 나는 세계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 인간의 삶이며 나의 소명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랑으로 보살펴야만 비로소 사라지는 한계가 있었다.

 

 

**

딸을 낳았다. 나는 내가 10달의 정성으로 생산한 딸아이를 보며 흐뭇했다. 아이도 잘 키우면서 내가 꿈꾸는 내 일도 제대로 잘 하고 싶었다. 당연히 남편은 아빠로서 조금씩 시간을 내어 아이 양육에 함께 책임을 하리라고 생각했다. 아니, 그렇게 하는 것이 아빠로서의 도리이고 제대로 된 아빠라고 굳게 믿었다.

 

그런데 개뿔.... 나의 그런 믿음은 오직 나만의 착각이고 오만이었다.

남편은 30대 중반, 한창 바쁘며 잘 나가고자하는 IT업계의 허리 역할을 맡고 있었다. 남편은 하루 24시간을 회사 일에 몰입했으며 집안 일, 아이 돌보기 등은 아내인 내가 알아서잘 해주기를 진심으로 당연히(?)’ 바라고 있었다. 조금 미안한 마음을 가지면서 말이다. 남자들의 이런 마음은 여자들이 남편에게 당연한듯돈 잘 벌어왔으면 하는 심리와 통한다.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나는 아이가 최우선인 수용적인 엄마가 되어야 했고 아이의 아빠인 남편을 잘 보좌하는 현명한 아내가 되어야 했다. 늘 집안 기운을 정갈하게 유지하며 온 가족의 편안한 휴식처가 될 수 있도록 내 마음을 흔쾌히 내어 놓아야만 집안에 평안이 깃들 수 있었다.

 

하지만 나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내 일과 꿈, 역할 등을 단숨에 훌훌 털어버리는 마음전환이 죽을 만큼 어려웠다. 불합리하게 여겨졌다. 아이는 함께 낳았는데, 아이 탄생과 동시에 나를 버려야 아이도 남편도 편안해 하였다. 나를 주장하고 상황에 불만하고 남편에 분노하면 집안은 험악한 꼴로 돌아갔고 그 어두운 분위기는 아이가 가장 먼저 알아챘다.

 

으악~ 서은경, 한때 자유로운 영혼이었던 니가 이제 여자로서 도를 닦아야 할 순간이다...!!”

 

강한 여자이자 솔직한 오만을 자랑하던 야생의 서은경은 생명을 품고 난 이후로 무너졌다. 일단 무너졌다.

매일 밤마다 그녀는, 세상을 가슴에 품고 중원을 말 달리던 과거 그녀의 잔상들을 떠올리며

삽을 들고 조용히 자신의 죽이고 그 시체를 땅에 묻는다.

 

신은 우리가 바닥에 나불러 자빠졌을 때만 우리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민다. 그리고 나에게 묻는다.

  이제 깨달았느냐... 버릴 수 있느냐... 다 버렸는냐.... 이제 나에게 순종하겠느냐......?”

 

나는 껌뻑 죽어서 머리를 조아리며 대답한다.

  아이고 믿습니다.... 저는 없습니다....아멘, 나무아미타불 관세음 보살....-.-;;”

 

 

 

*** 

이해라는 것은 내 눈에 보이는 세상내 눈에 보이는 대로 보지 않을 때비로소 이해가 시작된다.

세상도 타인도 내가 바꿀 수 있는 영역의 것이 아니었다. 나는 오직 나의 변화에 최선을 다하여 역사의 돌담길에 

나 담은 작고 이쁜 돌멩이 하나 살짝 올려놓을 수 있으면 뿌듯하고 감사하다. 

 

하루하루 나 자신을 죽이고 변신해 가는 과정그 길 위에서

밝은 빛이 보이는 한 방향을 다른 이들과 함께 바라보며 그저 묵묵히 걷고 있을 뿐이다.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 것, 명리!

바로  '아이러니 수용'이 나의 첫번째 변화성장의 과제다.

 

 

'한계에 대한 사랑.....'

 

 10 여 년 전, 인터넷 내 블로그의 첫 대문 글귀를 장식한 화두같은 문구다.

그때는 이 문구를 쓰면서 나는 얼마나 억울하고 슬퍼하며  울었던가....

 

그런데...

지금은 이 문구에 별스러운 설움이 몰려들지 않는다.

내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제, 하나의 언덕을 넘었다. 

 

 

 

 

                                                                                                                                                           

                                                                                                                                             2013.5.6 (월) 

                                                                                                                                            서 은 경 쓰다                         

IP *.58.97.136

프로필 이미지
2013.05.06 14:10:15 *.182.82.40

은경씨보다는 훨씬 조촐하고 컨추리스러웠지만^^나도 비슷한 성향을 갖고 한 시절 살다가 지금 조용히 넘어 져 있네요.육아가 아니라 나이듦에 의해서... 이제껏 한 번도 처절하게 넘어져 본 적이 없다,그래서 거듭 나지도 못했다는 자기분석입니다. 이제야말로 죽어야 할 때...

프로필 이미지
2013.05.06 15:34:54 *.94.41.89

헉, 4주 목차까지 다 뽑으셨네요. 대단대단~ 

그나저나 저희 회사 임원들도 보면 정말 일만 하더라구요. 

능력도 안되지만 전 임원 하라고 해도 절대 못할 것 같어요. 

지금 생각해보니 그게 다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겠다 싶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3.05.06 19:03:19 *.58.97.136

명석 선생님...  지금 이탈리아에 계신거죠?

가셔서 훌훌 벗어 던지시고  멋지게 죽어 돌아오시기를....

다녀오시면 쌤이랑 둘이서 맥주 한 잔 하고파요....

 

멀리서 이렇게 코멘트 달아주시니

정말 기쁘고 고맙습니다.

 

참, 그리고

인물은 이탈리아 남자들이 으뜸이라고 하더군요.

조각상 닮은 그들을 눈 시리도록 많이 감상하시고

또 유쾌하고 재미있는 추억 많이 만들고 오시길 비옵니이다.....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08:37:20 *.216.38.13

장례식 경험을 뒤늦게 하면서 이 세상에서 저 자신을 조금더 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나이 듦, 가정 그리고 사회생활...  매일매일이 한계에 대한 수용을 요구하는 때 아닌가 싶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22:53:56 *.58.97.136

선배님, 내년에도 장례식을 함께?  ㅎㅎㅎ

웃는 모습이 참 좋아요, 정재엽 선배님... 장례식 때는 우셨지만...^^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08:43:51 *.30.254.29

한계에 대한 사랑...

죽어야 사는 여자...

감칠맛 나는 제목..

 

사부님은 늘,

첫문장이 중요하다고 하셨죠.

컬럼의 첫문장과

마지막 문장이 혀에 착 감깁니다.

 

첫 컬럼 잘 읽었습니다.

건투를...^^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22:56:02 *.58.97.136

글 읽어주시고 코멘트 해주시고... 영광입니다, 선배님.

아직 부족함이 많습니다.  잘 모르는 것은 여쭈어가며 하겠습니당...캄솨^^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15:54:43 *.1.160.49

한때 자유로운 영혼이었던 니가 이제 여자로서 도를 닦아야 할 순간이다...!!

 

도 닦기엔 여기만 한 곳이 없더라구요.

기왕 하시는 거 제대로 해보셨음 합니다.

깊~~~~~은 응원 보냅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3.05.07 22:58:14 *.58.97.136

제대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교과 담당, 미옥선배님

 거침없는  지도 부탁드립니당..... ^^

프로필 이미지
2013.05.10 21:19:18 *.65.153.171
조용히 그리고 조심스럽게 누님 첫 칼럼 읽었습니다.
9기 함께 할 시간 더 많았으면 참 좋겠습니다. 5월의 수업을 기다립니다. ^______^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2:43:30 *.58.97.136

빨리 만나서 술 한잔 하고프다..  ^^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1:52:00 *.50.65.2

우와~~한달 칼럼 타이틀과 뼈대를 다 구상하다니.

은경이 대단해요~~~

죽어야 사는 여자는 도닦는 여자로 변신, 변역을 하다니...

발랄하고 재밌게 잘 읽었어. 

박수~~~~~

프로필 이미지
2013.05.13 12:47:07 *.58.97.136

오미경! 그대는 이미 죽어본 여자~

 

"여기는 서울, 여기는 서울~"

"오늘 그곳, 천안 날씨는 어떠한가? 오바" 

 

 

봄날이다, 오미경.

Bloom Bloom 봄꽃들이 피어오르는데 자기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제 칼럼도 책도 집어 던지고

밖으로 나가자!

이른바 봄 바람~야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2 [5월 2주차] 지금 이 순간 file [8] 라비나비 2013.05.13 2024
3471 9-2 마침내 별이 되다 (DS) [15] 버닝덱 2013.05.13 2082
3470 5월 2주차 칼럼 - 내가 책을 읽고 글을 쓰려는 이유 file [16] 유형선 2013.05.13 2158
3469 #2. 필살기는 진지함이다. [8] 쭌영 2013.05.13 2053
3468 떠날수 밖에 없는 이유 - (9기 최재용) [16] jeiwai 2013.05.11 2494
3467 산 life #3_노적봉 [6] 서연 2013.05.09 2906
3466 2-4 너는 나의 미로 콩두 2013.05.08 2311
3465 가까운 죽음 [12] 한정화 2013.05.07 2421
3464 산 life #2_마이너스의 손, 마이더스의 손 [1] 서연 2013.05.07 2615
3463 저와 함께 춤추시겠어요 [6] 한젤리타 2013.05.06 2196
» (No.1-1) 명리,아이러니 수용 - 9기 서은경 [13] tampopo 2013.05.06 2034
3461 [5월 1주차] 사부님과의 추억 file [9] 라비나비 2013.05.06 2359
3460 연 날리기 (5월 1주차 칼럼, 9기 유형선) file [7] 유형선 2013.05.06 2274
3459 나는 하루살이 [14] 오미경 2013.05.06 2185
3458 Climbing - 6. 오름에도 숨고르기가 필요하다 [1] 書元 2013.05.05 1991
3457 #1. 변화의 방향 [7] 쭌영 2013.05.05 2088
3456 9-1 마흔 세살, 나의 하루를 그리다(DS) [7] 버닝덱 2013.05.04 2169
3455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9기 최재용) [19] jeiwai 2013.05.04 2096
3454 시칠리아 미칠리아 - 소설 전체 file [5] 레몬 2013.05.01 2214
3453 시칠리아 미칠리아 - 몬스터 (수정) [2] 레몬 2013.05.01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