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쭌영
  • 조회 수 192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3년 6월 2일 07시 55분 등록
신화는 거짓말이다. 이걸 이해하는데 그토록 오랜 세월이 걸렸다. 오롯이 내 안의 것으로 이해하는데 오랜 세월이 걸렸다. 왜 그랬을까? 자연을 사랑하고 예술을 사랑했지만 왜 그토록 신화를 부정하고 혐오했던 것일까? 

기억나지 않지만 어느 순간부터 합리적이고 이성적이지 않는 모든 것을 부정했다. 난 여유와 몽상을 잃는 대신 실리와 속세를 얻었다. 여기저기 채이면서 말이다. 그런 나에게 신화란 말도 안되는 이야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였다. 그래서 중세 유럽의 그림들과 그리스 신화에  빠져있던 누나를 보면 한심하다고 생각을 했다. 그런거 보면 밥이 나오나, 도대체 오늘날 우리에게 무슨 득이 되는지 의아했다.

종교역시 믿지 않는다. 모든 종교의 최초의 모습은 신화와 닮아 있다. 천지를 창조하고, 물로 포도주를 만들고 등등.. 도대체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런 것들을 믿고 있는 많은 사람들 역시 한심하다고 생각했다. 모태신앙이지만 20대 초중반쯤 완전 교회에 발을 끊어버렸다. 더이상 이런 말도 안되는 것들에 시간낭비 하고 싶지 않았다. 난 현실에서 풀어야 할 숙제들이 너무도 많았다.

하지만 신화에 대해 생각을 바꾼 것은 조셈캠벨의 <신화의 힘>에서 읽은 한 구절 때문이였다. 
'신화는 은유다'. 
머리에 해머를 맞은 기분이였다. 도대체 왜 난 지금까지 이 생각을 못했던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왜 누구하나 이런 말을 해주지 않았던 것인지 원망스럽기도 했다. 그래 신화는 은유법이고 정신나간 이야기였다. 그리고 시의 언어이기도 했다. 그 누구도 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지 않듯이 신화 역시 과학적으로 실증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없는 것이였다. 그리고 드디어 이해하게 되었다. 신화는 거짓말이 맞았다.  이제서야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이야기 하는 것처럼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었다. 그래 신화는 역시 거짓말이였어~

사실은 변하지 않았지만 이제 난 관점이 달라졌다. 더이상 신화와 종교를 적대적으로 보지 않게 된 것이다. 그들을 분석하기 보다는 이해하려고 노력한 것이다. 종교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부모님을 이해하게 되었고, 누나의 책장 한칸을 채우고 있는 신화 미술관련 서적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건 말그대로 믿음의 문제이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였던 것이다.

신화는 거짓말이다. 그래서 그 안에 과장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오로라가 있다. 가끔은 하늘을 날고 가끔은 변신을 한다. 하지만 삶은 진실이다. 따분하고 밋밋하지만 우리는 매일 일상을 마주해야 한다. 우리의 육체는 제한되고 우리의 사회는 숨이 막힐 정도로 질서정연하다. 재미없는 삶에 신화의 소스를 버무려 보자. 훨씬 여유로워지고 영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을 것 같다. 가끔 제우스와 에로스에게 말도 걸어봐야 겠다. 시처럼 부드럽게 말이다.  

IP *.205.36.140

프로필 이미지
2013.06.02 08:11:07 *.153.23.18

쭌영님 조셉 캠벨 옹이 신화를 향한 문의 돌쩌귀를 빼주었군요. 축하드립니다.

자연과 예술을 사랑한다고 자연스레 말씀하시는 쭌영님

출장 잘 다녀오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3.06.04 17:54:56 *.18.255.253

준영,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인문학에서 답을 찾는 것 같아. 

절제되고 깔끔한 문장이 너무 좋아.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12 J에게 : 네가 좋아하는 것부터 그려봐 [2] 한정화 2013.06.07 2306
3511 산 life #6_고객과 친구사이 서연 2013.06.05 4237
3510 (No.2-1) 천복탐색, 그윽한 행복감- 9기 서은경 file [2] tampopo 2013.06.03 2439
3509 그대! 내가 누구인지 말해주오 [2] 오미경 2013.06.03 4754
3508 칼럼은 지난 주 '사부님 편지'로 대체합니다. [2] 라비나비 2013.06.03 2185
3507 # 5 - 체험의 삶 [2] jeiwai 2013.06.03 2066
3506 사부님께서 나에게 보내신 편지 [4] 유형선 2013.06.03 1900
3505 (9-5 칼럼) "나는 기계정비를 잘하지" by DS [1] 땟쑤나무 2013.06.03 2155
3504 Climbing - 10. Ordinary Miracle [1] 書元 2013.06.02 1879
» #5. 신화는 거짓말이다. [2] 쭌영 2013.06.02 1923
3502 [2-7] 편지 두 통 [10] 콩두 2013.05.28 2084
3501 산 life #5_지름신 [8] 서연 2013.05.28 2002
3500 앞으로 몇 달동안 겪게될 일 [2] 한정화 2013.05.27 2061
3499 구본형 정신 _ 9기 유형선 file 유형선 2013.05.27 2327
3498 구본형 정신에 대하여 jeiwai 2013.05.27 2121
3497 5월 off 수업 - 스승의 편지 jeiwai 2013.05.27 2086
3496 #4. 비극의 주인공 [4] 쭌영 2013.05.27 1934
3495 [5월 오프수업] #2. 사부님이 나에게 보내는 편지 file [2] 라비나비 2013.05.26 2265
3494 [5월 오프수업] #1. 구본형 정신이란 무엇인가? file 라비나비 2013.05.26 2453
3493 (No.1-4) 운명이라는 열매(하늘에서 내려온 사부와의 대화)-9기 서은경 tampopo 2013.05.26 2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