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동이
- 조회 수 196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직장에서 한 개인의 경쟁력은 어떻게 평가될까? 그리고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이는 모든 직장 초년생들의 고민이다. 학교와 취업의 살벌한 경쟁을 뚫고 들어온 회사이다. 하지만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야 한다. 막막하기만 하고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직장을 3년 정도 다니면 몇 가지 깨닫는 것이 있다. 내가 다니는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무엇인지. 내가 일하고 있는 부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같이 일하는 동료들은 어떤 일을 하고 그 일들 중 중요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자세로 일을 해야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알게 된다. 만약 3년이 지나도 이와 같은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다면 다시 생각해 볼 일이다. 지금 다니고 있는 직장에 몰입을 하고 있지 않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직장 생활 3년이 지나면 사원에서 대리로 또는 이에 준하는 준비를 하는 시점이다. 이는 회사에서 일정부분 책임을 부여 받는 시기가 도래함을 의미한다. 회사에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지식과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이는 하루 아침에 가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의 교과서처럼 잘 준비된 매뉴얼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단지 What에 대해서만 말하지 How에 대해서는 잘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고 어디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이 질문은 자신을 차별화시키고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 될 것이다. 하지만 답하기는 어렵다. 일정 부분 부서에서 역할과 과업을 주지만 이는 자신에게 잘 맞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무턱대고 달려 들었다가 실력발휘는 고사하고 헤매다 시간과 정력을 모두 소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상사를 만나면 이러한 문제를 좀더 쉽게 풀어나갈 수는 있다. 그가 갖고 있는 업무 경험과 성장 과정을 나누면서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도 장기적으로 바랄 수 없는 문제이다. 대부분 좋은 상사들은 바쁘기 때문이다. 그러니 좋은 상사를 바라기 보다는 먼저 자신이 선택을 해야 한다. 즉, 마음을 굳혀야 한다는 것이다.
일단 자신이 다니고 있는 회사에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성장에 대한 굳은 의지를 다진 후라면 이제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물론 업무 태도, 인간 관계, 협업 방법, 업무 능력, 관련 지식 수준 등 다양한 것이 영향을 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발판은 무엇일까? 난 하나를 꼽으라면 필요한 사람이 먼저 되어보라는 것이다.
회사에서 필요한 사람은 다양하다. 관리자부터 말단 사원까지 모두가 업무에 필요하다. 중요도나 영향력은 다르지만 누구 하나 없이는 회사가 원활하게 움직이질 못한다. 학교에서는 동일한 교재로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경쟁한다. 점수로 결과가 평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사는 역할을 나누어 일을 하므로 경쟁이라기 보다는 협력이 맞다. 그럼 협력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이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나?
이 시점에서 경쟁력의 핵심으로 차별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 직장생활에서 자신을 차별화해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경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협력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회사는 같은 일을 두 사람 이상에게 똑같이 시켜서 결과를 평가해 하나는 채택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두 사람 이상에게 다른 일을 나누어주고 이를 합해서 더 나은 성과를 얻어 내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협력하기 좋은 사람이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차별화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나만 하는 일을 만드는 것이다. 나만 할 수 있는 일의 경지까지 올리면 금상첨화이나 이는 시간과 노력이 제대로 투여된 후의 결과이다.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첫 단추로서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Only one이 되는 것이다. 그 일의 경중 난이도를 떠나서 Only one을 확실하게 구축한다면 차별화는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직장에서 분장된 업무 중에 다른 사람과 겹치는 일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런 종류의 일은 대부분 전문 업체에 외주로 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화된 기술 기업에게는 업무를 중복시킬 만큼의 인력 여유가 없는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나만이 하는 일을 넓혀 나간다면 직장에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확실한 기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직장에서 하는 일중에 중요하지 않은 일은 없다. 직장 3년차 이후 전문화의 길을 가기 시작할 즈음 남들이 힘들어하거나 혹은 귀찮아 하는 일들을 살펴보자 부서에서는 아직 막내의 입장일지라도 그러한 일들을 모아서 숙련된 솜씨로 처리하게 되면 갑자기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부장, 차장, 과장, 대리, 사원을 막론하고 그 일은 필요한 것이고 따라서 이미 많은 내부 고객을 확보하게 되는 샘이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직장에서 활용가능한 방법이다.
차별화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Only One이 되는 길이다. Only One 되는 길은 남들이 안 하는 일을 하면 된다. 그리고 나만 하면 된다. 그리고 그 일을 내가 다 처리하면 된다. 그럴 수 있을까? 한번 주위를 살펴보라 이런 일들이 널려 있다. 부서원들이 하는 일들 중에 각자가 outsourcing하고 싶은 일들이 있다. 그 중에 괜찮은 일을 모아서 독점하면 차별화를 이룰 수 있다. 학교에서 Only one은 최고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직장에서는 최고가 아닌 나만의 일을 가지면 되는 일이다. 찾아보자 나만이 할 수 있는 일로 만들 것들을 말이다. 정말로 많이 있다고 놀라지 마라. 그것이 당신의 경쟁력이 될 밑천이고 이미 당신은 많이 갖고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나만 하는 일이 있으면 그 일을 많이하게 되고 그러면 잘하게 된다. 그러면 나만 할 수 있는 일로 만들 수 있다. 회사에서 나만 할 수 있는 일 하나 갖는다는 것 이 것이 차별화의 첫걸음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492 | 늦었다고 퇴사할순 없잖아! _서문수정 [1] | 어니언 | 2015.01.19 | 1925 |
4491 | 내 마음으로의 여행 [1] | 녕이~ | 2015.01.19 | 1953 |
4490 | 워킹맘이여, 죄책감을 다시 디자인해라 | 찰나 | 2015.01.19 | 1966 |
4489 | 어쩌다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3] | 종종 | 2015.01.19 | 1921 |
» | #39 - 직장에서 차별화하기 위한 첫 걸음 [1] | 희동이 | 2015.01.19 | 1965 |
4487 | #39 드디어 멍하이勐海_정수일 [2] | 정수일 | 2015.01.19 | 2362 |
4486 | 처벌은? [1] | 에움길~ | 2015.01.19 | 1908 |
4485 | 재혼전주곡 [4] | 왕참치 | 2015.01.19 | 1901 |
4484 | 마흔, 남편의 이야기 [3] | 앨리스 | 2015.01.19 | 1933 |
4483 | 노는 법_구달칼럼#42 [2] | 구름에달가듯이 | 2015.01.18 | 2004 |
4482 | #38 1월 오프후기 및 과제 [5] | 정수일 | 2015.01.13 | 1944 |
4481 |
1월 오프 수업 과제 ![]() | 종종 | 2015.01.13 | 1966 |
4480 | 오프과제 및 책목록 | 녕이~ | 2015.01.13 | 1972 |
4479 | 1월 과제 및 후기 및 책목록 [1] | 어니언 | 2015.01.13 | 2003 |
4478 | 1월 오프수업 후기 및 책 목록 | 에움길~ | 2015.01.13 | 1873 |
4477 | 1월 오프수업 후기 및 과제 | 왕참치 | 2015.01.13 | 2394 |
4476 | 1월 오프수업 과제 및 후기 | 앨리스 | 2015.01.13 | 2035 |
4475 | 1월오프수업후기_출간계획서_구달칼럼#41 | 구름에달가듯이 | 2015.01.13 | 1982 |
4474 | #38 1월 오프 수업 후기 | 희동이 | 2015.01.13 | 1916 |
4473 | 1월 오프 수업 과제_워킹맘의 죄책감_찰나 [1] | 찰나 | 2015.01.12 | 43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