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승훈
  • 조회 수 925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8년 4월 22일 17시 28분 등록

청예단에서 전화 상담을 작년 11월에 시작했으니 이제 6개월에 접어들었다. 11월엔 학기말이라는 시기여서 졸업을 앞두고 전학처분을 받고 황망해하는 어머니부터, 얼마 남지 않은 기간에 학폭위를 겪으며 학교에 교사도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막막하다는 부모님까지 시기적인 특징을 볼 수 있었다.

 

방학 동안은 이렇게 상담전화가 없다면 정말 좋겠다. 그만큼 사건이 없는 것일 테니까. 신학기인 3월은 처음이고 서로에 대해 잘 모르니 간보는 시기다. 4월이 되니 상담이 많아진다. 학교 적응을 어려워하는 아이, 친구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아이, 아이들과 어울리다 받는 상처들. 학기 초라 학교나 교사의 반응도 좀 더 지내보자도 있다. 이런 교사의 반응에 아이도 부모도 답답하고 화까지 나타낸다. 교사의 안일함에 대해서, 혹은 우리 아이는 힘든데 몰라주니 믿음이 가지 않는다.

 

나는 말한다. “괴롭히는 아이들은 그냥 둔다고 나아지지 않아요. 저절로 사이가 좋아지는 것을 바라는 건 관계가 좋을 때죠. 지금처럼 힘의 우위에 의해 괴롭힘이 작용할 때 교사와 어른의 개입이 필요해요. 그러니 교사에게 내 아이의 고통을 제대로 이야기하고 그동안에 있었던 일들을 육하원칙에 의해 작성해두세요. 한두 번의 일로 그치지 않았다는 것도 인식할 수 있도록이요.” 많은 부모님이 내 아이가 피해를 입었어도 학폭위까지 가고 싶어 하지 않는다. 학폭위 처분은 그저 처분일 뿐이다. 상대 아이가 처분을 받는다고 해서 내 아이의 고통이 없어지거나 관계가 회복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럴 때 해보길 권하는 것이 있다. 그냥 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점점 더 심해지는 것을 알기에 교사가 말로만 하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래서 상대 부모에게 각서를 받는 것이다. ‘앞으로 이런 일이 한 번 더 있을 경우 학폭위를 개최한다.’는 내용으로 교사가 상대부모에게 받아두면 아이도 경각심을 갖게 되고 부모도 갑자기 가해자로 학폭위에 불려가는 당혹스러움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긴급하거나 심각한 사안은 이렇게 할 수 없다.

전화 내담자인 부모에게 권하면 오히려 학폭위보다 좋다고 반가워한다. 이렇게 한 번 경고장처럼 예지를 할 수 있기에 다음에 학폭위를 열 때도 덜 힘들고, 무엇보다 학폭위를 열지 않아도 된다면 더 좋은 것이다.

 

6개월을 상담을 해보니 다양한 분들이 전화를 한다. 상담교사, 학폭위 전담교사에서부터 피해자, 가해자 어머니, 아버지까지. 울먹이며 전화하시는 분에서부터 화가 나서 전화하시는 분까지. 우리는 들어주는 것부터 시작이다. 중간 중간 사실 관계만 확인하며 듣다가 꼭 물어본다. “우리 아이는 지금 어떤가요? 우리 아이가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이렇게 물으면 아이가 바라는 것을 모르는 부모들도 있다. 아이보다 부모의 마음에 더 치중한 경우다. 그럴 땐 꼭 힘든 아이에게 힘이 되 줄 것과 아이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라고 한다. 반면 힘들어하는 아이의 상황을 이야기하면서 처음엔 주저하며 말하지 않았던 것들을 이야기한다.

 

몇 십 분을 통화하면서 부모님도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판단을 하게 된다. 특히 내 아이를 위해 내가 힘을 내야하고 버텨야하는구나 하는 것을 알게 되는 것 같다. 아이의 잘못에 대해 학폭위 처분을 과하게 받았는데 집에서 아버지는 매일 반성문을 1페이지씩 쓰게 했다고 한다. 분명 아버지는 자녀의 억울함을 알고 안타까워하고 있었음에도. 그래서 지금 저에게 말씀하신 것처럼 자녀에게도 말해주라고 했다. 반성문은 그만 쓰게 하라고 아이의 힘든 마음을 표현해주라고 했다. 사실 그 상담은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 상담이었는데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게 되어 너무 도움이 되었다며 한결 밝아진 목소리로 상담을 끝냈다.

 

학폭위 경험자인 나는 잘 안다. 아이들 못지않게 부모도 위안 받고 싶어 한다는 것을. 누군가 내 말을 들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한결 마음이 안정된다. 앞으로 힘들 때 전화하면 되겠구나 하는 마음이 들면서 든든함도 느낄 것이다. 내가 특별히 상담을 잘 해서가 아니다. 상담의 기본이 들어주기라는 걸 이론으로 배웠지만 실제로 해보니 기본이 아니라 핵심이다. 내담자에게 힘을 실어주고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까지 나아간다면 더할 나위없다.

이상 초보 상담가의 경험담이다.

IP *.124.22.184

프로필 이미지
2018.04.22 22:48:54 *.48.44.227

이미 중견 상담가이심!!

피해자는 너무 마음이 약하고 가해자는 너무 뻔뻔해요. 그 부모에 그 자녀가 대부분이고요.

무조건 위로보다는 잘못을 정확하게 짚어주는 것도 중요하지요.

때로는 학부모교육이 더 절실한 것 같아요

수고 많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8.04.23 17:19:33 *.130.115.78
듣는 것 만큼 힘든 일이 없을텐데, 그것도 마음의 평화를 잃어버린 사람의 이야기라면 더더욱. 이런 일을 무보수로 자처하는 분들이 계시는구나.

읽을 때마다 놀랍니다. 그 일의 무엇이 승훈님을 끌어당기는지가 궁금해집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8.04.24 11:46:01 *.124.22.184

지금 하는 상담봉사는 경험자이기에 그들이 무엇이 필요한지 안다고 해야할까요. 그래서 하는데 사실 요즘은 '내가 왜 봉사를 이렇게 하는 걸까. 혹 내 안에 나도 모르는 무의식이 작용하는 게 있는 걸까' 생각하게 돼요. 전화상담말고도 자원봉사하는 게 몇 가지 더 돼거든요.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봐야 하는데 실행력이 짱이다보니 행동하는 시간이 훨씬 많네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8.04.24 11:43:15 *.124.22.184

웨버님은 학교현장에 계셔서 너무도 잘 아실거예요.

맞아요. 피해자 부모와 아이가 마음(심지)이 약하더라구요. 여지없이 부모를 닮았구요.

부모로 잘 사는 모습을 보여줘야 겠다는 걸 새삼 느끼고 있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8.04.23 18:14:32 *.103.3.17

초딩 부모로 살아가다보니 학폭위라는 것이 남의 일만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서글픈 현실이지만 우리 사회는 앞으로도 그쪽 분야의 전문가들을 많이 필요로 할 것 같습니당. 아라미스, 화이팅입니당^^

프로필 이미지
2018.04.24 11:47:51 *.124.22.184

전문가가 필요한 분야죠. 학폭위 위원의 과반수가 학부모 위원이다보니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얘기도 많이 나오고 있어요~

전 올해를 전문성을 키우는 해로 삼아보려고요. 응원 감사해요^^

프로필 이미지
2018.04.24 23:10:28 *.148.27.35
적극적 경청은 엄청난 관심과 애정 그리고 사명감이 필요로 한 것 같습니다.
총무님, 응원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