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써니
- 조회 수 2901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사랑하는 삶에게
당신은 4월의 화창한 봄날 치맛자락 나풀대며 내게로 왔죠.
1960년대 청양의 한 벌판 같은 시골은 아직 쌀쌀했을 테죠.
빨간 핏덩이로 뿌연 새벽녘 한 가정에 막내딸이란 운명을 던졌죠.
우주의 신비를 타고 생명의 빛으로 대지에 던져졌을 때
밖은 동트기 위한 햇살로 퍼져가고 있었죠.
무엇으로 어떻게 펼쳐질지 감히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채
사랑은 그렇게 내 삶에 말 걸어왔죠.
생명은 선명한 부름으로 자연과 함께 길을 열었죠.
나 온전히 나다운 삶을 위해 태어난 거죠.
산천초목과 가족들 틈에서 가슴이 부풀어가고
더 나은 공동의 꿈 위해 질서를 익히며
사랑의 삶 어울림과 함께 엮어졌죠.
내가 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왔는가를 알지 못하여
당신 앞에 손 모아 무릎을 꿇었고
서툰 절하며 합장하여 울부짖었죠.
삶의 물음에 대하여
활기차고 싱싱한 목소리로 깔깔대고 흐느끼면서
이대로 살아가는 것이 당신의 목적인줄 알았죠.
아니라고 그것만으로는 안 된다고
내 말간 가슴에 푸른 돌팔매질 할 때에도
전혀 알아듣지 못했죠.
생이 웃음이 넘쳐난 눈물이란 걸
겨우 알게 되었을 때에도
더 가라 채찍질 하며 자꾸만 한데로 날 내쫒았죠.
사랑
삶이란 걸
어둠과 빛, 눈물과 환희, 축복과 불행 따위는 모두 한가지란 걸
깨우쳐 알게 하려고
어느 날 삶이
이곳으로 날 불러들였죠.
너를 앎이
곧 삶의 시작이다
가슴으로 온몸으로 기꺼움과 바람 일으켰죠.
살며시 입맞춤하며
속삭이듯 가뿐하게
사랑의 言語로 가슴속 깊이 내려앉았죠.
내 안에 또 하나의 당신
이승의 삼라만상森羅萬象 모든 것
느끼고 형용하여
살고 사랑하고 체험體驗하는 가운데
어머니 자궁 속
우주의 신비를 체득體得하렵니다.
IP *.36.210.80
당신은 4월의 화창한 봄날 치맛자락 나풀대며 내게로 왔죠.
1960년대 청양의 한 벌판 같은 시골은 아직 쌀쌀했을 테죠.
빨간 핏덩이로 뿌연 새벽녘 한 가정에 막내딸이란 운명을 던졌죠.
우주의 신비를 타고 생명의 빛으로 대지에 던져졌을 때
밖은 동트기 위한 햇살로 퍼져가고 있었죠.
무엇으로 어떻게 펼쳐질지 감히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채
사랑은 그렇게 내 삶에 말 걸어왔죠.
생명은 선명한 부름으로 자연과 함께 길을 열었죠.
나 온전히 나다운 삶을 위해 태어난 거죠.
산천초목과 가족들 틈에서 가슴이 부풀어가고
더 나은 공동의 꿈 위해 질서를 익히며
사랑의 삶 어울림과 함께 엮어졌죠.
내가 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왔는가를 알지 못하여
당신 앞에 손 모아 무릎을 꿇었고
서툰 절하며 합장하여 울부짖었죠.
삶의 물음에 대하여
활기차고 싱싱한 목소리로 깔깔대고 흐느끼면서
이대로 살아가는 것이 당신의 목적인줄 알았죠.
아니라고 그것만으로는 안 된다고
내 말간 가슴에 푸른 돌팔매질 할 때에도
전혀 알아듣지 못했죠.
생이 웃음이 넘쳐난 눈물이란 걸
겨우 알게 되었을 때에도
더 가라 채찍질 하며 자꾸만 한데로 날 내쫒았죠.
사랑
삶이란 걸
어둠과 빛, 눈물과 환희, 축복과 불행 따위는 모두 한가지란 걸
깨우쳐 알게 하려고
어느 날 삶이
이곳으로 날 불러들였죠.
너를 앎이
곧 삶의 시작이다
가슴으로 온몸으로 기꺼움과 바람 일으켰죠.
살며시 입맞춤하며
속삭이듯 가뿐하게
사랑의 言語로 가슴속 깊이 내려앉았죠.
내 안에 또 하나의 당신
이승의 삼라만상森羅萬象 모든 것
느끼고 형용하여
살고 사랑하고 체험體驗하는 가운데
어머니 자궁 속
우주의 신비를 체득體得하렵니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92 | [74] 바람은 색깔로도 불어온다 | 써니 | 2008.03.23 | 2760 |
591 | [73] 이혼이라는 주홍글씨 | 써니 | 2008.03.23 | 3056 |
590 | [72] 굿 | 써니 | 2008.03.22 | 2639 |
589 | [칼럼47]마지막 출근 [6] | 素田 최영훈 | 2008.03.21 | 2884 |
588 | (44) 도가 트는 생각법 [10] | 香仁 이은남 | 2008.03.21 | 3130 |
587 | [71] 그 남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6] | 써니 | 2008.03.20 | 2791 |
586 | [70] 조강지처야, 조강지첩할래? | 써니 | 2008.03.18 | 3249 |
585 | [69] 담배꽁초와 연탄 | 써니 | 2008.03.17 | 3199 |
584 | [68] 식수와 불자동차 | 써니 | 2008.03.16 | 2543 |
583 | (43) 까칠녀? [3] | 香仁 이은남 | 2008.03.16 | 3132 |
582 | (42) 시원 섭섭 [3] | 香仁 이은남 | 2008.03.16 | 2837 |
581 | [67] 엎어진 세숫대야와 맹모삼천지교 | 써니 | 2008.03.16 | 3060 |
» | [66] 후련히 살다가 홀연히 갈 수 있는가? [2] | 써니 | 2008.03.15 | 2901 |
579 | [65] 벗으로부터 배운다 | 써니 | 2008.03.14 | 2775 |
578 | [46] Pre-Book Fair를 준비하면서 읽은 책 [1] | 교정 한정화 | 2008.03.13 | 2882 |
577 | [64] ‘붓꽃’과 ‘이별’ | 써니 | 2008.03.13 | 2521 |
576 | [63] 울어라 열풍아 밤이 새도록 [2] | 써니 | 2008.03.12 | 3417 |
575 | [62] 옥이 | 써니 | 2008.03.12 | 2810 |
574 | [61] 性愛는 어떻게 친밀해 지는가 | 써니 | 2008.03.12 | 2535 |
573 | [60] 文明王后? 문희文姬 | 써니 | 2008.03.11 | 4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