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암
- 조회 수 4322
- 댓글 수 7
- 추천 수 0
어린 시절 주말이 되면 영화를 보기 위해 <주말의 명화>나 <토요명화>를 기대감 많은 눈동자로 TV 앞을 차지했던 기억이 난다. 지금과 달리 컴퓨터가 귀하던 시절 신문의 TV프로그램 편성표는 초등학교 학생에게 수업시간표만큼이나 소중한 스케줄이었다. 특히 ET와 Bach to the future와 같은 스필버그 영화들은 어린 소년의 마음을 참으로 행복하게 했으며, 상상의 세계로 떠날 수 있게 만들었다. 영화는 개인들의 보편화된 꿈을 신화적 상징 아래서 새롭게 재창조하고 있다. 이 재창조의 작업에 신화(神話)는 많은 모티브와 영감을 지속적으로 행사하고 있다.
영화산업을 움직이는 헐리우드의 영웅 영화들은 대부분 신화에서의 영웅 내러티브를 그대로 복제하고 있다. 대부분의 영웅영화들은 신화의 영웅구조, 분리-입문-귀환-소멸의 형태로 귀착되고 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내가 가장 인상적으로 보았던 <매트릭스>라는 영화를 신화적 측면에서 잠시 살펴보고자 한다.
처음 이 영화를 접했을 때 느꼈던 현란한 영상과 긴박한 장면들에 감동은 지금도 여전하다. 물론 여러 상징의 이미지들은 충분히 혼란스웠으며, 이해가 될 듯 말 듯한 애매한 내용전개에 꽤나 남감해 했던 기억이 난다. 이러한 어려움은 영화에 대한 오기를 불러일으켰고, 이 오기는 반복적인 영화시청을 가능케 했다.
익히 알려진대로 이 영화는 <기독교 신화>에 기반하고 있다. 이 글은 전체 영화에 대한 스토리 라인 보다는 주인공들이 차지하고 있는 상징의 의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것을 통해 이 영화가 다분히 기독교 신화를 새롭게 상징하는 영화임을 말하고 싶다. 영화에 대한 스토리가 궁금하신 분들은 꼭 영화 보시길 권한다. 충분한 가치가 있으니까.
영화 속 주인공 네오(Neo)는 새로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Neos에서 파생한 접두어로, 신기원을 가져올 구원자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뭔가 새로운 세계 혹은 새로운 인간형의 원형이 될 존재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름이 바뀌는 것 역시 성서적이다. 지금도 카톨릭에서는 영세를 받으면 이름을 바꾸며, 그 이름을 '본명'이라 부른다.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앤더슨은 새로운 네오라는 이름을 부여받는다. 또한 영화에서는 앤더슨이 네오가 되기 위해 자궁 속을 빠져 나오는 듯한 길을 통과해 양수처럼 끈적 거리는 액체를 뒤집어 쓰고 알몸으로 다시 태어나는 장면이 나온다. 바로 거듭나는 것이다. 매트릭스의 인간배양 인큐베이터에서 빠져나온 이후에야 네오는 '그'(Jesus)로서의 삶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영화에서 저항군의 지도자 역할을 담당한 모피어스. 모피어스(Morpheus)는 그리스 신화에서 꿈의 신으로, 어둠을 뜻하는 그리스어 Morphnos 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그는 시종일관 검은 옷을 입고 있다. 메시아 네오를 찾아내고 교육하며 그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치는 사람이다. 그는 세례 요한 혹은 모세의 모형으로 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그가 자기 확신 즉 믿음으로 네오 즉 메시아를 찾는다는 것이다.
네오의 연인이며, 여전사인 트리니티(Trinity). 그녀는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뜻한다. 삼위일체는 성부(하나님), 성자(예수), 성신(성령)이 한 분이라는 '믿음'이 아니고는 도저히 불가능한 교리적 변증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죽음을 맞이한 메시아 네오를 사랑의 힘으로 '부활'시킨다. 기적을 부른 그녀의 입맞춤은 막달라 마리아를 연상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막달라 마리아는 청년 예수의 발에 기름을 부었으며 입을 맞추었다. 이 영화의 클라이막스라고 할 수 있는 네오의 부활은 예수의 부활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이 밖에도 예수의 제자 중 한명인 배반자 '유다'를 상징하는 사이퍼. 그는 저항군의 전사였으나 감각의 쾌락을 위해 기꺼이 동료를 배반하고 죽는다. 또한 예언자 오라클이라는 인물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주인공 네오가 가는 길에 대한 조력자(助力者)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밖에도 다른 등장인물들은 예수와 12제자를 상징하고 있다.
이 영화에서 아주 멋진 대사들이 많이 나온다.
Neo, sooner or later you're going to realize, just as I did, there's a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네오 너도 조만간 깨닫게 될거야. 단지 나도 그랬지만, 길을 아는 것과 길을 걷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어.
이 영화에서 네오가 메시아가 되가는 과정은 아는 단계에서 믿는 단계로의 여정이다. 예를들어 초기에는 비밀요원들의 총알을 피하는 것이 고작이었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그는 말씀(!)만으로 적들의 총알을 멈춰 세우는 기적(miracle)을 행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최종적인 단계에서는 자신이 완전한 메시아임을 믿는다. 이 영화에서 세상을 구원하는 키워드는 ‘믿음’이다. 단순히 논리적으로 인식하고 아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모든 것을 믿는 것이 중요하다.
이 영화는 단순하게 해석할 만한 영화는 아니다. 성경에 문외한인 내 입장에서 단편적인 시각에서 영화를 바라보았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이 영화가 다분히 기독교 신화의 내러티브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과거의 신화(神話)들은 먼지 쌓인 종교적 경전과 고서(古書)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들 현실 속에서 함께 호흡하며 살아 숨쉬고 있다.
이 영화에서 신화적 교훈을 찾는다면, 자신의 삶에서 진정 영웅(英雄)은 바로 자신이며, 자신을 구원할 수 있는 방법은‘자신에 대한 완전한 믿음’이라는 사실이다. 많은 신화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이미 완전한 존재(存在)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변화의 갈림길에 서있고 변화를 간절히 꿈꾸고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이 꿈꾸는 변화의 성공열쇠는 미래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자신에 대한 완벽한 믿음, 그것이 전부다.
“놀랄만한 권능을 가진 막강한 영웅은 바로 우리들 개개인이다.”<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458p
IP *.179.68.80
영화산업을 움직이는 헐리우드의 영웅 영화들은 대부분 신화에서의 영웅 내러티브를 그대로 복제하고 있다. 대부분의 영웅영화들은 신화의 영웅구조, 분리-입문-귀환-소멸의 형태로 귀착되고 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내가 가장 인상적으로 보았던 <매트릭스>라는 영화를 신화적 측면에서 잠시 살펴보고자 한다.
처음 이 영화를 접했을 때 느꼈던 현란한 영상과 긴박한 장면들에 감동은 지금도 여전하다. 물론 여러 상징의 이미지들은 충분히 혼란스웠으며, 이해가 될 듯 말 듯한 애매한 내용전개에 꽤나 남감해 했던 기억이 난다. 이러한 어려움은 영화에 대한 오기를 불러일으켰고, 이 오기는 반복적인 영화시청을 가능케 했다.
익히 알려진대로 이 영화는 <기독교 신화>에 기반하고 있다. 이 글은 전체 영화에 대한 스토리 라인 보다는 주인공들이 차지하고 있는 상징의 의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것을 통해 이 영화가 다분히 기독교 신화를 새롭게 상징하는 영화임을 말하고 싶다. 영화에 대한 스토리가 궁금하신 분들은 꼭 영화 보시길 권한다. 충분한 가치가 있으니까.
영화 속 주인공 네오(Neo)는 새로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Neos에서 파생한 접두어로, 신기원을 가져올 구원자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뭔가 새로운 세계 혹은 새로운 인간형의 원형이 될 존재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름이 바뀌는 것 역시 성서적이다. 지금도 카톨릭에서는 영세를 받으면 이름을 바꾸며, 그 이름을 '본명'이라 부른다.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앤더슨은 새로운 네오라는 이름을 부여받는다. 또한 영화에서는 앤더슨이 네오가 되기 위해 자궁 속을 빠져 나오는 듯한 길을 통과해 양수처럼 끈적 거리는 액체를 뒤집어 쓰고 알몸으로 다시 태어나는 장면이 나온다. 바로 거듭나는 것이다. 매트릭스의 인간배양 인큐베이터에서 빠져나온 이후에야 네오는 '그'(Jesus)로서의 삶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영화에서 저항군의 지도자 역할을 담당한 모피어스. 모피어스(Morpheus)는 그리스 신화에서 꿈의 신으로, 어둠을 뜻하는 그리스어 Morphnos 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그는 시종일관 검은 옷을 입고 있다. 메시아 네오를 찾아내고 교육하며 그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치는 사람이다. 그는 세례 요한 혹은 모세의 모형으로 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그가 자기 확신 즉 믿음으로 네오 즉 메시아를 찾는다는 것이다.
네오의 연인이며, 여전사인 트리니티(Trinity). 그녀는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뜻한다. 삼위일체는 성부(하나님), 성자(예수), 성신(성령)이 한 분이라는 '믿음'이 아니고는 도저히 불가능한 교리적 변증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죽음을 맞이한 메시아 네오를 사랑의 힘으로 '부활'시킨다. 기적을 부른 그녀의 입맞춤은 막달라 마리아를 연상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막달라 마리아는 청년 예수의 발에 기름을 부었으며 입을 맞추었다. 이 영화의 클라이막스라고 할 수 있는 네오의 부활은 예수의 부활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이 밖에도 예수의 제자 중 한명인 배반자 '유다'를 상징하는 사이퍼. 그는 저항군의 전사였으나 감각의 쾌락을 위해 기꺼이 동료를 배반하고 죽는다. 또한 예언자 오라클이라는 인물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주인공 네오가 가는 길에 대한 조력자(助力者)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밖에도 다른 등장인물들은 예수와 12제자를 상징하고 있다.
이 영화에서 아주 멋진 대사들이 많이 나온다.
Neo, sooner or later you're going to realize, just as I did, there's a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네오 너도 조만간 깨닫게 될거야. 단지 나도 그랬지만, 길을 아는 것과 길을 걷는 것은 분명한 차이가 있어.
이 영화에서 네오가 메시아가 되가는 과정은 아는 단계에서 믿는 단계로의 여정이다. 예를들어 초기에는 비밀요원들의 총알을 피하는 것이 고작이었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그는 말씀(!)만으로 적들의 총알을 멈춰 세우는 기적(miracle)을 행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최종적인 단계에서는 자신이 완전한 메시아임을 믿는다. 이 영화에서 세상을 구원하는 키워드는 ‘믿음’이다. 단순히 논리적으로 인식하고 아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모든 것을 믿는 것이 중요하다.
이 영화는 단순하게 해석할 만한 영화는 아니다. 성경에 문외한인 내 입장에서 단편적인 시각에서 영화를 바라보았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이 영화가 다분히 기독교 신화의 내러티브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과거의 신화(神話)들은 먼지 쌓인 종교적 경전과 고서(古書)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들 현실 속에서 함께 호흡하며 살아 숨쉬고 있다.
이 영화에서 신화적 교훈을 찾는다면, 자신의 삶에서 진정 영웅(英雄)은 바로 자신이며, 자신을 구원할 수 있는 방법은‘자신에 대한 완전한 믿음’이라는 사실이다. 많은 신화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이미 완전한 존재(存在)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변화의 갈림길에 서있고 변화를 간절히 꿈꾸고 있는가? 그렇다면 당신이 꿈꾸는 변화의 성공열쇠는 미래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자신에 대한 완벽한 믿음, 그것이 전부다.
“놀랄만한 권능을 가진 막강한 영웅은 바로 우리들 개개인이다.”<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458p
댓글
7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32 | [03] 신앙 고백 [7] | 정산 | 2008.04.21 | 3157 |
631 | [홍스컬럼 6] 나이지리아 [7] | 홍스 | 2008.04.21 | 2879 |
630 | [03] 다시 캠벨로 돌아가자 [7] | 거암 | 2008.04.21 | 2815 |
629 | (03) 불꽃같은 삶, 불꽃같은 인생 [2] | 이은미 | 2008.04.21 | 3291 |
628 | (03)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진다 [7] | 이한숙 | 2008.04.21 | 2811 |
627 | [03] 전 소중하니까요~ [5] | 손지혜 | 2008.04.21 | 2991 |
626 | [03]도전적 실험 - ”네가 바로 그것이다”체험해 보기 그리고 말로 표현해 보기 [5] | 오현정 | 2008.04.21 | 3476 |
625 | [03]아름다운 눈물 [9] | 양재우 | 2008.04.21 | 3728 |
624 | 우주정거장과 신화 [6] | 유인창 | 2008.04.20 | 2966 |
623 | [03] 인연의 끈을 잡고 [9] | 최지환 | 2008.04.20 | 3179 |
622 | [50] 남덕(南德) [5] | 교정 한정화 | 2008.04.17 | 2904 |
621 | [02]「매트릭스」에서 신화 찾기 [5] | 정산 최현 | 2008.04.14 | 3503 |
620 | (06) 강을 지나 바다에 닿은 그들 [8] | 지희 | 2008.04.14 | 2939 |
619 | [02]황금손 미다스왕의 실수 [10] | 양재우 | 2008.04.14 | 3762 |
618 | 아버지 [17] | 홍스 | 2008.04.14 | 3093 |
617 | (02) 기독교에만 구원이 있는가 2 [15] | 이한숙 | 2008.04.14 | 3213 |
616 | [02]파괴, 그 새로운 창조의 시작 [6] | 오현정 | 2008.04.14 | 2930 |
» | <컬럼5>매트릭스, 기독교 그리고 믿음 [7] | 거암 | 2008.04.13 | 4322 |
614 | [02] 스스로 구르는 바퀴 [6] | 손지혜 | 2008.04.13 | 2830 |
613 | [02] 나에게 빨간날은... [12] | 최지환 | 2008.04.13 | 28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