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미
- 조회 수 3749
- 댓글 수 6
- 추천 수 0
길 위에서 길을 찾다.
내게는 도무지 남들의 평균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하나는 몸으로 일하는 것이 젬병이라서 ‘몸치’이라는 것이고, 기계조작에 워낙 서툴러 ‘기계치’라는 것이고 또 하나는 길눈이 어두워 ‘길치’라는 것이다.
몸치는 자신의 몸을 사용해 말할 줄 알고 즐거움을 표현할줄 아는 사람을 보면 부러움이 앞서지만 어쩌겠는가. 안타깝기는 하지만 그로인해 치명적인 손실은 없다 할 수 있고, 기계치는 내가 못하면 주위 사람들에게 부탁할 수도 있고 정 안되면 사람을 사서 할 수 있는 일이니 나름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길치는 이와 좀 달라서 누가 대신해 줄 수 없을 쁜더러 이로인한 피해와 손실 또한 크고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조금은 심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도심의 복잡한 길을 운전할 때는 특별히 익숙한 길이 아닐 경우에 항상 길을 잘못들어 낭패를 보기가 일쑤니 문제의 심각성이 이만 저만 큰 것이 아니다. 나의 운전면허증이 장롱면하가 된 것은 다 이런 영향들때문이다. 길치이기에 헤메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 몸치까지 겹쳐 순발력이 떨어지므로 운전미숙으로 이어지고 결국 잦은 사고를 내기가 일쑤이고 그러다보니 가족을 비롯 주변인의 걱정을 사는 경우가 종종 많으니 자연스럽게 장롱 면허가 되고 말았다.
운전할때를 가만히 생각해 보면, 이 길이 맞지 싶어서 좌회전이라도 하려다 보면 그제서야 아니라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고, 급히 진로를 수정하는 일은 기본이고, 죄회전해야 할 순간을 지나쳐 버리고서야 아차! 하는 경우가 숱하다. 뒷차는 밀고 들어오지, 옆차는 끼어들지, 거기에 자꾸 빵빵대지, 길은 거기가 거기같지 이정도 되면 차라리 차를 세워두고 도망이라도 가버리고 싶은 심정이 든다.
한가지 다행인 것은 운전에는 U턴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지나온 길을 ,잘못 들어선 길을 다시 돌아 갈 수 있으니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으니 이 U턴이라는 것은 나 같은 사람에게는 커다란 행운과도 같은 것이다.
그런데 요즘 내가 이런 심정이다. 그런데 내 인생에도 U턴이 존재할까?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두가지의 물음만큼 진부한 것이 또 있을까? 하지만 이 진부한 물음 속에 우리네 삶 전부가 들어있다는 생각이 든다. 앞의 물음은 삶의 목적일테고 뒤의 물음은 삶의 방법론이다. 어떤 삶이든 이 두가지를 떼어놓은 삶은 없다.
누구나 삶의 목적을 가지고 있고, 누구나 그 목적을 위해 오늘도 달린다. 수많은 차량들이 목적지가 다르고 각자가 가는 길도 제각각이듯이 삶의 목적도 방법도 다르다. 목적지 까지 시작과 끝이 동일하게 큰 길로 가는 이가 있는가 하면, 좁은 골목길을 돌고 돌아도 여전히 거기가 거기인 사람도 있다. 또 좁은 길을 맴돌다 큰 길로 나가기도 하고, 큰 길로만 달리다가 어느 순간 미궁에 빠지기도 할 것이다.
또 목적지는 뚜렷한데도 가야 할 곳을 아차! 하는 순간 놓쳐버리고 길을 잘못들었을때도 있을 것이다. 그럴때 U턴지점을 돌아 다시 나올 수 있어야 겠지만 과연 우리 인생 길에도 U턴 길이 존재할까?
저 많은 사람들이 모두 자신이 처음 목적으로 삼은 지점을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길 눈 어두운 나처럼 가야할 곳, 혹은 방향을 놓쳐버리고 헤메고 있는 것일까? 이도저도 아니면 자신이 가고자 했던 목적지를 혹시 잊어버렸거나 포기해 버린채 그냥 이골목 저골목을 서성이기만 하는 것은 아닐까?
아니 어쩌면 애초부터 목적지를 찾지 못했는지도 모르겠다. 나처럼 말이다.
목적지가 분명해야 그곳을 향해 달려가기도 하고, 때로는 걷기도 하고, 때로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 되어 매달려도 볼텐데 …어디를 향한 달림인지 조차 모르는 달림은 얼마나 막연하고 허무한가!
나에게도 애초에 내게 주어진 삶의 목적지가 있을 것이다.
나는 오늘, 애초의 그 길을 찾아 몸부림치며 달려간다. 혹 미궁속에서 그저 뱅뱅 제자리만 맴돌게 될지라도 나는 나의 길을 찾아 낼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목적지로 향하는 최단거리로 달려가는 사람이야 있겠지만 설사 샛길로 빠지고 헤메는 일이 있으면 어떻겠는가! 비록 샛길로 잘못 들어섰다 할지라도 자신의 목적지를 잊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목적지를 향해 정진하는 사람이야 말로 진정한 승리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긴 터널을 지나 빛이 다가오는 것을 느낀다.
아직 그 빛이 선명하지 못함에 겁에 질려 눈물이 왈칵 쏟지려고 할때가 종종 있지만, 다가오는 그 무언가의 정체를 아직 분간할 수 없지만 ‘저것이 빛’임을 알 수 있다. 혹 그것이 어둠의 덩어리 일지라도 남은 거리에서 강하게 빛나는 빛으로 변화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내려 놓지 않을 것이다.
내 삶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성찰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다.
IP *.161.251.172
내게는 도무지 남들의 평균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하나는 몸으로 일하는 것이 젬병이라서 ‘몸치’이라는 것이고, 기계조작에 워낙 서툴러 ‘기계치’라는 것이고 또 하나는 길눈이 어두워 ‘길치’라는 것이다.
몸치는 자신의 몸을 사용해 말할 줄 알고 즐거움을 표현할줄 아는 사람을 보면 부러움이 앞서지만 어쩌겠는가. 안타깝기는 하지만 그로인해 치명적인 손실은 없다 할 수 있고, 기계치는 내가 못하면 주위 사람들에게 부탁할 수도 있고 정 안되면 사람을 사서 할 수 있는 일이니 나름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길치는 이와 좀 달라서 누가 대신해 줄 수 없을 쁜더러 이로인한 피해와 손실 또한 크고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조금은 심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도심의 복잡한 길을 운전할 때는 특별히 익숙한 길이 아닐 경우에 항상 길을 잘못들어 낭패를 보기가 일쑤니 문제의 심각성이 이만 저만 큰 것이 아니다. 나의 운전면허증이 장롱면하가 된 것은 다 이런 영향들때문이다. 길치이기에 헤메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 몸치까지 겹쳐 순발력이 떨어지므로 운전미숙으로 이어지고 결국 잦은 사고를 내기가 일쑤이고 그러다보니 가족을 비롯 주변인의 걱정을 사는 경우가 종종 많으니 자연스럽게 장롱 면허가 되고 말았다.
운전할때를 가만히 생각해 보면, 이 길이 맞지 싶어서 좌회전이라도 하려다 보면 그제서야 아니라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고, 급히 진로를 수정하는 일은 기본이고, 죄회전해야 할 순간을 지나쳐 버리고서야 아차! 하는 경우가 숱하다. 뒷차는 밀고 들어오지, 옆차는 끼어들지, 거기에 자꾸 빵빵대지, 길은 거기가 거기같지 이정도 되면 차라리 차를 세워두고 도망이라도 가버리고 싶은 심정이 든다.
한가지 다행인 것은 운전에는 U턴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지나온 길을 ,잘못 들어선 길을 다시 돌아 갈 수 있으니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으니 이 U턴이라는 것은 나 같은 사람에게는 커다란 행운과도 같은 것이다.
그런데 요즘 내가 이런 심정이다. 그런데 내 인생에도 U턴이 존재할까?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두가지의 물음만큼 진부한 것이 또 있을까? 하지만 이 진부한 물음 속에 우리네 삶 전부가 들어있다는 생각이 든다. 앞의 물음은 삶의 목적일테고 뒤의 물음은 삶의 방법론이다. 어떤 삶이든 이 두가지를 떼어놓은 삶은 없다.
누구나 삶의 목적을 가지고 있고, 누구나 그 목적을 위해 오늘도 달린다. 수많은 차량들이 목적지가 다르고 각자가 가는 길도 제각각이듯이 삶의 목적도 방법도 다르다. 목적지 까지 시작과 끝이 동일하게 큰 길로 가는 이가 있는가 하면, 좁은 골목길을 돌고 돌아도 여전히 거기가 거기인 사람도 있다. 또 좁은 길을 맴돌다 큰 길로 나가기도 하고, 큰 길로만 달리다가 어느 순간 미궁에 빠지기도 할 것이다.
또 목적지는 뚜렷한데도 가야 할 곳을 아차! 하는 순간 놓쳐버리고 길을 잘못들었을때도 있을 것이다. 그럴때 U턴지점을 돌아 다시 나올 수 있어야 겠지만 과연 우리 인생 길에도 U턴 길이 존재할까?
저 많은 사람들이 모두 자신이 처음 목적으로 삼은 지점을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길 눈 어두운 나처럼 가야할 곳, 혹은 방향을 놓쳐버리고 헤메고 있는 것일까? 이도저도 아니면 자신이 가고자 했던 목적지를 혹시 잊어버렸거나 포기해 버린채 그냥 이골목 저골목을 서성이기만 하는 것은 아닐까?
아니 어쩌면 애초부터 목적지를 찾지 못했는지도 모르겠다. 나처럼 말이다.
목적지가 분명해야 그곳을 향해 달려가기도 하고, 때로는 걷기도 하고, 때로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 되어 매달려도 볼텐데 …어디를 향한 달림인지 조차 모르는 달림은 얼마나 막연하고 허무한가!
나에게도 애초에 내게 주어진 삶의 목적지가 있을 것이다.
나는 오늘, 애초의 그 길을 찾아 몸부림치며 달려간다. 혹 미궁속에서 그저 뱅뱅 제자리만 맴돌게 될지라도 나는 나의 길을 찾아 낼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목적지로 향하는 최단거리로 달려가는 사람이야 있겠지만 설사 샛길로 빠지고 헤메는 일이 있으면 어떻겠는가! 비록 샛길로 잘못 들어섰다 할지라도 자신의 목적지를 잊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목적지를 향해 정진하는 사람이야 말로 진정한 승리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긴 터널을 지나 빛이 다가오는 것을 느낀다.
아직 그 빛이 선명하지 못함에 겁에 질려 눈물이 왈칵 쏟지려고 할때가 종종 있지만, 다가오는 그 무언가의 정체를 아직 분간할 수 없지만 ‘저것이 빛’임을 알 수 있다. 혹 그것이 어둠의 덩어리 일지라도 남은 거리에서 강하게 빛나는 빛으로 변화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내려 놓지 않을 것이다.
내 삶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성찰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다.
댓글
6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92 | [19] 변화의 1법칙 : 꽃들에게 희망을 [2] | 거암 | 2008.09.08 | 4266 |
791 |
[19] 비빔밥 만들기 ![]() | 정산 | 2008.09.08 | 7419 |
790 |
[19]증오와 두려움의 과거를 넘어라, 그리하여 밝은 미래로 가라. ![]() | 현정 | 2008.09.07 | 12566 |
789 |
(19) 뉴질랜드 여행기(중) ![]() | 이한숙 | 2008.09.06 | 5270 |
788 |
푸카키 호수에서의 생각 ![]() | 이은미 | 2008.09.01 | 24482 |
787 | (18) 뉴질랜드 여행기 (상) [7] | 이한숙 | 2008.09.01 | 5156 |
786 | [18] 국민연금의 미래 [5] | 정산 | 2008.09.01 | 4435 |
785 |
[18]마녀가 들려준 이야기(1) ![]() | 현정 | 2008.08.31 | 5234 |
784 | [18] 고달픈 디지털 노마드족 [4] | SSON | 2008.08.31 | 4750 |
783 | [19] 기업의, 기업에 의한, 기업을 위한 [5] | 창 | 2008.08.31 | 4009 |
782 | [18] 밭 전(田)자를 만드시오 [10] [1] | 최지환 | 2008.08.31 | 5814 |
781 | [18]퍼즐링 월드(Puzzling World)에서 [7] | 양재우 | 2008.08.31 | 4336 |
780 | 이상한 반 아이들 [6] | 현웅 | 2008.08.30 | 4268 |
779 | [18] 공부방을 바꾸다 [5] | 현웅 | 2008.08.28 | 4200 |
778 | [18] 꽃은 향기로 말하고, 영업은...... [6] | 거암 | 2008.08.26 | 4306 |
777 | [18] 사랑의 무게 [6] | 창 | 2008.08.24 | 4712 |
776 | [17] 맨땅에 헤딩하기 [7] | 현웅 | 2008.08.11 | 5532 |
» | 길위에서 길을 찾는다 [6] | 이은미 | 2008.08.11 | 3749 |
774 |
(17)나의 심장을 뛰게 하는 것, 여행 - 모티프원 이안수 ![]() | 이한숙 | 2008.08.11 | 5479 |
773 | [17] 원한다면 적어라 [9] | 최지환 | 2008.08.11 | 44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