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혜향
  • 조회 수 3645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0년 2월 8일 11시 59분 등록
 

나를 찾아 떠나는 진정한 여행



몇일 전, 그 날도 양 손에 한 짐 가득 들고 방을 나오는 중이었다.


엄마 : 왜 이렇게 빨리 나가니?

나   : 어, 할 게 좀 많아서..

아빠 : 아침 먹고 가라


평소 같으면 바쁘다고 원래 아침 안 먹지 않냐며 그냥 지나쳤을 텐데, 그날따라 현관까지 배웅나오시는 부모님의 흰 머리가 마음에 들어와 잠시 망설이다가 식탁에 앉았다. 


엄마 : 너무 무리하지 마라.

나   : 어..

아빠 : 네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걸 하고 살아라

나   : 네.. 엥? 근데 아빠, 그게 아니고, 어쩌구저쩌구, 이렇구저렇구.. 

아빠 : 아, 알았어. 그래, 너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살어.

엄마 : 건강이 최고야. 


지 집은 정작 손도 못 대고 남의 집 꾸민다고 동동거리고 있으니.. 하시는

안타까워하시는 안쓰러워하시는 엄마의 마음을, 아빠의 마음을 나는 잘 알고 있다. 


집을 나서는데 코끝이 찡했다. 엄마, 아빠의 더 세진 머리와 늘어난 주름이 눈에 밟혀 한참이 지나서야 시동을 켰다. 난 정말이지 아무리 생각해도 부모님 말씀을 무쟈게 안 듣는 딸이다. 


예전에 나는 열심히 일만 했다. 사랑보다는 일에 더 관심이 많았다. 나는 사랑에 빠지면 그대로 사랑이 이루어져 해피엔딩이 되는 줄로만 알았다. 내 인생이 바뀔 만한 몇 가지 일들을 겪게 되면서 나는 일에서든, 사랑에서든 관계가 시작됨과 동시에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깊이 살피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 서로 맞춰나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 알아줄 거라 기대하지 말고 몰라준다고 섭섭해 하지 말고 지금은 때가 아니야,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되겠지 미루지 말고 스스로를 위로하며 참지 말고 그때그때 나의 마음을, 나의 진심을 표현했어야 했다. 내가 나를 표현하지 않으면 내가 나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 상대방은 나를 알 수 없다는 것을, 나의 진심은 더욱 모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아주 뒤늦게야 깨닫게 되었다.


이게 무슨 얘기냐고?

나의 첫 책쓰기를 준비하면서, 집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을 떠올리게 되면서, 관련 책을 읽으면서, 자료를 이리저리 모으고 점검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의 일을 나의 삶을 다시 바라보게 되면서, 점점 구체적으로 선명하게 그림을 그려나가다가도 어느 날은 알 수 없는 미궁에 빠져 들었다. 왜 그럴까? 어떤 이유 때문일까? 무언가, 뚜렷하게 떠오르지는 않지만 왠지 깊은 무언가가 빠져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게 무얼까? 한참을 생각했다.


첫 책을 구상할 때 평소에 자신이 하고 싶은 얘기를 잘 정리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다. 내가 하고 싶은 얘기는 이미 누군가가 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기존의 개념들을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참신하고 경쟁력 있는 콘셉트는 이런 과정에서 나온다. 분석하고 창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P182)
<내 인생의 첫 책쓰기>
 


오랫동안 한 우물만 팠다.

그 시간은 내게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다. 그 보물이 만들어지는 동안 나는 많은 것을 수집했다. 그리고 그 수집은 내가 가장 아끼는 행복이 되었다. 내게는 사랑이었다. 처음에는 단순히 이 행복 보따리를 나의 사랑을 풀면 될 것이라 생각했다. 부족하지만 정말이지 많은 것을 아낌없이 담아 함께 하고 싶었다.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었다.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다. 나의 맘 깊숙한 곳에 움츠리고 있는, 채워지지 않은 무언가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진정한 여행’


가장 훌륭한 시는 아직 쓰여지지 않았다.


가장 아름다운 노래는 아직 불려지지 않았다.


최고의 날들은 아직 살지 않은 날들


가장 넓은 바다는 아직 항해되지 않았고


가장 먼 여행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불멸의 춤은 아직 추어지지 않았으며


가장 빛나는 별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별.


무엇을 해야 할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때


그때 비로소 진정한 무엇인가를 알 수 있다.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더 이상 알 수 없을 때


그때가 비로소 진정한 여행의 시작이다.


- 작자미상 -



연구원 생활을 시작하기 전 그래도 좀 여유가 있는 토요일이면 숍에 일찍 나와 한 주 동안 읽었던 책 들 중에서 마음에 들어온 글귀들을 노트에 필기하며 정리하는 시간을 갖곤 했다. 이 글도 그 때 적어둔 것인데 역쉬 작자미상에 출처를 적어두지 않았다. 그때는 함께 기록해 두어야 한다는 것을 잘 몰랐고 분명 가까이에 있었을 터인데 내용에만 꽂혀 보이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나, 이제 진정한 여행을 떠나려 한다. 아니, 이미 시작되었는지도 모른다.

최대한 가볍고 간편하게 짐을 꾸릴 것이다.


이번에 떠나는 여행은 숙련된 손과 지식만으로는 걸어갈 수 없는 길임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나의 머리, 가슴, 손이 동시에 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하나의 통일된 과정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아마도 아주 길고 지난한 여행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분명한 한 가지, 그 여행의 끝에는 가르침이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또 하나, 반드시 집으로 귀환하리라는 믿음도. 그 집은 엄마, 아빠, 우리 가족이 함께하는 지금의 집일 수도 있고, 내가 꿈꾸는 집을 만날 수도 있다. 

     

IP *.40.227.17

프로필 이미지
뽕공주
2010.02.08 12:46:19 *.12.20.231
알다시피 판타지를 구상하고 있는데, 판타지 세상으로 보내는 것보다 돌아오게 하는 것이 더 힘들다고 한다.  아무리 아름답고 낙원인 판타지 세상일 지라도 집으로 돌아와야 진정으로 행복하다고 느낀단다. 어린 독자일수록 더욱 더. 
향아, 비단 그게 아이들만이겠니? 어른들도 거적때기를 덮고 자도 내 집이 최고라고 하잖아.  네가 만드는 집이 그래서 더 소중하다. 네 이야기가  네 집에서 출발해서 네 집에서 끝나도 좋겠다. 

영원한 독자, 어설픈, 그러나 한결같은 코멘터 여기 있다. 힘내! ^^
프로필 이미지
2010.02.10 08:04:57 *.40.227.17

추늬 언니~ ^^

글이.. 좀.. 비장해 보였나여.. ?
제가.. 새벽에.. 쓰면.. 좀 기래여.. ㅎ
글쓰기가 아직 서툴러서 그런가봐여.. ㅋ

제가 주로 함께하는 분들이.. 30대 쪼끔.. 대부분이.. 40-50대 주부님들이시거든여..
그 분들의 곰삭은 깊이를.. 추구하려다 보니.. 살아보지 않고는.. 절-대 알 수 없는 그 깊이를..
제가 쓸 수 없다는 거이를.. 알게 되었어여..

너무나 당연한 거이를.. 늘.. 보면서도.. 느끼면서도.. 정작.. 깨닫지는 못하고 있었던 거이져..
뭔가.. 빠져 있다는 느낌이 계속해서 들었는데.. 아마.. 이거이였던 거 같아여.. 맞는지는 모르겠지만여..
그래서.. 다시.. 깊이.. 생각해 보아야 겠다고.. 마음 먹었져.. 헤헤^^

졸대 어설프지 않은 영원한 독자.. 게다가.. 건축이 전공인 40대? 주부를 바로 옆에 두고서..
맨날 ??? 들으면서도.. 제가 좀.. 기래여.. ㅋㅋㅋ

추늬 언니~, 뽕 가게 땅큐~, 깊이 알라뷰~~~ ^^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2.08 20:57:17 *.34.156.43
위 시는 터키의 시인 나짐 히크메트의 시입니다.
저 역시 마흔의 나이에 꿈을 다시 쓰면서 출정시로 적어 놓았던 시입니다.
떠나는 마음이 예사롭지 않으니
멋지게 귀환할 것이라 믿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2.10 07:59:50 *.40.227.17

병곤 선배님~

나짐 히크메트.. 아, 그렇군여.. 노트에.. 첨가해 두어야 겠네여.. 고맙습니다.. ^^

선배님의 다시 쓰는 꿈길에.. 출정시로 적어 놓았던 거이라믄..
비장한? 출정.. ^^

승완선배와 공저하신 <내 인생의 첫 책쓰기>가.. 제게는..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응원 메시지.. 감사드려여..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2 내 마음을 비추는 드라마 효인 2010.02.22 3035
1471 내가 바라보는 나, 타인이 바라보는 나 [2] [2] 숙인 2010.02.22 8377
1470 칼럼 45 - 꿈을 물어 내면을 들여다보다. [4] 범해 좌경숙 2010.02.22 3253
1469 아직 끝나지 않았다 [8] 백산 2010.02.22 2614
1468 사자 프로젝트 - 노리단 인터뷰 내역 file [2] 書元 2010.02.21 3729
1467 라뽀(rapport) 5 [1] 書元 2010.02.21 2799
1466 감성플러스(+) 좋은 삶은 좋은 만남이다 file [2] [1] 오병곤 2010.02.17 6542
1465 꼭지글 - 새 옷 갈아입기(공간 변신) 셋 - 주방 드레싱 [2] 혜향 2010.02.15 3730
1464 단 하나의 진정한 욕망, 단 한 명의 소중한 사람 [2] 숙인 2010.02.15 3053
1463 잠자고 있는 여신 효인 2010.02.15 2818
1462 라뽀(rapport) 4 書元 2010.02.15 2820
1461 [사자 13] <휴머니스트 인터뷰 2- 1장:창조적 소수의 개념> 수희향 2010.02.15 3240
1460 칼럼 44 - 오늘이 내 생애 마지막 날이라면 [4] [2] 범해 좌경숙 2010.02.15 3764
1459 진정 중요한 자원 희산 2010.02.15 2496
1458 주춧돌 : 어리석은 자가 산을 넘는다 백산 2010.02.09 3296
1457 사자사례/ 수유+ 공간 고병권씨 인터뷰1 [1] 정예서 2010.02.09 4546
1456 감성플러스(+) 절실함으로 길을 떠나자 file [6] 오병곤 2010.02.09 5766
1455 동기화 : 믿음은 바라는 것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의 증거다 백산 2010.02.09 6905
1454 [사자 12] <휴머니스트 대표님 인터뷰 1- 전체 요약> 수희향 2010.02.09 2776
» 나를 찾아 떠나는 진정한 여행 [4] 혜향 2010.02.08 3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