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4월 5일 11시 55분 등록
 <12주간의 천복天福 찾기 여행, 아티스트 웨이>

사람들이 내 삶의 터닝 포인트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나는 주저없이 ‘모닝페이지’를 쓰게 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모든 것에 대해 확신이 없던 나는 심지어 나 자신에 대해서도 신뢰를 할 수 없기에 내가 무엇을 하고 있다고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조차도 부끄러워했다. 그런데 내가 ‘모닝페이지’라는 것을 쓰고 함께 하는 사람들과 모임을 하면서 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었고, 내가 ‘모닝페이지’를 하고 있다고 여러분들도 하면 유익함이 있을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원에 지원하게 된 것도 ‘모닝페이지’를 하면서 꿈을 꾸게 되었고 그 꿈이 현실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모닝페이지’라는 용어 자체를 생소하게 여긴다. ‘모닝페이지’란 <아티스트웨이>를 지은 줄리아 카메론이 자신의 상처받은 창조성을 치유하고 회복하기 위한 도구로 제시한 것이다. ‘모닝Moring=아침, 페이지Page=쪽’이라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처럼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의식의 흐름에 따라 3쪽의 글을 쓰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흔히 쓰는 일기(日記)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우리가 일기를 쓸 때는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등을 적게 된다. 보통 일기는 하루를 마무리하면서 적게 되는데 그러다 보니 자신의 하루 일과를 돌아보며 반성모드의 글을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늘 이런 것을 계획했는데 이것은 했고 저것은 못했고를 적으면서 자신이 잘 한 것보다는 못한 것에 대해 초점을 맞추게 되어 자신을 비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과거 학교 다닐 때의 경험상(학창시절 선생님과 부모님의 검사를 받았던 시절이 누구에게 있을 것이다) 자신의 잘못한 것을 반성하고 교훈적인 내용을 적어야 한다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모닝페이지에서는 그런 자기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 아침시간을 이용해 자신이 의식하는 모든 생각과 감정을 3쪽의 페이지에 쏟아 놓는 것이다. 모닝페이지의 독자는 자기 자신뿐이므로 어떤 내용을 적어도 상관이 없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러다보면 자신의 머리속에서 의식, 무의식으로 이루어지는 생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의식적으로 부정적인 생각의 근원을 찾아 그것을 버리는 작업을 하고 부정적 생각이 빠져나간 자리를 긍정적인 생각으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아티스트웨이>에서는 내 안의 창조성을 깨우는 12주간의 여행을 위한 도구로 ‘모닝페이지’와 ‘아티스트데이트’ , 그리고 각주마다 해야 할 일 10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캠벨의 <신화의 힘>을 읽으면서 캠벨이 말한 자신의 천복을 따르는 신화의 여정이 줄리아 카메론이 말하는 내 안의 창조성을 깨우는 12주간의 여행과 참으로 닮아있다는 생각을 했다. 모든 삶의 지혜가 근원이 하나인 것처럼 말이다.

캠벨의 <신화의 힘>을 읽으면서 내가 경험한 내안의 창조성을 깨우는 12주간의 여행이 결국 그가 말한 자신의 천복을 찾기 위한 여정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나의 신화에서 영웅의 여정을 밟아가는 작업을 통해 내가 삶속에서 경험한 시련, 시험, 난관을 깨닫고, 나의 천복의 길을 찾게 되고, 의식의 변모를 경험할 수 있었다.

남의 신화를 읽으면 경험이 무엇인지 배우게 됩니다.”라는 캠벨의 말처럼, 나는 모닝페이지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구성원 각자가 지닌 신화속의 여정을 들으면서 그들의 경험을 배우면서 나를 돌아보게 되었다.

“신화는 우리 삶의 단계, 말하자면 아이에서 책임 있는 어른이 되고, 미혼 상태에서 기혼 상태가 되는 단계의 입문 의례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런 의례를 통해 우리가 맡게 되는 새로운 역할, 옛것을 벗어던지고 새것, 책임 있는 새 역할을 맡게 되는 과정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라는 캠벨의 말처럼, 나에게 있어 모닝페이지는 내 신화의 의례를 경험하게 해주었다. 나는 자신의 천복을 모르는 철없는 어린 아이에서 비로소 자신의 천복을 길을 걷는 책임있는 어른이 되는 단계로 들어설 수 있었다.

“신화는 이 세상의 꿈이지 다른 사람의 꿈이 아닙니다. 신화는 나에게 절망의 위기, 혹은 기쁨의 순간, 실패, 혹은 성공의 순간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를 가르쳐줍니다. 신화는 내가 어디에 있는지를 가르쳐줍니다.”라는 캠벨의 말처럼, 모닝페이지는 삶의 현장에서 내가 어떻게 반응하며 어디에서 살아야 할지를 알려주는 나의 꿈, 나의 신화 그 자체이다.

“영웅의 행동반경은 초월적인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 선악이 있는 시간의 장, 대극이 있는 곳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초월의 장을 나서면 대극의 장으로 들게 마련입니다. 삶의 여러 어려움 중 하나는 이 양자의 존재를 인식하고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라는 캠벨의 말처럼, 내가 생각하는 모닝페이지의 궁극적인 역할은 지금 여기에 깨어있으면서 바로 이 순간 내가 어떤 존재인지를 인식하고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해준다.

“우리에게는 여백, 혹은 여백 같은 시간, 여백 같은 날이 있어야 합니다.……우리 천복(天福)의 정거장은 어디에 있느냐……. 우리는 이것을 찾아야 합니다. 오디오를 틀어놓고 좋아하는 음악을 올려 놓아도 좋습니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시시한 음악을 올려놓아도 좋습니다. 좋아하는 책을 읽어도 좋겠지요. 바로 이 성소에서 다른 삶을 ‘그대’라고 부르는 것을 체험하는 겁니다”라는 캠벨의 말처럼, 나에게 <아티스트웨이>의 또 다른 도구인 아티스트데이트는 삶의 여백에 대한 경험을 통해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내 안에 창조성을 존재함을 알게 해주었다.

“당신 자신이 바로 당신의 창조주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기게 한 것이 당신의 내부 어디쯤인지 알아야 한다.”라는 캠벨의 말처럼, <아티스트웨이>라는 도구는 나 자신이 바로 창조주이며 내면의 창조성을 발견하고 좇는 일이 바로 자신의 천복에 따르는 일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아직 자신의 천복이 무엇인지 몰라 찾기를 원하는 사람, 천복의 길을 발견했으나 영웅의 여정에서 만나는 시련과 난관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싶은 사람, 이들 모두에게 12주간의 천복 찾기 여행인 <아티스트웨이>를 추천하고 싶다. 캠벨은 神性,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해주는 일을 신화와 교감할 수 있는 예술가들이 해야 한다고 했다. 우리도 자신의 천복을 따라 길을 걷다보면 어느덧 예술가의 길을 걷고 있지 않을까?

IP *.203.200.146

프로필 이미지
최우성
2010.04.05 15:46:18 *.30.254.28
연주야...담엔 같이 꼭 같이 가자...은주의 마사지를 받으면서, 니 생각을 했다..ㅎㅎ  책은 있으나 읽지는 못했던 책...아티스트 웨이...다시 도전해 봐야겠다.
프로필 이미지
긍정은주
2010.04.08 08:27:10 *.219.109.113
연주야 ~~ 아쉬울 것 없어. 그때는 너가 없어서였고 이제 선배님 몸은 모두 너에게 넘긴다.ㅎㅎ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4.08 01:37:54 *.68.10.114
앗..먼저 은주 언니의 손길을 느끼셨군요~~ 첫타자가 아니라서 아쉽지만...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ㅎㅎ
아티스트 웨이...요즘 많이들 소장하고 계신듯~ 한 번쯤 12주 풀코스 돌아볼만한 여정이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05 17:14:41 *.236.3.241
책을 읽기는 했으나 며칠 시도는 해봤으나 별다른 감흥을 못 느낌...

연주 언니, 그렇게 덕을 봤다면 특별과외 좀 해 주삼~~ 우성 성하고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4.08 01:40:59 *.68.10.114
사람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듯...
혼자하는 것과 그룹을 만들어 하는 것도 차이가 있구요~
전 그룹을 만들어 하는 것에...한표...연구원이 혼자 가는 것이 아니듯...12주간의 여정을 함께 할 동지가 생기면 또 다른 느낌이랍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6기끼리 모닝페이지 12주과정을 해보는 것도 좋을 듯해요~ㅎㅎ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4.05 22:49:27 *.129.207.200
나도 연주 말 듣고, 다시 시작해야겠어. 개인적으로는 모닝페이지 보다, 아티스트데이트가 더 중요해 보여.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4.08 01:46:14 *.68.10.114
네...오라버니께는 아티스트데이트 강추요~~
1주일에 2시간...온전히 나에게만 집중하는 시간을 갖을 수 있다는 건...행운이자 행복이죠...그런 행운이자 행복의 기억을 내 몸에 각인시키는 것~~
프로필 이미지
조화 선
2010.04.05 23:20:03 *.106.7.10
ㅎㅎㅎ
많이들 비슷한듯
나도 넘 좋았다는 누군가의 말에 책부터 덥석 사 놓았다가 몇 장 넘기지 못했던 <아티스트웨이>
나랑은 좀 안 맞는 느낌 ^^;;
연주의 느낌으로 한번 더 도전!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4.08 01:44:14 *.68.10.114
책마다 때가 있고 나에게 맞는 책이있구요...
진리는 하나이지만 깨달음의 길이 다 제각기이듯...
모닝페이지는 그냥 하나의 도구에요...다이어트를 하려고 해도 모두 같은 방법으로 효과를 보지는 못하고 자신만의 방법이있듯 말이죠 ㅋㅋ
허나...이녀석은 뭐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니 언제든 마음이 동하면 한번쯤 12주간의 여정을 돌아보는 것도 좋을듯요^^
프로필 이미지
정서진
2010.04.06 16:30:09 *.38.153.141
연주씨~~~반가워요, 인사가 늦었네요.
6기 연구원으로 우뚝 선 연주씨 너무 보기 좋아요.
우리 모닝페이지 시작할 때 부터 과감하게 새로운 시도를 하던 연주씨잖아요...드뎌 연구원까지 한 번에 성공!!!
앞에 댓글 다신 분들은 모두 모닝페이지의 도움 없이도 
혼자서도 씩씩하게  잘 가시는 분들이시라  모닝페이지가 별로 필요없을듯....ㅎㅎ
연주씨의 그 아티스트 데이트...
물 한 병도 없이, 국가대표들이 오른다던 그 불암산   정상까지 오른 그 기상으로
오늘날 연구원까지 계속 새롭게 자신만의 길을 헤쳐온 것 아니겠어요!
연구원 된 것 한 번 더 축하하구요, 앞으로도 계속 더 발전하는 연주씨가 될 것을 믿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4.08 01:50:13 *.68.10.114
앗...안녕하세요~ 3기 모닝페이지 이후로 뵙지를 못했죠~
뭐든지 첫느낌이 강렬하듯...모닝페이지를 처음쓰던 3기의 기억이 가장 선명하게 남아있어요
각자 다른 사람들속에서 내 모습을 보는 느낌이 참으로 신기했어요
요즘은 좀 아티스트데이트에 소홀했는데...따스한 봄님도 오셨으니 즐거운 데이트를 다시 시작해보려구요~
축하감사하구요~~
즐겁게 성장하는 모습 보여드리고 싶은데...믿음주셔서 감사요^^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10.04.08 06:39:32 *.70.61.217
괜한 분주함에 휘둘려 제제를 맘껏 축하할 시간도 갖지 못했네.
모닝페이지를 통해 함께 성장해온 나로서는
제제가 우리 모임 역사의 좋은 사례가 되어준 것을 항상 감사하게 생각해.
그리고 오늘 연구원 자리에 그대가 있게 된 것은 자기 꿈이 자기를 이끈 결과라고 믿어.
유끼들이 벌이는 판을 둘러보니 그대들의 1년이 보통 흥미로울 것 같지 않아
나 역시 기대가 될 지경이야. 
내일 모레 여행이 은근히 기다려지는군.
 중요한 약속도 다 포기하고 달려간다네.
새로와진 제제는 물론  6기의 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는 설렘 때문에... 
프로필 이미지
2011.07.22 00:17:50 *.35.27.252
좋은 책 추천 고맙습니다.^^ 책을 사서 잘 읽어보도록 할께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2 첫 문장을 채집해라- 글쓰기 생각 1 [11] 부지깽이 2010.04.09 2881
1531 이유는 알 수 없어도 [11] 백산 2010.04.08 2664
1530 수유+너머 Chapter 3. 창조적 소수의 교류 정예서 2010.04.08 2789
1529 < 오만한 예술가의 초상 - 샤를르 보들레르 > 2. [6] 정재엽 2010.04.07 2847
1528 응애 1 - 문상을 가야 하는데 [9] 범해 좌경숙 2010.04.06 3979
1527 감성플러스(+) 우리가 오를 봉우리는 지금 여기 file [2] 병곤 2010.04.06 3482
1526 다만 흘러가는 것을 듣는다(박남준 시인 방문기) file [9] 박상현 2010.04.05 3003
1525 가족과 함께, 벗과 함께 봄을 만나다 file [7] 조화 이선형 2010.04.05 2778
» 칼럼1 . <12주간의 천복天福 찾기 여행, 아티스트 웨이> [13] 낭만 김연주 2010.04.05 2541
1523 박남준 시인을 만나던 날, 나는 황진이가 되었다. file [6] 이은주 2010.04.05 2747
1522 남도의 시인방문기 '꽃피는 봄' file [5] 최우성 2010.04.05 2852
1521 [컬럼] 살아서, 웃다가 죽었다. [13] [1] 최우성 2010.04.05 3086
1520 내 삶의 성배를 찾아서 [6] 조화 이선형 2010.04.05 2387
1519 라뽀(rapport) 9 - 조카 재윤이에게 書元 2010.04.05 2512
1518 <컬럼 5> 나는 내게 금지된 것을 소망한다 [5] 박상현 2010.04.05 2355
1517 5. 신화가 현실에서 살아날 때. [12] 맑은 김인건 2010.04.05 2192
1516 명상의 힘 [12] 이은주 2010.04.05 2820
1515 영상칼럼, 박남준 시인詩人을 찾아서. [39] 맑은 김인건 2010.04.04 2826
1514 < 오만한 예술가의 초상 - 샤를르 보들레르 > 1. [2] [1] 정재엽 2010.04.03 3677
1513 일상여행자 file [7] 숙인 2010.03.31 2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