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상현
  • 조회 수 4916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0년 4월 9일 21시 25분 등록

어느 신인지는 모르나 어느 신인가가 너의 마음을 다스리고 있다.

-       변신 이야기중에서

 


 
은 자연의 은유(metaphor)이자 인간 욕망의 환유(metonymy).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신은 자연의 인격화된 존재이자 인간행동의 근원인 리비도의 화신으로서 인간 자신에 대한 의구심을 풀어보려는 의도로 창조되었다. 신화는 자연, 때로는 신이라는 절대존재로의 變身(metamorphorsis)을 통하여 삶과의 긴장을 해소하고 평형상태로 들어가려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준다. 

 

삶은 망망대해의 파도다. 나는 한 때 여신들을 지리게 한 미소년이었으나 외면의 대가로 미움을 사고 물고기가 되었다. 겨드랑이에서 지느러미가 돋을 땐 막막하였지만, 이제는 힘을 빼고 조류의 움직임에 몸을 맡길 줄도 안다. 물고기로서의 멋진 변신을 위해 지난 사례들을 간 보며 나의 지향점을 가늠해 본다.

 

#1. 동피랑 마을, 꿈이 생동하는 달동네

경남 통영시 동피랑 벽화마을. 통영을 찾는 관광객들의 필수 코스지만, 몇 년 전 만해도 재개발을 앞둔 허름한 달동네였다. 언론에 흔히 소개되는 자본의 논리에 갈 곳 없는 서민이 이들의 운명이었다. 이 때 시민단체인 푸른 통영 21’이 놀라운 생각을 해냈다. ‘푸른 통영 2007달동네도 가꾸면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기치를 내걸고 동피랑 색칠하기-전국벽화공모전을 열어 전국 미대재학생과 개인 등 18개 팀이 달동네 집 벽을 갖가지 벽화로 탈바꿈시킨다.

 

화사한 벽화로 꾸며진 동피랑 마을에 대한 소문이 전국으로 퍼지면서 관광객들이 몰려들고 마을을 보존하자는 여론이 형성되자 통영시는 결국 철거방침을 철회했다. 벽화 하나로 달동네가 통영의 관광명소가 된 것이다. 동피랑 마을에서는 흔한 구멍가게 하나 찾아볼 수 없다. 간판에 Café 이름을 달고 있기 때문이다.

 동피랑11.jpg동피랑1.jpg

공간이 브랜드를 획득하자 달동네의 애환은 찌질한 남의 집 얘기에서 돈 내고라도 감상하고픈 鄕愁로 격상되었다. 본질은 그대로인데 가치가 높아졌으니 관점의 전환이 이처럼 중요하다. 애환이라는 단어 속에는 표현하기 벅찬 여러 정서들이 묻어 있다. ‘달동네하면 나는 뻥 뚫린 하늘, 뒷산, 갈대밭, 쥐불놀이, 술주정, 백수 아빠들, 세검정, 복날 흰둥이, 보름달, 부엉이, 철거민 딱지 같은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떠오른다. 유년시절을 보낸 홍은동 산1번지의 기억 탓이다. 그 곳은 뭐든 농도가 짙었다. 몸 때, 목소리, 알코올 도수 뿐만 아니라 거칠게 포옹하고 단칼에 생깠다. 심지어 기억의 사진첩도 폴라로이드 흑백이다. 달동네가 아니더라도 북촌이나 삼청동을 걸어봤다면 알 것이다. 골목길, 하늘 향해 두팔벌린 계단이 주는 설레임, 속삭임, 그 냄새들. 동피랑 마을에는 동피랑에 꿈이 살고 있습니다는 그래피티가 있다. 하늘 아래 처음으로 달을 맞아 본 사람, 산 너머 친구가 그리워 공비마냥 능선을 타 본 사람은 안다. 거기서 꿈이란 이른 아침 숙취를 깨우는 김치국 냄새 처럼 맞닥뜨려지는 것임을.  

 

#2. 스마트폰, 수평적 비즈니스모델의 승리

스마트폰은 애물단지였다. 이통사업자 입장에서는 소수의 데이터 헤비 유저들을 위해 구색을 맞춘 계륵이었다.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된 이후 상황이 역전되었다. 2010 SK텔레콤은 200만대, KT 150만대의 스마트폰을 공급할 계획이다. 올해 새로 출시되는 단말기 중에는 피처폰(일반 휴대폰)을 찾아보기 어렵다. 구글의 안드로이드폰이 본격 출시되는 올해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는 2.5억대로 전체 휴대폰 중 20%의 비중을 상회하고, 2013년에는 그 비중이 4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과 구글이 전면전에 나서면서 스마트폰의 선호도는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노키아, 삼성, 모토로라 같은 메이저 제조사들을 제치고 이들이 글로벌 통신시장의 오피니언 리더로 떠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안철수 교수는 비즈니스모델간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이를 설명한다. 제조사들은 스마트폰을 여전히 하드웨어와 하드웨어간의 싸움으로 보는데, 기존의 수직적 비즈니스모델에 도전하는 수평적 비즈니스 모델의 확산이 시장 트렌드를 바꿔놨다는 것이다. ‘개방은 수평적 비즈니스모델의 핵심이다. 애플, 구글 등은 오픈소스 전략으로 후발주자로서의 약점을 극복하고 S/W업체와 소비자들이 직접 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개방형 비즈니스모델의 목표는 시장표준 장악이다. 전혀 상관없는 타인의 협조를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개방형 모델은 웹 2.0 시대의 정서와 부합한다. 안 교수는 세상이 3차원이니 사물을 볼 때도 3차원적으로 바라보기를 제안한다. 기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모델적인 측면, 문화적인 측면을 함께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평면에서 입체로의 관점 전환은 변화의 본질을 파악하여 일상의 신화를 창조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3. 죽음과 변용(Death and Transfiguration), 두 번 산다

병약했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겨우 25세의 나이에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험을 한다. 60년 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84세의 고령에 나치협력혐의로 재판에 회부되는 위기에 몰렸던 슈트라우스는 나치전범재판소로부터 무죄판결을 받은 이듬 해 세상을 떠난다. 유언의 자리에서 그는 죽음이란 것이 내가 젊었을 때 쓴 죽음과 변용하고 똑같구나라는 말을 남긴다.

 

죽음 직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가 25세 때 작곡한 교향시 죽음과 변용악보에 리터는 이런 표제시를 썼다.

 

돌연히 다시 찾아온 죽음의 그늘이 사나이를 잔인하게 흔들어 깨우고, 병자는 삶에 대한 집착과 죽음의 힘 사이에서 마지막 무서운 싸움을 벌인다. 그는 필사적으로 죽음에 대항해 보지만, 드디어 죽음의 마지막 철퇴가 가해졌다. 육신은 두 쪽으로 나뉘고 그의 눈은 죽음의 어두움으로 뒤덮인다. 그 때 사나이는 그토록 바라던 하늘의 힘찬 울림을 듣는다. 세계를 구원하고 인류를 정화시키는 그 소리를! ”

 

변용(transfiguration)은 본래 예수가 제자들과 헬몬산에 올랐을 때 예수가 광채를 발하며 하나님의 아들로서 십자가로 나아갈 것임을 드러낸 사건을 지칭한다. 그가 죽음의 고통과 공포를 이기고 구원의 역사를 이루었듯 슈트라우스는 죽음의 상황에서 삶의 환희를 역설적으로 완성하는 변용을 그리고 싶었으리라.

 

두 번째 태어남이란, 중심인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삶을 살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머리에서 가슴에 이르는 먼 길을 당도하기 위해, 캠벨의 말처럼 우리는 매일 스튁스의 강물에 몸을 던져야 할지도 모르겠다.
IP *.204.162.93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4.09 21:39:11 *.34.224.87
신은 자연의 은유이자, 인간 욕망의 환유다...캬....멋있다.....인건이네 닭한마리 와 함께 소주한잔 들이키는 상상이....첫문장과 컬럼이 너무 멋있어서 기죽고, 난 이제야 변신이야기 2권 앞부분을 읽는데, 벌써 글을 올리는 부지런함에 기죽고, 그대의 튼튼한 하체에 기죽고..ㅎㅎ....내일 보자구...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4.09 23:41:18 *.36.210.138
동피랑 마을, 유럽의 어느 골목길 같다. 벽화에 비해 전체를 받쳐주는 바닥이 안정감이 없는 것이 아쉽지만 의식의 변화와 애착이 아름답고 가상하다. 우리의 진화도 저처럼 서두르기보다 착실한 그대의 하체처럼(?) 한걸음 한걸음 중심을 향해? 
그대의 동공에 유쾌한 핏발이 맺힌 것 같은 짜릿한 흥분. ^-^*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4.10 00:51:21 *.53.82.120
그대의 동공에 유쾌한 핏발이 맺힌 것 같은 짜릿한 흥분. ^-^*

멋져요~!!   ^^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10.04.13 07:44:17 *.160.33.180

까꿍아.  
장신구가 많아 번쩍인다.   네가 원하던 것이냐 ?    
다촛점이라 어지럽다 .   역시 네가 원하던 것이냐 ?  
옷을 많이 껴입어 속살을 보기 어렵다.  역시 네가 바라던 것이냐 ? 

심장을 가장 가깝게 찌르는 칼이 직효다. 
간단하면 쉽다. 
우아한 여인은 장신구의 수를 줄이고, 그대신 최고의 장신구를 선택한다. 
생각해 보거라. 
프로필 이미지
까꿍이
2010.04.13 11:32:13 *.236.3.241
스승님의 첫 코멘트 감격스럽고 감사합니다^^

이것 저것 집어 먹었지만  다 먹고 나니 흡족하지 않은 포만감이 들었던 게 사실입니다. 

신문 컬럼이나 교양 에세이가 아니라  저를 보여주는 글이 되어야 하는데 다시 읽어보니
부족한 점이 많이 보입니다.

초점을 모으는데 좀 더 정진하겠습니다. 개인적인 주제를 좀 더 녹여내어 맨 얼굴로
승부하는 여인이 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4.14 10:55:11 *.106.7.10
허걱, 전체 모임을 가기 전 바쁘게 읽고, 오늘 찬찬히 다시 읽어보려고 들어왔더니 스승님의 코멘트가 달려있네.
아~~~~~~~~~~~~, 부러워라 ^^
으~음, 나도 진지하게 한 마디만 하자면^^

"머리에서 가슴에 이르는 먼 길을 당도하기 위해, 캠벨의 말처럼 우리는 매일 스튁스의 강물에 몸을 던져야 할지도 모르겠다"

문구 공감 100% ! 
우리 유끼의 특징인것 같아요. 머리가 무거운 사람들, 앞으로는 가슴이 뜨거운 삶을 살고파 하는 사람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2 칼럼6. 아마추어, 꿈을 이루다! [9] 낭만 연주 2010.04.19 3001
1551 [컬럼] 탐험가, 최우성 [10] 최우성 2010.04.19 3082
1550 <꿈을 실천하는 힘 1> '칼럼'쓰기 [8] 이선형 2010.04.19 2931
1549 응애 5 - 죽음의 미학 ( Ars moriendi ) [5] [1] 범해 좌경숙 2010.04.19 3600
1548 칼럼6. 기록을 기록하다. [10] 맑은 김인건 2010.04.19 2373
1547 <컬럼6-2> 당신의 하늘은 어떠했습니까 [15] 박상현 2010.04.19 2984
1546 라뽀(rapport) 10 - 서른명의 무써운(?) 할머니들 [3] [3] 書元 2010.04.18 2917
1545 도반 [13] 이은주 2010.04.18 3656
1544 [먼별해석1] <캠벨의 구석기 Vs 신석기 신화비교> [1] 수희향 2010.04.17 3233
1543 < 오만한 예술가의 초상 - 샤를르 보들레르 > 4. [10] [1] 정재엽 2010.04.17 4343
1542 [사자 17] <창조적 소수의 만남: 목표지향 Vs 사람먼저> [1] 수희향 2010.04.17 3115
1541 응애 4 - 무슨 말을 하면 좋을까? [6] 범해 좌경숙 2010.04.16 3053
1540 [패러독스경영 #1] 내 삶의 거울 [8] 송창용 2010.04.16 3012
1539 컬럼2-1: 정과실천(定課實踐) [3] 희산 2010.04.16 2965
1538 감성플러스(+) 감탄에 대하여 file [2] 자산 오병곤 2010.04.16 3715
1537 응애 3 - 바람이 불어와 [6] 범해 좌경숙 2010.04.14 3232
1536 < 오만한 예술가의 초상 - 샤를르 보들레르 > 3. [8] 정재엽 2010.04.13 3643
1535 응애 2 - 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있게 [13] 범해 좌경숙 2010.04.12 3377
1534 1인 1주 1 컬럼 [14] 부지깽이 2010.04.11 3185
» <컬럼 6> 변화 이야기(관점의 전환을 중심으로) file [6] [2] 박상현 2010.04.09 4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