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신진철
  • 조회 수 2054
  • 댓글 수 21
  • 추천 수 0
2010년 6월 19일 21시 58분 등록

[칼럼 16] 개 같은 사랑

 

그대는 왜 사랑을 하는가. 부부니까? 아이를 갖기 위해서? 또는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

 

6월 어느 날 아침, 여느 때처럼 담배 한 대 피우려고 대문 밖 골목으로 나섰다. 막 담뱃불을 붙이고서 맛있게 한 모금을 빨았다. 허공을 향해 “휴-”하고 긴 한숨을 섞어 연기를 내뱉는데,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골목 입구 쪽이었다. 개 두 마리가 붙어서 막 그 짓을 하고 있었다. 아래쪽 암컷은 가만히 서서 게슴츠레한 눈만 꺼먹꺼먹거렸고, 앞발을 가슴팍 쪽에 묻은 수컷은 연신 숨을 헐떡거리며, 도리질을 해대고 있었다. 내가 보든 말든, 지나가는 사람이 있든 말든 상관치 않고 그들은 그들의 일에만 열중하고 있었다. 안쓰러워 보였다.

 

‘개들도 사랑을 알까?’

‘바둑이’와 ‘피터’는 둘 다 암컷이었는데, 우리는 별 상관없이 이름을 지어 불렀다. 바둑이는 체구가 좋은 편이었지만, 피터처럼 영리하지는 않았다. 둘 다 우리들을 잘 따르는 편이었지만, 나는 특히 짙은 고동색 윤기 나는 털을 가진 피터를 좋아했다. 말을 참 잘 알아들었다. 그런 피터를 어머니는 전생에 사람이었을지도 모른다고 하시곤 했다. ‘피터’와 얽힌 당혹스러운 기억이 있다. 막 중학생이었던 시절이었다. 아침부터 동네 수컷 몇 마리가 우리 집 대문 앞을 어슬렁거렸다. 문득 대문을 열고 나가려는데, 눈치를 슬슬 살피다가 쏜살같이 집 마당으로 쏟아져 들어왔고, 피터의 궁둥이에 연신 코를 들이댔다. ‘피터’가 발정이 난 것이다. 빗자루를 찾아들고 쫒아 내려는 데, 어머니가 말리셨다. 피터도 새끼를 가질 때가 되었다는 것이었다.

오후에 학교를 마치고, 집에 들어서는데 대문이 열려 있었다. 마당 한 쪽에서 피터가 복덕방집 큰 검둥개와 ‘그 짓’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호기심에 잠깐 쳐다보았지만, 별로 즐거운 기억이 아니었다. 그런데, 다음날 아침 이번에는 다른 놈하고 붙었다.

‘아니, 이 녀석이 정조도 없이...’

어린 마음에 충격이 컸다. 그런 피터가 실망스러웠다. 더욱 당혹스러운 일은 바깥 화장실로 일을 보려고 지나는데, 마당 옆에 비스듬히 누웠던 피터가 한 쪽 발을 들어 보이는 것이었다. 순간, 나는 생전처음으로 암컷의 거무튀튀한 ‘거시기’를 보았다. 얼굴이 후끈 달아 올랐다. 누가 볼세라 얼른 자리를 피했다. 화장실로 도망치듯 들어온 나는 바로 일을 볼 수가 없었다. 잠시 망설이다가, 피터가 눈치 채지 않게 문을 살짝 열고 밖을 내다 봤다. 피터는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지만, 다리는 내려놓고 있었다. 실망감이 들었다. 그때서야 오줌이 마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혹스럽기도 하고, 혼란스럽기도 하고 막 사춘기를 시작한 나한테는 잊혀지지 않는 기억으로 남았다. 곰곰이 아까 본 장면을 떠올려보다가 괜히 어머니 보기가 머슥했다.

 

그런 일도 며칠뿐이었다. 그렇게 뻔질나게 아침부터 우리 집 대문을 서성이던 동네 수컷들의 모습은 통 보이질 않았다. 아마도 어디 다른 암컷을 찾아 몰려간 모양이다. 한 번씩 심부름 가는 길에 우리 ‘피터’하고 정을 통한 수컷들과 마주치곤 했는데, 그들은 이제 나한테 무심했다. 아니 우리 ‘피터’한테도 관심이 없었다. 마치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이 그냥 지나치기도 하고, 심지어는 ‘피터’와 내가 지나가는 길 한쪽에서 다른 암컷의 궁둥이에 연신 코를 박아대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기도 했다. 그럴 때면 나는 ‘피터’의 눈치를 살펴보았지만, ‘피터’ 역시도 별로 괘념치 않는 모습이었다.

‘개들은 질투 같은 것도 안하나?’

 

그렇게 두 달 남짓, 이미 배가 불러서 걸음걸이조차 불편한 ‘피터’를 위해 어머니는 담요를 깔아주었다. 그리고 어떻게 아셨는지, 오늘 내일쯤이 될 것 같다는 말씀을 하셨다. 막 겨울로 접어든 바깥 날씨 속에서 새끼를 낳는 일은 쉽지 않았다. 어머니는 자주 플래쉬를 들고 안팎으로 드나들었고, 아랫목 한 쪽에 새끼들을 위한 종이 박스를 마련하셨다. 출산 경험이 없었던 ‘피터’였지만, 어머니의 배려 속에서 7마리나 되는 새끼들을 잘 낳았다.

우리는 새로운 강아지들의 탄생과 젖을 물려 키우는 ‘피터’의 양육과정을 지켜보면서 어미의 사랑에 대해 생각해보곤 했다. 제가 알아서 탯줄을 끊어 삼키는 것도 신기했고, 눈도 뜨지 못하는 새끼들을 한 마리씩 챙기는 것도 대견했다. 배가 고파 젖을 찾는 새끼들에게 헌신적이기도 했지만, 젖꼭지가 불어 터서 고통스러워 할 때 짜증을 내기도 했다. 어머니는 그런 피터를 안쓰럽게 생각하고, 정육점에서 돼지 뼈를 얻어다가 고와서 밥을 말아 먹이기도 하셨다.

 

피터가 몸을 회복하고, 제법 새끼들도 어미의 젖을 떼기 시작하면서 우리들 일손도 바빠졌다. 7마리나 되는 새끼들의 밥을 챙기고, 똥을 치우는 일은 항상 즐겁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 검정 눈동자, 촉촉한 코, 자근자근 내 손가락을 깨물거나 손바닥을 핥는 느낌들을 보상으로 얻을 수 있었다. 학교가 끝나고 돌아오면, 우리는 서로 강아지 한 마리씩을 끌어안았다. ‘쥬피터’, ‘비너스’ 이름을 부르면서 마치 제 동생들이나 되는 양 볼을 비비고, 악수를 하고, 마당 이쪽 끝에서 저쪽 끝으로 몰고 다녔다. 그러면, 피터는 피곤하다는 듯이 한 쪽에서 실눈만을 한 채 우리를 지켜보곤 했다.

우리들의 놀이는 막 봄이 오기 시작하면서 끝이 났다. 차례차례 한 마리씩, 먼 친척에게 주거나 단돈 몇 천원을 쥐어주고서 어른들은 우리 놀이 친구들을 한마디 미안하다는 말도 없이 빼앗아 갔다. 그 때도 피터는 아무렇지도 않은 척 고개를 돌리고 제 집 한쪽 귀퉁이를 찾아들어가 누웠다.

참 이상했다. 피터나 새끼들이나. 피터는 이 모든 과정을 분명 처음 겪을 텐데, 마치 숙명처럼 받아들였다. 피터는 정확히 어떤 놈인지 모르지만, 새끼들의 ‘아비’가 누군지 처음부터 관심이 없어 보였고, 새끼들도 ‘애비’없이 크는 것에 전혀 슬퍼하지 않았다. 이런 ‘개 같은 운명’이 다 있나.

 

얼마쯤 후, 마당에 또 빨간 핏방울 자국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동네 수컷들이 귀신같이 대문 앞에 몰려들었다. 은근히 부야가 치밀었다. 대문을 ‘쾅’하고 발로 차 닫아버렸다.

 

‘개자식들, 단 한 번도 피터한테 먹이 물어다 주지도 않았으면서’

IP *.154.57.140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21 09:54:46 *.30.254.28
ㅎㅎ ...진철아..
인간도 동물이잖아..노여움을 풀어라..

갑자기  궁금해진다.
은주가  뭐라 댓글 달지...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6.22 06:31:40 *.186.57.59
형, 더 놀랠말이 있는데... 차마 다하지 못하겠네.
우리 웨버가 그거 알면, 아마 경악을 하고, 심장마비를 일으킬지도 몰라.
혹, 웨버 심장이 두개 정도라면 모를까...
프로필 이미지
2010.06.21 10:44:24 *.106.7.10
^^, 아마 오빠만이 쓸수있는 칼럼이 아닐까???
난 정말 오빠가 쓸 책이 너무 기다려진다...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10:21:23 *.106.7.10
우리 서로 연구하자 ㅋㅋㅋ
난 오빠 리뷰 보면서 아~, 아, 앗!
이런 소리밖에 안나와.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6.22 06:29:58 *.186.57.59
선형이 쓴 리뷰봤담, 와... 사람이 이렇게 달리 볼 수도 있구나.
선형에게 무찔러 들던 말 중, 종종 내 기억에는 아예 없는 글귀들도 있다는 것이..
참 신기했다. 연구대상이다..넌,
프로필 이미지
2010.06.21 12:12:02 *.145.204.112
어려운 것을 쉽게 쓰는 진철씨 ㅎㅎ
그대 와이프는 재미있겠다.
정말 웨버의 댓글이 막 궁금해진다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6.22 06:27:56 *.186.57.59
쉽게 쓰는 것이 더 어렵데요... ㅎㅎ
고마워요.
그대 와이프, 마이 라이프? 별로 재미없네요..ㅋㅋ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6.21 13:23:23 *.53.82.120
가끔
우리는 '인간'이라는 두 글자에 너무 많은 환상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합니다.
우리의 '영웅'들이 우리에게 그런 기대를 갖게 했을테지요?

눈만 뜨면 운동하고 새 모이처럼 먹고 살며
보통사람을 연기하는 여배우의 몸을 보며 보통사람 응당 유지해야 할 몸에 대한 기준을 세우는 것 처럼.. 

아직 어떤 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기대를 버리고 편히 살아야 할지..
어렵더라도 이상을 따라가야할지..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07:42:27 *.53.82.120
^^

힘나면 가고, 지치면 쉬고..
그럼서 가보죠!
60넘긴 6기들.. ㅋㅋ
오늘 하루는 이 노인네들이랑 놀아봐야징!! 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21:14:57 *.221.232.14
혹시... 외계인이라 그러지 않으까?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10:23:18 *.106.7.10
초지일관 '다르다'가 아닌 '틀리다'를 썼던 선임다.
참 어려워요.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한다는 것이.
열심히 유끼들의 글을 읽어요. 그중 오빠 글이 가장 신기해요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6.22 06:23:37 *.186.57.59
얼마전, 음악편지를 하는 이종민 교수님이..
"진철아, 넌 너무 생각이 많아... 그냥 살아..."
"선생님, 팔자인가 봐요.. 어떻게요..그걸"
"팔자? 요즘은 운명이라고 해."

'아직' '어떤 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1. 아마 우리가 50이 되어도,.. 60이 되어도 그 때도 아직이라고 하겠지?
2. 정말 어떤 게 어떤 건지 그때도 몰라서, 위에 쓴 말, 그 때도 쓰고 있겠지?
3. 맞는거? 맞고 틀리고가 아니란 걸... 그 때가 되어도 모르겠지 우리는?
4. 모르는 것이 맞지. 어떻게 알겠어?  묘하지?
    몰라서, 우리가 만났고, 몰라서, 책을 읽고, 몰라서, 쓰고 있잖니...
    모르는 것, 모른다고 말하는 건, 모른다고 아는 건 ... 그래서, 많은 걸 알게 하나봐.

묙아, 생각해봐. 나이 60을 넘긴 6기들이 꼬부랑 할망구, 할아버지가 되어서
어디 카페같은데 모여서 수다떨고 있을 모습을... 그때도 우리는 만나면 행복해지고,
떨어지면 그리운 사람들처럼 살고 있겠지?
ㅎㅎ 모를 일이지? 그치?
그래도 좋다... 지금이 행복이... 모르는 지금이...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6.21 19:20:10 *.236.3.241
진철아, '개 같은 사랑'을 통하여 '개 같은 인생'을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니더냐 ㅋㅋㅋ

웨버의 개 시리즈 이후에 강아지의 탈을 쓴 인간 이야기가 유행이 됐네 ㅎㅎㅎ
삶이 어렵고 힘들더라도 우리 여전히 차카게 살자~~~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6.22 06:14:00 *.186.57.59
번역하기 참 어려웠던 말, 영화의 제목이기도 했던...
'My life as a dog'  천진난만한 나의 어린 시절...
영화를 보셨던 분이면, '개'의 문화적 상징이 이렇게 큰 차이를 가진다는 걸 알수 있습니다.
그려..상현아.. 차카게 살아야지...차카게... 차카게...
그치만, 난 여전히 나쁜 놈들이 더 끌린다.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21:16:48 *.221.232.14
암만.. 그래야 착하 쥐...  참, 오늘 하지란다.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10:25:07 *.106.7.10
사실, 나도 맘 한구석은 나쁜 남자에게 끌려용 ~
그래도 난 차칸 남자와 행복하게 살아야쥐~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6.22 10:50:18 *.219.109.113

진철아 글을 읽고 나서의 느낌은 있었는데 말이야. 이건 추측일 뿐이고 그래서

쓰지는 않겠어. 그리고 나 읽으며 기절 안 했다. 대행이지?

나는 개 사랑에 대해 너무나 본능적이고 자연스러운 사랑 앞에 돌을 던지거나

물을 끼얹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의 생각들이 더 불손하다 생각을 했었어.

개들에게도 모텔을 지어주고 밀실을 만들어 주지 않으면서 사랑도 못 하게하고

사람들은 점점 어두운 곳으로 숨어들지. ㅎㅎ

담부턴 문 쾅 닫지 말고 , 잘 이야기해 돌려보내라. 오케이?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6.22 16:20:47 *.1.93.86
적어놓은 10계명대로 해보고.. 안되면 누나한테 전화할께. ㅎ~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6.22 21:28:18 *.146.70.52
저도 어릴적 잠깐 보았지만, 지방에 계셔서인지 글에 토속적인 냄새가 더 나요. 얼마전 따님 보았을 때도, 땅의 혹은 자연의 기운이 느껴졌어요. 정말 손이 맵고, 에너지가 넘치더군요. 

인간의 모습이라는 생각도 드네요. 개들이야,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지만, 사람은 어쩔 수 없이 하기싫은 일도 남의 눈때문에 하잖아요. 아마도,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고, 탓하는 여론이 없다면 인간도 '피터'를 범한 개처럼 되지 않을까요? 사회성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실제로, 그렇게 하기도 하고. 

마음 편안하게 해주는 글. 잘 읽었습니다. 정말이지, 글을 보면 사람이 보이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0.06.22 22:37:20 *.221.232.14
 정말이지, 글을 보면 사람이 보이넵. 인건, 고마워.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6.24 14:52:44 *.203.200.146
개같은 인생~
어릴적엔 개가 무서워서 피했고, 머리가 크고는 난 무섭지 않다 나랑 녀석들은 급이 달라라고 하며피해다녔죠...
그래서인지 그런 장면을 본 기억이 가물가물...있었나 없었나...
개들만의 사랑방식이 있고 인간만의 사랑방식이있고
인간들도 그 다양한 개성만큼의 사랑방식이 있고
추천 수만가지의 다양한 사랑방식이 있겠죠...
사랑이란 것이...참 묘해요 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7 보이지 않는 길 4 무의식 그 회귀와 초월 백산 2010.06.29 2007
1731 감성플러스(+) 17호 - 일상에서 여행하기 file [4] 자산 오병곤 2010.06.28 2227
1730 거대한 똥 덩어리의 반란(칼 융을 기리며) [18] 박상현 2010.06.28 2399
1729 [컬럼] 무의식의 욕망 [7] 최우성 2010.06.28 2286
1728 칼럼17-<비로소 '마음의 경영'이 시작될수 있으려면> [10] 박경숙 2010.06.28 2134
1727 칼럼. 어색한 두손, 달콤한 초코파이. [5] 낭만 연주 2010.06.28 2195
1726 달려라 ~~나의 꿈을 향해 file [14] 이은주 2010.06.28 2502
1725 그날 우리는 행복했습니다 書元 2010.06.28 2028
1724 [칼럼 17] 내 안의 여자, 신마담 [13] 신진철 2010.06.27 3016
1723 칼럼17. 장사는 수작업手作業이다. [6] 맑은 김인건 2010.06.26 2370
172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6 보이지 않는 길 3 적절한가? [2] 백산 2010.06.22 2262
1721 컬럼14. 군대도 거부한 아이. [9] 낭만연주 2010.06.21 2340
1720 컬럼 16. 두 눈을 열고 산다는 것 [16] 박상현 2010.06.21 2350
1719 <꿈을 실천하는 힘> 왜 새벽기상인가. [14] 이선형 2010.06.21 2899
1718 칼럼16-<그래도 삶이 지속 되려면> [15] 박경숙 2010.06.21 2270
1717 [컬럼] 마음의 제국 [9] 최우성 2010.06.21 2352
1716 라뽀(rapport) 15 - 그룹 코칭 [2] [1] 書元 2010.06.21 2528
1715 칼럼16. 여기에서 저기로 가다. [12] 맑은 김인건 2010.06.21 2159
1714 인사동 외팔이 file [19] 이은주 2010.06.20 22111
» [칼럼 16] 개 같은 사랑 [21] 신진철 2010.06.19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