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7월 25일 08시 02분 등록

응애 25 - 그는 그날 몇마리의 남방호랑나비를

  시인 류시화는 오월 중순에 이제 막 날개를 펴고 나온 어린 나비떼의 펄럭임을 보고 있었답니다. 봄날, 사람들이 농사일을 시작할 때 그 또한 들판으로 나가 한낮의 햇살아래서 나비를 관찰했지요. 그 일은 그에게 생의 휴식을 주고 그로 하여금 그자신의 생각으로부터 걸어나올 수 있게 해 주었답니다.

“내 날개를 만져보세요. 나는 나비예요. 내 떨리는 더듬이와 숨은 시선을 보세요. 나는 살아 있으며 죽음이 겁나요. 당신처럼 말이예요. 나는 나비이고 곧, 당신자신이기도 해요.”

그날 그는 몇 마리의 남방 노랑나비를 쫓아 바닷가 절벽을 오르내리고 있었답니다. 생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을 하면서도, 그는 즐거웠고, 절벽등반가나 나비채집가가 아니면서도 그 일에 열심이었답니다.

저녁나절이 되어 나비의 날개들이 석양빛에 어른거릴 때 그는 집으로 돌아와야 했습니다. 하지만 아이처럼 자만에 뜰뜬 나머지 마지막 햇살 속에 어른거리는 나비를 뒤쫓다가 그만 발을 헛디뎌 바닷가 절벽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한참이 지난 뒤 그는 온몸에 상처를 입은 채 정신을 차렸습니다. 간신히 몸을 추슬러 절벽을 기어올라 갔습니다. 그는 나비처럼 그가 한없이 연약한 존재임을 깨달았습니다. 나비는 작은 날개라도 있지요. 그는 이 생의 저녁 한때에 날개없이 추락을 하고 말았던 것입니다.

밤늦게 마을 주민의 도움을 받아 집에 도착한 그는 다시금 정신을 잃고 말았습니다. 그리고는 무의식의 세계에서 무수한 나비떼의 펄럭임을 보았습니다. 그 나비들이 그에게 속삭였습니다. “나를 보세요. 떨리는 내 몸을 보세요. 나는 당신이예요. 나는 살아있고, 또 죽는 것이 겁나요.”

다행히 뼈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는 의사의 진단이 내렸습니다. 그러나 몸이 놀란 것 같아서 우황 청심환을 한알 먹었답니다. 곧 상처는 치유되고 그는 또다시 들판으로 산기슭으로 여름철의 나비를 뒤쫓아 다니겠지요.

나비는 약 2억 7천만년 전의 고생대 화석에서부터 그 존재가 확인되고 있으며, 제주도에 많이 사는 왕나비과의 어떤 나비는 거대한 무리를 지어 수천 킬로미터를 여행해 대양을 건너가기도 한답니다.

** 류시화 산문집 <달새는 달만 생각한다>중 ‘나비를 뒤쫓아감’에 있는 이야기입니다.

지금 시인은 나비를 쫓으며 한 여름을 즐기고 있겠지요. 카잔차키스의 나비와 류시화의 나비가 서로 어울려 한강 뚝을 오르내리며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이런 날, 나는 시인의 산문을 따라가며 그 아름다운 날개 짓에서 흘러나오는 시의 운율을 헤아려 봅니다.

IP *.67.223.10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2 왕따가 되다 [27] 박경숙 2010.07.31 3349
1791 사노라면 박상현 2010.07.31 2572
1790 보이지 않는 눈물이 보이는 눈물보다 더 아프다 [4] 백산 2010.07.31 2452
1789 동물견문록 file [2] 이은주 2010.07.31 5949
1788 [그림과 함께] 너그러움 file [5] 한정화 2010.07.30 2965
1787 심스홈 이야기 8 - 제대로 된 홈 드레싱을 위한 재료 file [6] 불확 2010.07.29 2628
1786 정직이랑 진실이 [5] 백산 2010.07.28 2353
1785 감성플러스(+) 19호 - 인생을 시(詩)처럼! file [5] 자산 오병곤 2010.07.26 3435
1784 응애 26 - 강은 흘러야 한다 [6] 범해 좌경숙 2010.07.26 2283
1783 내게 사랑은/ 운암에서 / 운우지정 [1] [2] 신진철 2010.07.25 3153
1782 라뽀(rapport) 18 - 나에게 주어진 메타포어(metaphor) [6] [1] 書元 2010.07.25 2404
» 응애 25 - 는그 날그 범해 좌경숙 2010.07.25 2362
1780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31 보이지 않는 길 8 할 수 있는가? [4] 백산 2010.07.25 2225
1779 두 편의 시에 담는 소고 [4] 신진철 2010.07.24 2171
1778 응애 24 - 나는 어느날 아침에 본 [4] 범해 좌경숙 2010.07.24 2388
1777 심스홈 이야기 7 - 집을 꾸미는 백만 가지 방법 중의 하나 file [16] [2] 불확 2010.07.21 3070
1776 <칼럼> 나의 가슴은 뛰고 있는가. [6] 이선형 2010.07.19 2400
1775 칼럼. 정로의 선물 [5] 낭만연주 2010.07.19 2782
1774 [컬럼] 거침없이, 유쾌하게 [13] 최우성 2010.07.19 2436
1773 20. '연구원을 지원한 이유가 무엇이냐?' [7] 맑은 김인건 2010.07.19 2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