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연주
  • 조회 수 2350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0년 10월 31일 11시 35분 등록

칼럼. 4차원 성철이

“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공감 역량은 유아가 아직 말을 하기 이전에, 엄마와 아기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작용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고도 한다. 공감은 전의식적으로, 조용하게 그리고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 『사람풍경』 김형경

 

2학기 중간고사 첫날 1교시 시험을 마치고 다른 시간 감독을 준비하러 가는 나를 미술 샘이 부르신다. 다가가서 밝게 인사를 했더니 방금 전에 우리 반 감독을 하는데 성철이가 한 행동을 얼굴이 상기되어서 말씀하시기 시작했다. 이야기를 듣는 내내 성철이 덕분에 너무도 당황했을 선생님께 미안했다. 상황인 즉, 이러하다. 1교시 감독을 우리 반에서 하게 된 선생님께 답안지를 나눠주고 아이들을 둘러보고 있는데, 성철이가 앞 친구에게 말을 걸고 있는 것을 보고 주의를 주셨다. 지적을 받은 성철이가 선생님을 불러서 가까이 다가갔더니, 대뜸 여기에 선생님 욕이 써 있어요 하면서 큰소리로 책상에 쓰여 있는 문구를 불러주더라는 것이다. 선생님은 성철이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더욱 화가 나시는 듯했다. 평상시에 아이들이 선생님에 대해 반감을 갖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그것을 시험시간에 그것도 학부모 감독님이 계시고 모든 아이들이 듣는 앞에서 말을 하는 것은 너무 지나친 행동이었다고 말씀하신다. 성철이가 평상시에 개념이 없는 4차원적인 아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이번 사건은 너무 충격적이라고 말하셨다. 성철이가 일부러 악의를 갖고 교묘하게 학부모님이 듣는 앞에서 자신을 망신 주려는 의도라고 생각하셨다.

미술샘의 이야기를 듣는데 성철이라면 악의가 없이도 그런 행동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선생님의 마음을 조금이라고 풀어드리고 싶어 1학기에 겪었던 나의 경험을 이야기해드렸다. 1학기에 학교대표로 연구수업을 하게 되었다. 우리학교 선생님뿐만 아니라 주변학교와 교육청 등에서 내 수업을 참관하러 오셨다. 연구수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지도안을 짜면서 수업시간에 질문할 내용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주고 준비해오도록 했다. 우정이 주제인 고사성어를 배우고 그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발표하는 것을 쑥스러워 하는 경향이 많아서 미리 준비를 잘 해온 아이들에게 수업시간에 발표를 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하고 수업을 진행했다. 발표할 사람을 물었더니 예정에 없던 성철이가 너무나 간절하고 자신감 넘치게 손을 든다. 이렇게 하고 싶다는 의사가 확실한 성철이를 외면할 수가 없어 발표를 하도록 했다. 성철이는 밝게 웃으며 자리에서 일어나 초등학교 때 친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 내용인 즉은 초등학교 같은 반 친구가 자신들을 위해서 살신성인殺身成仁을 했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때 선생님이 싸이코였어요. 얼마나 짜증이 나게 수업을 하던지 애들이 다 싫어했거든요. 그런데 수업시간에 용기있고 정의로운 친구 대발이가 일어나서 선생님 정말 재수없어요 하고 소리를 질렀어요. 그래서 선생님이 화가 나서 대발이를 나무랐는데 선생님한테 의자를 집어던지고는 교실을 나갔어요. 대발이는 친구를 위해 살신성인을 했다고 생각합니다.’라며 이야기를 마치고 자리에 앉았다. 성철이가 말을 마치고 자리에 앉자마자 잠시의 정적이 흐르고 아이들이며 선생님이며 할 것 없이 좌중이 폭소했다. 난 사실 살짝 난감했지만 성철이를 나무랄 수도 없었다. 알맞은 예는 아니지만 굳이 끼워 맞추면 살신성인이 되긴 했다. ㅡㅡ; 그리고 성철이가 악의를 갖고 이런 발표를 했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았다. 이전부터 성철이의 사고방식이 독특하다는 것은 짐작하고 있었기에 정말 무척 특이한 녀석이구나 한 번 더 생각하는 정도였다.

그런데 그건 담임으로서 내가 성철이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는 성철이의 돌발행동이 심하게 눈에 거슬리고 자신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충분히 생각할 만 했다. 미술샘의 말을 듣고 보니 시험시간에 지적받은 것에 대한 보복으로 성철이가 머리를 굴린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 이번 건은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준 행동이므로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성철이를 불러 시험시간에 미술샘과 있었던 일을 자세하게 적도록 했다. 몇 분 뒤 돌려받은 성철이의 진술내용을 보고 역시 성철이는 4차원이구나 생각이 들었다. ‘시험시간에 자리에 앉았는데 제 자리에 미술샘에 대한 욕이 써 있었는 데 선생님도 자신에 대한 욕을 알아야 할 것 같아서요. 자기 욕하는 줄도 모르고 살면 미술샘만 바보 되잖아요.’ 어이가 없지만 성철이의 의도는 정말 악의 없는 진심으로 미술샘을 생각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성철이는 나름대로 미술샘에 대한 배려를 한 것이다.

성철이의 마음이 순수했다는 것은 알겠지만 표현방식이 너무 잘못되었다. 성철이에게 ‘물론 그런 것을 알면 좋을 수 있겠지만 그걸 큰 소리로 다른 사람들이 모두 듣게 이야기할 필요가 있겠니?’라고 물었다. 지나치게 명랑 쾌활한 버전의 성철이는 갑자기 얼굴이 어두워지면서 ‘제가 잘못했네요.’라고 바로 자신의 잘못을 수긍했다.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할 꺼냐고 물으니 성철이는 ‘앞으로는 남들이 욕하고 있다는 걸 알려줄 때는 귀속 말로 살짝 말해주겠습니다.’라고 말한다. 아~빵 터진다. 때론 말하지 않아도 되는 일이 있다는 것을 자신의 지나친 솔직함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가 된다는 사실을 성철이에게 살짝 말해주었다. 이런 성철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한 친구가 그 아이는 공감능력과 타인에 대한 배려라는 항목을 어려서부터 배우지 못했던 게 아닐까라는 말을 했다. 정말 그런지도 모르겠다. 공감과 배려는 어떤 사람에게는 태생적으로 쉬운 일인지 모르겠으나 어떤 이에게는 인간관계를 위해 배워야 하는 필수 덕목일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줄 수 있을지는 나에게 남겨진 과제이다.

IP *.143.127.204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11.01 14:03:09 *.236.3.241
사회생활에서 솔직함을 우선한 나머지 관계가 어색해지는
경우가 가끔 있지ㅎㅎㅎ 연주 친구 말대로 배려가 없는 솔직함은
상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해야 할 것 같다.

성철이와 상대방의 대화록을 정리해서 외국어 회화 공부하듯이 화자를
서로 바꿔 말해보는 건 어떨까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11.01 15:46:35 *.30.254.21
그넘..참  대책없이 솔직하구나..
공감능력과 타인에 대한 배려..
연주가 직접 갈쳐주는 것이 제일 빠르지 않을까?
애들 겪어보니, 요즘 애들은 애들이 아닌 것 같아.
무지 빨라..금방 잘 알아들을지도 모른다...
프로필 이미지
2010.11.01 16:53:59 *.230.26.16
아, 상황 그려진다 ㅋㅋㅋ
그런데 과연 어디까지 솔직해야 하는 걸까?

뒤집어 생각하면 우리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라는 명목으로 많은 것을 그냥 덮어버리지는 않는지... 
누군가에게 싫은 소리를 한다는 건 너무나도 피곤한 일이기 때문에, 때로는 배려라는 명목으로 그냥 지나간다. 
그건 배려보다는 싫은 소리를 하기 싫다는 내 입장에서의 이기심인 경우도 있다. 
어렵다. 어려워...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11.01 20:01:39 *.42.252.67
학교 교육이 먼저가 아니고 가정 교육이 먼저이어야 함을
느낀다. 부모들은 내 새끼는 다 안 그런줄 알아.
언제부터인지 가정교육이 뒷전이 되면서 선생님들의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만 가더라구......
되고 안 되는 일 그건 가정에서 일어나야 할 일이지.
왜 이렇게 엉망이 되어가나 몰라. 공부가 행복의 우선 순위가 아닌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92 하계연수 단상23 - 인연은 운명과 같이 일어난다 file [8] 書元 2010.11.07 2881
1991 칼럼. 꿈이 없던, 꿈이 없는 영덕이 [9] 김연주 2010.11.07 2624
1990 [칼럼] 서호납줄갱이의 비밀 file [12] 신진철 2010.11.06 8146
1989 여인혈전-그것이 사랑이었을까 [4] 신진철 2010.11.03 2518
1988 [먼별2] <단군의 후예: 사색하는 나무 디자이너 최성우님 인터뷰> [9] 수희향 2010.11.01 2723
1987 응애 39 - 문상을 다녀와서 [2] 범해 좌경숙 2010.11.01 2676
1986 세계의 기원 [5] 박상현 2010.11.01 2952
1985 칼럼. '가가호호 아이둘셋' file [6] 이선형 2010.11.01 3879
1984 감성플러스(+) 27호 - 내일을 향해 써라 file [5] 자산 오병곤 2010.11.01 2479
1983 [컬럼] 리더의 철학! [7] 최우성 2010.11.01 2364
1982 [칼럼] 동청冬靑이라는 나무가 있다 [10] 신진철 2010.11.01 2795
1981 넌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7] 맑은 김인건 2010.10.31 2611
1980 '놓아버림'이 전환을 줄수 있을까? [5] 박경숙 2010.10.31 3026
1979 미션 개 파서블 [11] 은주 2010.10.31 2839
» 칼럼. 4차원 성철이 [4] 연주 2010.10.31 2350
1977 라뽀(rapport) 29 - 나는 그녀가 그해 가을에 한 일을 알고있다. 書元 2010.10.30 2924
1976 하계연수 단상22 - 돈키호테가 풍차로 간 까닭은? file [2] 書元 2010.10.30 3248
1975 하계연수 단상21 - This is the moment. file [1] 書元 2010.10.30 2395
1974 영동고속도로 덕평휴게소내 주유소 충전소 오픈 [1] 덕평주유소 2010.10.30 2456
1973 중국및해외 홈페이지제작 및 홍보대행 서비스 [3] 박광우 2010.10.29 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