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연주
- 조회 수 242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칼럼. < 내 꿈은 내가 찾으면 안 돼요? >
『 슬기로운 교사는 자기 일을 하고 거기서 멈춘다. 그는 세상이 대부분 자기 통제권 밖에 있음을 안다. 그리고 모든 것을 통제하려 하는 것이 배움의 道를 거스르는 짓임을 안다. <배움의 도 - 파멜라 메츠> 』
현서에 대한 첫 기억은 ‘이런 답답한 녀석’이었다. 새 학기가 시작되고 하루가 지난 날 조회시간에 지각하지 않은 아이들에게 사탕을 나누어 주었다. 우리 반 3분의 2정도의 아이들이 사탕을 받았다. 사탕을 받은 아이들은 당연히 그 자리에서 그것을 맛보기에 바빴고 나는 사탕껍질을 휴지통에 버려달라는 당부의 말을 하고 교실을 나섰다. 그날 점심시간이 끝나갈 무렵 교실 앞을 지나가는데 현서가 내 곁에 쑥스럽게 다가와서는 “선생님”하고 나를 부른다. 나는 새 학기의 좋은 이미지를 위해서 활짝 웃으며 한껏 친절하게 “왜 그러니?”라고 되물었다. 돌아온 현서의 대답은 ”이 사탕 지금 먹어도 되요?” 그 말을 듣는데 이 녀석 착하긴 한데 융통성이 없어 세상 살기 답답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뒤로 1년 동안 중학교 2학년 생활을 함께 하는 내내 현서는 조용히 수업을 잘 듣는 아이였다. 그런데 성적은 반 40명중에 30등 언저리를 맴돌았다. 학기 초 자기소개서에 적힌 현서의 꿈은 수의사가 되는 것이었다. 동물을 많이 좋아하는 현서에게 정말 잘 어울리는 직업이다. 하지만 지금의 성적을 계속 유지한다면 힘든 일이겠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었다. 어느 날 현서가 교무실에 왔기에 이것저것 학교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가 공부를 하기 싫으냐고 물었다. 현서는 “정말 공부를 잘하고 싶은데 공부를 하려고 하면 어느새 딴 생각을 하고 있어요. 자리에 앉아있어도 집중이 안 돼요.”라고 말한다. 현서의 답답함이 전해져 온다. 겉으로 부족한 것이 없는 현서가 집중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일까 궁금했다. 사실 현서 부모님은 아버지가 한의사이고 어머니는 공인중개사이니 우리 학급에서도 학력이 매우 좋은 축에 속했다. 게다가 남매중 남자아이인 현서에게 거는 기대가 클 터였다. 그런데 현서의 성적이 신통치 않으니 부모님도 답답할 노릇일 것이었다.
현서는 공부의 열망이 가득함에도 전혀 성적은 좋아지지 않은 채로 3학년이 되었다. 이제는 우리 반이 아닌 현서를 가끔 보면 내가 현서의 답답함을 도와주지 못한 것이 항상 마음에 걸렸다. 그러던 차에 학교에서 방과후학교로 모닝페이지반을 운영하게 되었고 그 1순위 대상자로 현서를 떠올렸다. 현서가 공부를 못하는 것이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꿈 많은 사춘기시절에 현서는 좋아하는 과목도 하고 싶은 것이 하나도 없다했고 매사에 의욕이 없어보였다. 12주 동안 모닝페이지를 쓰고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뭔가 실마리가 보일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현서에게 함께 할 것을 제안했다. 현서도 변화를 하고 싶었던 걸까 아님 내가 제안한 것이라서 차마 거절을 못했던 걸까 어쨌거나 함께 할 수 있게 되어서 기뻤다. 그리고 모닝페이지반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느끼며 아침에 글을 쓰고 내주는 과제를 꾸준히 발표를 하는 현서를 보면서 현서가 왜 공부를 하고 싶어 하면서도 집중할 수 없었는지가 어렴풋이 이해되었다.
현서는 무엇을 해도 항상 자신감이 없어 했다. 발표를 할 때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은 관심 없다고 생각하는 지 이내 크게 시작한 목소리가 작아지면서 “또 이렇게 아무도 안 듣네.”라며 혼잣말을 하곤 했다. 그때 마다 “선생님은 열심히 듣고 있으니 어서 이야기해줘”라고 말해주곤 했다. 이런 경향은 아마도 현서가 집에서 1살 많은 누나가 모든 면에서 뛰어난데 가족들은 누나만을 절대적으로 신뢰하고 자신이 하는 것은 대부분 무시한다고 여기는 것과 관련이 있어보였다. 다행인 것은 수업 때 조용한 것과는 달리 모닝페이지반에서는 용기를 내어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그래서 어릴 적부터 누나의 말이 법이었다는 이야기, 병아리를 키우다가 죽었을 때 슬펐던 이야기, 지금 키우고 있는 토끼소녀 2마리가 성장하는 이야기 등의 현서 자신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12주간의 모닝페이지반이 끝날 때 현서는 “예전엔 학교에 오는 것이 재미없고 싫었는데 모닝페이지반을 하면서 학교가 즐거워졌어요. 여전히 집에선 재미가 없지만요.”라는 말을 해주었다. 그 말을 듣는데 얼마나 뛸 듯이 기쁘던지. 여전히 가족과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한 것이 마음에 걸렸지만 자신의 가족에 대한 속마음을 겉으로 드러냈다는 것만으로도 변화가 시작된 것이라고 믿는다.
현서는 올해 고등학생이 되었다. 따스한 봄날 연락이 온 현서에게 “고등학교 생활은 어때? 이제 슬슬 진로에 대해서 생각해봐야지. 정했니?”라고 물었다. 현서는 이내 “일본으로 대학을 가려구요.”라고 답을 한다. ‘오호 일본으로 대학을 갈 정도면 정말 하고 싶은 것이 생겼나보군’이라고 생각하며 기뻐서 “그럼 뭘 전공하려구?”라고 물었다. “아직 안 정했어요.”예상과 달리 돌아오는 현서의 대답엔 힘이 없다. 하고 싶은 것이 확실하지 않은데 그냥 타지로 공부를 하러 간다는 것이 내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 일이다. 다시 물었다. “그래도 전공하고 싶은 것이 있어서 일본에 가려는 거 아니야?” 현서는 “ 아직 모르겠어요. 그냥 일본에 가려구요.”라고 말한다. 뭔가 개운치 않은 기운 없는 대답이다.
몇 달이 지나고 땅위에 열기가 가득한 여름방학이 한창인 무렵 현서에게서 안부를 묻는 연락이 왔다. 잘 지내냐고 물으니 이내 요즘 지내는 이야기를 신이 나서 이야기 한다. 자신이 학교 관현악부에 들었는데 거기에서 트럼펫을 연주한다고 여름방학 때 예술의전당에서 있는 고등학생 경연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며 들떠서 말했다. 트럼펫을 연주하는 것이 정말 재미있고 즐겁다고 이제야 하고 싶은 것을 찾은 것 같다고 대학도 트럼펫을 배울 수 있는 음대를 갈 것이라고 했다. 현서가 이렇게 하고 싶은 것이 있고 그것이 재미있다고 들떠서 말한 경우는 처음이었다. 나도 덩달아 신이 나고 기뻤는데, 문득 현서 부모님이 생각났다. 현서의 결정을 반가워하실까 궁금해졌다. 현서에게 “부모님이 네가 원하는 길을 찾아서 많이 기뻐하시지? 뭐라고 하셔?” 라고 물었다. 현서는 “부모님이 일단 시작한 것이니까 열심히 해보래요. 그리고 서울대 음대에 가서 교수하래요.”라고 말한다. 그 말을 듣는데 좀 씁쓸하다. 현서에게 언제가 학교에 와서 트럼펫 연주를 들려달라고 말했다. 현서는 아직 실력이 뛰어나지 않아서 부끄럽지만 꼭 가서 연주해주겠다고 한다.
날씨가 많이도 쌀쌀해져 겨울방학을 앞둔 어느 날 현서에게서 오랜만에 연락이 왔다. 잘 지내냐는 내 말이 불쑥 “선생님, 뭐 하나 물어도 되요?”라고 도리어 묻는다. “응, 당연히 해도 돼지”라는 내 답에 이내 기다렸다는 듯“선생님, 저 꿈이 바뀌었어요.”라고 말한다. “엇! 뭔데?”하니 “저 사진작가가 되고 싶어졌어요.”라고 한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중학교 2학년 때 써 낸 자기소개서에 취미가 사진찍기였던 것이 떠오른다. “너 예전부터 사진 찍는 거 좋아했잖아. 그런데 왜 갑자기? 트럼펫은 어쩌구?”라고 물으니 “갑자기 사진이 눈에 들어와서요. 이제 사진 찍는 게 너무 하고 싶은데 어쩌죠? 선생님 생각은 어떠세요?”라고 한다. “네가 정말 하고 싶은 게 있으면 해봐야지. 부모님은 뭐라고 하시는데?”하는 내 말에 현서는 이내 기운이 빠진 듯 “부모님은 트럼펫 계속 열심히해서 서울대 음대 가서 교수하고 사진은 취미로 하래요.”라고 말해준다. “ 아. 그렇구나. 부모님은 그렇게 생각하시는 구나. 겨울방학 때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해보고 정말 네가 원하는 걸 했으면 좋겠다. 선생님은.”이라고 대화를 마무리를 하는데 현서의 고민이 전해져 온다. 가슴이 답답하다.
지금 현서가 꿈이 바뀌었다고 하는 것이 진정 자신의 마음이 아니라 부모님의 기대에서 벗어나고 싶은 반작용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트럼펫이라는 악기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그 즐거움을 누릴 틈도 없이 대학진학과 진로와 연결시켜 국내 최고의 대학에 번듯한 직업까지도 제시해주는 부모님의 의견에 숨이 막힌다.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할 수 없는 자식으로서 미안함이 자꾸 현서로 하여금 지금 처한 현실에서 벗어나려고만 하는 것이 아닐까.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고 다양한 길이 있다. 그 다양한 길 중에서 자신의 꿈을 스스로 찾아가는 과정이 학생들이 학창시절 해야 하는 공부가 아닐까? 항상 무기력하고 꿈이 없던 현서가 자신이 걸어가고 싶은 길을 스스로 찾은 것만으로도 뜨거운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 길을 가는 동안 쉽지만은 않겠지만 즐겁게 갈 수 있도록 응원해주고 싶다. 자신이 선택한 그 길을 최선을 다해 걸어가는 그 과정이 현서의 인생을 풍요롭게 해줄 것이라 믿는다. 다만 그 길을 가는데 부모님의 기대가 장애물이 아닌 응원의 메시지로만 작용되기를 바래본다. 교사가 부모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부모도 교사의 역할을 해야 한다. 부모가 인생의 선배임은 자명하고 자식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조언이 아닌 지나친 개입으로 학생이 원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그림으로만 학생을 디자인하려고 하면 아이들의 본성을 거스르게 되어 도리어 아름다운 빛깔을 낼 수 없을지도 모를 일이다.
* 모닝페이지반란? 줄리아카메론이 지은 <아티스트웨이>라는 책을 텍스트로 교사와 학생이 함께 하는 내안의 창조성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방과후학교로 운영함.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112 | 버텨야 할 때, 받아 들여야 할 때 [4] | 이은주 | 2011.01.02 | 2481 |
2111 | 아직 전하지 못한 편지 2 | 김연주 | 2011.01.02 | 2221 |
2110 | 섬진강 연가 [4] | 신진철 | 2011.01.02 | 2263 |
2109 |
단상(斷想) 41 - 당신의 이름을 노래하라 ![]() | 書元 | 2011.01.02 | 2169 |
2108 |
단상(斷想) 40 - 장궤(長跪) ![]() | 書元 | 2011.01.02 | 3340 |
2107 |
단상(斷想) 39 - 눈 ![]() | 書元 | 2011.01.02 | 2330 |
2106 | 응애 46 - 2011년 1월 1일 [2] | 범해 좌경숙 | 2011.01.01 | 2203 |
2105 |
[뮤직라이프 3호]거위의 꿈 - 창조적 부적응자들의 노래 ![]() | 자산 오병곤 | 2010.12.30 | 2523 |
2104 |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3) [16] | 박상현 | 2010.12.30 | 2461 |
2103 |
부티크 호텔의 매력 2 - 정답은 없다? 그런데.. ![]() | 불확 | 2010.12.30 | 2445 |
2102 | 온라인 평판 | 김인건 | 2010.12.30 | 2149 |
2101 | [컬럼] 천국의 기적 [6] | 최우성 | 2010.12.29 | 2306 |
2100 | 라뽀(rapport) 37 - 기도빨 [1] [2] | 書元 | 2010.12.29 | 2312 |
2099 |
하계연수 단상38 - 원형(原形) ![]() | 書元 | 2010.12.29 | 2308 |
2098 |
하계연수 단상37 - 침잠(沈潛) ![]() | 書元 | 2010.12.29 | 2166 |
2097 | 어라연따라 섭세로 가던 길 [7] | 신진철 | 2010.12.29 | 2321 |
2096 | 대표꼭지글1-<통합적 시각을 갖는법 하나> | 박경숙 | 2010.12.28 | 2211 |
» | 칼럼. < 내 꿈은 내가 찾으면 안 돼요? > [1] | 김연주 | 2010.12.28 | 2426 |
2094 | 칼럼. 아직 전하지 못한 편지 | 김연주 | 2010.12.28 | 2235 |
2093 | [칼럼] 두번째 신혼여행 | 이선형 | 2010.12.28 | 2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