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1년 1월 6일 12시 59분 등록

응애 47 - 열등생  

       그는 머리로는 아니라고 말하지만
       가슴으로는 그렇다고 말한다.
       그는 그가 사랑 하는 것에는 그렇다고 말하고
       선생님에게는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일어서서
       질문을 받는다.
       온갖 질문들을 받는다.
       문득 그는 폭소를 터뜨리며
       모든 것을 지워 버린다.
       숫자도 단어도
       날짜도 이름도 문장도 함정도
       선생님의 위협도 아랑곳 않고
       우등생들의 야유를 받으며
       온갖 색깔의 분필로
       불행의 흑판에
       그는 행복의 얼굴을 그린다. .........  자끄 프레베르

  
 자끄 프레베르는 그림을 그리듯 시를 씁니다. 아티스트 웨이에서 만난 사샤는 날마다 모닝페이지를 보내옵니다. 그 편지에는 아름다운 그림과 선율이 있습니다. 대강 읽고 넘어가다가 어느 날 글 하나가 마음에 들어옵니다. 그러면 그때부터 여러 가지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떠오르지요. 

어느 날, 늘 아름다운 생각으로 깊은 그림을 그려내시는 선생님께 여쭈어 보았습니다.
  “그런 독특한 생각들은 어떻게 떠오르나요?”
  “생각이 떠오르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하는 거지요.” 

그 후로는 나도 생각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스피노자의 맑은 얼굴이 아름다워서, 그리고 45살에 생을 마감한 그 짧은 인생이 오래오래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을 해 보다가 그에 관한 책들을 찾아서 읽기 시작했습니다. 처음부터 <에티카>원전을 가지고 시작을 했더니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증명되고 또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 윤리학을 생각이 따라갈 수가 없었습니다. 

죽음 전공인지라 그가 죽을 때의 모습을 찾아보았습니다.  

1656년 7월 유대 교회는 스피노자에게 파문을 선언합니다. 그 시대 지배층의 힘과 논리입니다.

"...천사들의 결의와 성인의 판결에 따라 바루흐 스피노자를 저주하고 추방한다....스피노자여, 밤낮으로 저주받고, 잠 잘 때도 일어날 때도 저주받아라...신께서는 그를 결코 용서하지 마시고, 노여움과 분노가 이 사람을 향해 불타게 하소서...신께서는 이스라엘의모든 부족에서 그의 이름을 지우고 파멸을 내리소서...어느 누구도 말이나 글로 그와 교제하지 말 것이며, 그에게 호의를 보여서도안 되며, 그와 한 지붕 아래 머물러서도 안 되며, 그가 쓴 책을 읽어서도 안 되느니라..."

  스피노자는 박해 속에서 1660년 암스테르담을 떠나 시골로 이주합니다. 이후 그는 형편이 닿는 대로 린스부르크, 포르부르크, 헤이그 등 여러 곳을 떠돌아 다녔습니다. 그는 '서재에 매장되어 있는 것처럼‘ 살았습니다. 그는 보통 3개월 이상을 전혀 출입하지 않고 지낸 적도 많았기 때문이지요. 생활은 먹고 자는 것을 빼고는 겨우 그가 좋아하는 파이프 담배를 필 수 있을 만큼의 여유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기록에도 그가 이 때문에 고통받거나 괴로워했다는 흔적은 없습니다. 오히려 그는 조용한 사색과 '신에 대한 지적 사랑'속에서 끊임없이 해탈을 향해 나아갔습니다.  

그는 1677년 의사인 친구가 끓여주는 스프를 마시고 조용히 잠들었습니다. 

들끓는 변화의 한복판에서 언제나 떠날 준비가 되어있는 단순한 삶을 살던 그는 글로써 세상에 개입했습니다. 좋은 친구들이 말려주는 바람에 다른 젊은 혁신가처럼 죽임을 당해  그 인육을 먹히는 화를 입지 않았지만 분명한 자기의 생각을 지켜나갔지요. 가난한 그에게 남은 전재산, 160권의 책이 경매에 부쳐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스피노자의 삶은 춥고 눈이 많이 쌓인 이 어려운 겨울에 생각을 깊이하게 만듭니다. 모쪼록 아름다운 사람과 그의 생각을 따라 가보고 싶다는 열정 끝에 스피노자의 행복한 얼굴 하나를 그려낼 수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IP *.67.223.154

프로필 이미지
ok ?
2011.01.07 13:13:13 *.104.207.203


누구라도 자신만의 고유한 아름다움으로 꽃이 되는 때가 있다는 생각에 찬성입니다.
굳이 꽃이 되어 만발하는 한  때 가 아니었다면..  흘러온 한 살이가 그 만의 유니크한 향기가 되어 흐르는 것을
우리 서로 알아보는 시기가 지구별에 피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샘 만의 책냄새 깊은 에센스가 아름다운 향기로 피어나는 날에..
열광하는 독자중 여기 한 명도  저자 싸인 받으러 갈께요 ~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1.07 21:02:19 *.46.95.173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글을 계속 쓰고 있고
가까운 가족 조차 거들떠보지도 않는 글을  쓰고 있다고
꿀꿀한 기분에 사로잡힐 때에도

이렇게 깊은 공감으로 격려해주는 분이 있어서
인생은 영화처럼 아름다운 것인가 봅니다.

이제 칼럼도 100꼭지가 다 되어가고
책도 최선을 다해 성실하게 써나가고 싶지만
나는 아직 어떻게 이 구슬을 엮어 완성해야 할지 알지 못하는 까닭에  ....

오늘도 타박타박 나그네 길을 걸어다니고 있습니다.

내 나이 곱서른  중반에
인생의 고비에 이르러....  지옥편..... ㅎㅎ

언제나 변함없는 격려에 감사드려요.
프로필 이미지
2011.01.08 08:56:41 *.40.227.17

좌샘~ ^^

자끄 프레베르..
제게는.. 부러운 열등생인데여.. 마이 멋져여..

예전에 들려주신.. 칼리 지브란의 시.. 뭐였더라.. ㅎ
그 감동을.. 기억하구 있어여.. ^^

이름만 들어본.. 또.. 생소한 작가들의 작품을..
좌샘의 글을 통해.. 만나는 기쁨이 있어여..

시.. 그 오묘함이.. 참 매력적으로 다가와여.. 
계속 기대할께여.. 글구.. 늘.. 응원해여~ ^^

프로필 이미지
자끄
2011.01.09 02:39:48 *.67.223.154
이쁜 혜향에게 새 한마리 다시 그려 주려고.......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 




우선 문이 열린
새장을 하나 그리세요
그 다음
무언가 예쁜 것을
무언가 단순한 것을
무언가 쓸만한 것을 그리세요
새를 위해
그리고 나서 그 그림을 나무에 걸어놓으세요
정원에 있는
또는 산 속에 있는
어느 나무 뒤에 숨겨 놓으세요
아무 말도 하지 말고...
때로 새가 빨리 오기도 하지만
마음을 먹기까지에는
오랜 세월이 걸리기도 하죠
용기를 잃지 마세요
기다리세요
그래야한다면 몇 년이고 기다려야해요
새가 빨리 오고 늦게 오는건
그림이 잘 되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답니다
새가 날아올 때엔
혹 새가 날아온다면
가장 깊은 침묵을 지켜야 해요
새가 새 장 안에 들어가기를 기다리세요
그리고 새가 들어갔을때
붓으로 살며시 그 문을 닫으세요
그 다음
모든 창살을 하나씩 지우세요
새의 깃털 하나도 다치지 않게 말이죠
그리고 나서 가장 아름다운 나뭇가지를 골라
나무의 모습을 그리세요
새를 위해
푸른 잎새와 싱그러운 바람과
햇빛의 반짝이는 금빛 부스러기까지도 그리세요
그리고 여름날 뜨거운 풀숲 벌레들의소리를
그리세요
이제 새가 마음 놓고 노래하기를 기다리세요
혹 새가 노래하지 않는다면
그건 나쁜 징조예요
그 그림이 잘못되었다는 징조예요
하지만 새가 노래한다면 그건 좋은 징조예요
그러면 당신은 살며시
새의 깃털 하나를 뽑으세요
그리고 그림 한 구석에 당신의 이름을 쓰세요

                                     - 자끄 프레베르 -
프로필 이미지
연주
2011.01.10 11:22:39 *.43.164.96
"불행의 흑판에 그는 행복의 얼굴을 그린다."는 자끄 프레베르
"비록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 하여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스피노자
세상이 무어라하든 자신의 내면의 울림을 따라 당당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군요.
저도 그들처럼 당당하게
내면의 속사임에 귀 기울이며
하루하루를 보내렵니다.
왠지 읽고나니 기운나는 글입니다.

좌샘~~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시구요~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1.11 09:14:19 *.67.223.154
그래, 연주도 복 많이 받아. 특히 남자친구 복~
연주의 글 잘 읽고 있어요.
자주 들어와보질 못해서 한꺼번에 읽기 땜에 제때 댓글 못달아도 잘 알고있지?
관심이 많고 늘 응원하고 있는건.....너무 공부 열심히 하지말고
연애와 영화에도 청춘을 좀 나누어주도록.... 해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32 [호랑이] 13가지의 개인 마케팅 도구 (1) [1] 이희석 2011.01.11 3446
2131 응애 48 - 호랑이 프로젝트 철학 1 : 상식의 표절 [4] 범해 좌경숙 2011.01.11 2145
2130 공감대 늘려가기 - 취미생활 [2] 이선형 2011.01.10 2236
2129 칼럼. 귀염둥이 현우, 여행을 시작하다. [1] 김연주 2011.01.10 2495
2128 컬럼- 내가 가장 싫어하는 숫자는 '3' [1] 이은주 2011.01.10 2527
2127 첫책-프롤로그 <인생의 사막, 그 한가운데 서 있는 그대에게 > [2] [1] 박경숙 2011.01.10 2366
2126 [컬럼] 미래의 장례식 [2] 최우성 2011.01.10 2526
2125 두 아줌마가 있다. 맑은 김인건 2011.01.09 2315
2124 라뽀(rapport) 38 - 이혼녀(離婚女) 書元 2011.01.09 2322
2123 수배자, 허클베리의 친구 [2] 신진철 2011.01.07 2443
2122 소외된 노동의 추억 자산 오병곤 2011.01.07 2332
2121 [먼별3-10] <단군 3백일차 출사표 "세상과 아름다운 춤을.."> [2] 수희향 2011.01.07 2341
» 응애 47 - 열등생 [6] 범해 좌경숙 2011.01.06 2206
2119 부티크 호텔의 매력 3 - 호텔식 침구를 내 방으로! file [6] 불확 2011.01.06 4197
2118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4) [6] 박상현 2011.01.05 2941
2117 [대표글1] 남편을 고르는 세가지 조건 [8] 이선형 2011.01.03 3351
2116 [컬럼] 슬픔의 늪에서 피어난 꽃 file [5] 최우성 2011.01.03 2438
2115 칼럼41-<우리도 한때, 영웅이 되기를 원했었었다. > [1] 박경숙 2011.01.03 2660
2114 음식의 아이콘화 [13] 맑은 김인건 2011.01.02 2430
2113 교사의 道란? - 상처 있는 교사는 상처 입은 아이를 만든다. [4] 김연주 2011.01.02 2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