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현운
  • 조회 수 449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0월 13일 22시 42분 등록

알랭 드 보통은 걸출한 작가다. 지식과 상상력이 풍부하여 간단한 상황으로도 한 챕터의 글을 써 낸다. 정확하고 뛰어난 사고력은 독자들이 생각하도록 자극한다. 특유의 차분하고 냉소적인 유머는 글 읽는 재미를 더한다. 유쾌하게 읽히니 독서를 즐기려는 대중들도 좋아하고, 깊은 통찰을 보여 주니 책을 통해 배우려는 식자들도 그의 책을 읽는다. 어떤 소재라도 그의 손을 거치면 '즐거운 교훈'이 된다. 읽을 때엔 즐거움이 가득하고 책을 덮은 때엔 남는 것이 묵직하다. 말하자면, 알랭 드 보통은 유쾌하면서도 능력 있는 교사다. (책을 통해 그를 만날 때에는 정말.)


나는 알랭 드 보통의 책 한 권을 읽은 후 그의 다른 책을 집어 들었고, 두 권의 책을 읽고 나서 그의 팬이 되었다. 다음 작품을 기다리게 만드는 작가를 만난 셈이다. 나는 아직 읽을 수 있는 그의 책이 많이 남아 있으니 흐뭇하다.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는 마르셸 프루스트의 읽히지 않는 명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소재로 하여 풀어낸 드 보통이 전하는 인생살이 수업이다. 현재의 삶을 사랑하는 법, 여유 있게 사는 법, 훌륭하게 고통을 견디는 법, 책을 치워버리는 법 등의 주제를 다뤘다. 주제 하나하나마다 즐거운 교훈을 건질 수 있다. 무엇보다 그러한 교훈을 독자들의 가슴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그의 글솜씨에 감탄하게 된다. 초보 저자로서 나는 알랭 드 보통이 부럽다. 나는 그에게 매료되었다. 책의 한 구절도 소개하지 못한 채 이렇게 그를 찬양하고 있으니.


"병(病)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주목하고 배우게 되며, 그것이 아니었다면 우리가 전혀 알지 못했을 과정들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매일 밤 침대 위에 눕자마자 즉시 잠에 들어서 깨어 일어나는 순간까지 죽은 듯이 자는 사람은, 반드시 위대한 발견일 것까지는 없지만, 분명히 수면에 관한 작은 관찰조차도 꿈꿔보지 못할 것이다. 그는 자신이 자고 있다는 것을 거의 알지 못한다. 약간의 불면증은 우리가 잠에 대해 감사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어둠 속에 한 줄기 빛을 던진다는 점에서는 가치가 없지 않다. 기억을 잘하는 것은, 기억이라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그다지 큰 이점이 아니다."(프루스트)

물론 고통 없이도 우리의 정신을 사용할 수 있지만, 프루스트가 제시하는 것은 고통스러울 때에만 철저한 탐구심이 생길 것이라는 점이다. 우리는 앓는다, 고로 생각한다.

- 알랭 드 보통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생각의나무, p.92


최근 나를 참 힘들게 했던, 마음이 아파 길거리에서 엉엉 울게 했던 일이 있었다. 덕분에(!) 프루스트의 저 말이 어떠한 것인지 잘 안다. 내가 겪었던(사실은 지금도 진행 중인) 상실의 고통은 하루 종일 그것에 대하여 생각하게 만들었다. 말로만 들었던 관광 명소 앞에 서 있었지만 눈에 들어오지 않았고, 친구들의 위로는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나의 모든 감각이 멈춰 버린 듯했다. 오직 그것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나는 앓았다, 고로 (평소보다 엄청 많이) 생각했다."
고통은 생각하게 만든다. 고통 없이 떠오른 생각은 동기부여의 중요한 원천 하나를 결여한다는 드 보통의 생각에 나는 동의한다. 고통 자체는 어둡고 하염없이 긴 터널 같이 막막한 것이지만 그것을 외면하지 않고 통과하면 우리는 성장의 빛을 경험한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건강한 세계관과 사고력을 지닌 자는 고통을 통해 더욱 건강해지고, 인생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이들은 좀 더 폐쇄적이고 염세적이 되는 듯하다.) 건강한 이들이여, 고통을 환영하라!

IP *.166.82.21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420
238 그저 입을 다물고 싶을 때 - 『결정적 순간의 대화』 [1] 현운 2009.11.10 4994
237 소로우, 그의 삶은 자연 그 자체였다 승완 2009.11.09 4484
236 중립지대, 변화를 위한 내적 과업을 수행하는 시기 승완 2009.11.05 4576
235 다산이 독서가에게 던지는 3가지 조언 - 『뜬 세상의 아... [1] 현운 2009.11.03 4556
234 한 계절의 과실을 포기하지 않고는 다음 계절에 꽃을 피울... 승완 2009.11.02 4479
233 다산이 걸어간 '사람의 길' -『뜬 세상의 아름다움』 현운 2009.10.30 4419
232 긍정이 걸작을 만든다 이 희수 2009.10.29 4499
231 변환(transition)이 변화의 성공을 좌우한다 승완 2009.10.29 4545
230 불안을 이해하고 넘어서기 - 알랭 드 보통의 『불안』 [1] 현운 2009.10.27 4660
229 소명 = 내면의 기쁨 X 세상의 요구 승완 2009.10.26 4635
228 성장의 표지 하나를 얻다 -『몰입의 재발견』 현운 2009.10.23 4505
227 강점과 약점을 함께 수용해야 완전해진다 [4] 승완 2009.10.22 4827
226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 『새로운 미래가 온다』 [1] 현운 2009.10.20 4648
225 삶의 겨울, 혹독하지만 자신을 더 분명히 볼 수 있는 기... [3] 승완 2009.10.19 4495
224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 -『비이성의 시대』 [2] 현운 2009.10.16 4599
223 “그대 삶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2] 승완 2009.10.15 4502
222 최소한 지금은 살아있고 싶어 -생애의 발견 한명석 2009.10.14 4503
» 나는 앓는다, 고로 생각한다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현운 2009.10.13 4491
220 비극 속에서의 낙관(Optimism) [2] [2] 승완 2009.10.12 4600
219 산티아고가 책을 던져버린 이유 - 『연금술사』 현운 2009.10.10 4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