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9690
- 댓글 수 4
- 추천 수 0
하버드 대학의 교육 심리학자인 하워드 가드너는 오랫동안 비범한 사람들을 연구해왔습니다. 여기서 비범한 인물이란 어떤 분야에서 전문가 이상의 혁신적인 성취를 이룬 대가를 가리킵니다. 가드너의 연구 방식은 ‘체제적 관점(system view)’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비범성의 발견>에서 그는 “비범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요소의 상호 작용에 항상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가 말하는 세 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세 가지 요소란 재능과 목표를 가진 사람 자체, 그 사람이 일하기 위해 선택한 분야나 영역, 그리고 처음에는 시험적이지만 이후에 보다 결정적으로 그의 작업을 평가하는 일련의 사람들이나 제도인 장(field)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누가 비범한가’를 묻기보다 ‘어디에 비범성이 있는가’를 물어야 한다. 그리고 그 해답은 세 가지 요소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에 있다.”
비범성은 한 사람의 개인적인 요인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뛰어난 재능을 보유한 사람일지라도 그 재능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서 활동해야 하고, 그 사람의 재능을 키워주고 성과를 인정해주는 개인 혹은 집단이 있어야 합니다. 거칠게 정리하면 비범성은 뛰어난 재능과 그에 맞는 직업, 그리고 스승과 지지자와 같은 우호적인 사회적 환경이 맞아 떨어질 때 탄생합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신동이나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은 적지 않지만 대가로 성장하는 이들은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에 대한 빈센트 반 고흐의 재능은 대가로 성장하는 데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동시대의 사람들은 그의 비범함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시인인 에밀리 디킨슨은 생전에 2,000편에 달하는 시를 썼지만 생전에는 그녀의 재능을 간파한 소수의 사람들 외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불행 중 다행으로 고흐와 디킨슨은 사후에 위대한 화가와 미국을 대표하는 천재적인 시인으로 인정 받았습니다. 고흐의 그림과 디킨슨의 시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바뀐 것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의 평가 기준과 대중들의 인식입니다. 고흐나 디킨슨와 달리 사후에조차 평가를 받지 못한 인물들은 셀 수 없이 많을 겁니다.
가드너의 주장은 비범한 대가뿐만 아니라 한 분야의 전문가를 지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재능을 강점으로 계발하고, 자신과 어울리는 직업(분야)을 탐색하는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동시에 나의 잠재력을 키워주는 훌륭한 스승과 조력자들과의 인연을 소중히 여겨야 합니다. 저는 여기서 첫 번째 교훈을 얻었습니다.
“무엇이든 신이 내게 주신 재능에 감사하고 겸손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재능과 잠재력을 볼 줄 아는 밝은 눈을 키우자. 그래야 오만에 빠지지 않고 자신은 물론이고 내가 활동하는 분야의 발전에 일조할 수 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 관리자 | 2009.03.09 | 154003 |
298 | '신화와 인생' Review (박현주) | 박현주 | 2010.02.15 | 8605 |
297 |
신화와 인생 북 리뷰 ![]() | narara | 2010.02.15 | 7619 |
296 |
신화와 인생 ![]() | 박미옥 | 2010.02.15 | 9502 |
295 | 1. 신화와 인생 Review | 최우성 | 2010.02.15 | 9227 |
294 | 첫번째 북리뷰_신화와 인생 | 김혜영 | 2010.02.15 | 8994 |
293 | 신화와 인생(조셉 캠벨) | 김용빈 | 2010.02.15 | 8740 |
292 | 1. 신화와 인생 (노미선) | 별빛 | 2010.02.15 | 8758 |
291 | "신화와 인생"-6기 후보자 김창환 | 야콘 | 2010.02.15 | 8548 |
290 | 6기 < 신화와 인생 > | 김연주 | 2010.02.15 | 8665 |
289 | 북리뷰 1주차 - 신화와 인생 [2] | 이은주 | 2010.02.15 | 9315 |
288 | 1. 신화와 인생 - 저자와 책 [1] | 맑은 김인건 | 2010.02.14 | 8763 |
287 |
북리뷰 1.[신화와 인생]을 읽고(박상현) ![]() | 박상현 | 2010.02.14 | 8688 |
286 | 신화와 인생 | 김이미나 | 2010.02.13 | 8812 |
285 | [6기후보과제1] 萬流歸宗 悲中與樂...'신화와 인생' | 심장호 | 2010.02.13 | 8680 |
284 | 북리뷰 1. <신화와 인생> (이선형) [1] | 선 | 2010.02.13 | 9443 |
283 | <신화와 인생>을 읽고 - 김영숙 | 김영숙 | 2010.02.13 | 9440 |
282 | 돈과 권력의 세상. [2] | 맑은 김인건 | 2010.02.11 | 9594 |
281 | ‘타고난 강점’보다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개발하는 능력... [2] | 승완 | 2010.02.10 | 8955 |
» | 비범성을 탄생시키는 3가지 요소 [4] | 승완 | 2010.02.03 | 9690 |
279 |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 | 이만성 | 2010.01.21 | 86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