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희석
- 조회 수 8932
- 댓글 수 7
- 추천 수 0
성장을 열망하다보니, 그리고 나의 성장이 독서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알고 난 이후부터는 좋은 텍스트를 골라 읽으려고 노력합니다. 자기경영예술가에게 좋은 텍스트란 실용서, 인문, 사회과학 등의 분류를 뛰어넘습니다. 한 사람의 인생 안에 이 모든 것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게는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을 인생 철학이 필요하고, 살아온 날들과는 다른 새로운 삶을 꿈꿀 수 있는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돈이라는 수단에 휘둘리지 않고 지혜롭게 활용할 실물 감각도 필요합니다. 철학서, 예술서, 경제서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훌륭한 인생을 위해서는 이처럼 통합적인 자기 경영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아는 사람들은 모든 분야의 책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얻습니다.
통합적인 관점을 갖지는 못했더라도, 한 분야 내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뤄낸 저술은 훌륭합니다. 어떤 철학 저술이 철학 이론을 발전시켰다면, 일상을 외면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매도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콜럼버스에게 왜 아메리카 대륙은 발견하지 못했냐고 따질 순 없으니까요. 그러나 우리는 학자가 아닌 생활인이기에 좀 더 실용적인 저서가 필요합니다. 실용서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자기계발서인데, 문제는 자기계발서 중에는 통합적이지도 못하고, 깊이가 부족한 책이 많다는 점입니다.
저에게 필요한 책은 실용적인 질문을 던지고, 통합적인 시각과 인문사회 지식으로 답해 주는 책입니다. 강상중 교수님의 『고민하는 힘』은 그런 책입니다. 삶을 살며 부딪치는 질문을 9가지로 정리하여, 그에 대하여 고민한 흔적을 담은 책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돈이 세계의 전부인가?,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가? 등의 누구나 고민해 볼 만한 질문을 다루었기에 실용적입니다. 질문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은 저자의 깊은 지식에서 나온 것이라 설득력이 강합니다. 답변은 세 사람의 합작품이기도 하지요. 막스 베버와 나쓰메 소세키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은 저자가 책의 곳곳에 두 사람의 말을 인용하기 때문입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일본을 대표하는 국민작가이고, 막스 베버는 저의 대학 시절 사회학 수업에서, 고전사회학의 대가 중 한 사람이라 배웠던 인물입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한 사람씩 자신의 지식을 들려 주는 셈이지요. 책을 읽다 보면, 서로 다른 분야의 대가들에게서 공통점을 여러 번 발견하게 됩니다. 당연한 일입니다. 학문 간 분류는 학문을 하기 위해 편의상 그어 놓은 경계선이지, 생각의 넘나듦을 단절시키자는 분단선이 아니니까요.
이 책에서 다룬 9가지의 질문이 뭐가 실용적이냐고 묻는 분이 계실까 봐 한 마디를 더하겠습니다. 인생과 사람, 세상을 바라보는 삶의 시각, 즉 세계관은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관은 무의식 속에 있어서 자신의 세계관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세계관을 볼 수는 없지만, 세계관에 의해서 세상을 바라봅니다. 세계관은 중요합니다. 세계관이 바뀌면 하는 행동이 바뀌고 하는 행동이 바뀌면 얻는 결과가 달라지니까요. 세계관의 실천적 성격입니다. 『고민하는 힘』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세계관이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돌아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신의 세계관을 들여다 보아 체계적으로 정립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것은 효과가 즉각적이지 않을 순 있지만, 우리의 삶을 바꿀 강력한 힘을 지녔습니다. 세계관의 변화는 강력한 자기경영인 셈입니다. 작은 발전을 이루고 싶다면 행동을 바꾸면 되고, 더욱 큰 발전을 이루고 싶다면 세계관을 바꾸어야 합니다. 이런 이야기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고민하는 힘』을 읽어보시기 권합니다.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책입니다. 쉬움과 깊이를 동시에 얻는 것, 제가 꿈꾸는 글쓰기이기도 하네요. 그래서 저자가 부러운 책입니다.
※ [오늘 소개드린 책] 강상중, 『고민하는 힘』, 사계절, p.184
다음 글에서는 책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리뷰를 올리겠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 관리자 | 2009.03.09 | 154088 |
378 | [책읽기 세상읽기] 희망은 깨어있네 [1] | 창 | 2010.04.12 | 8724 |
377 | 위로의 달인이 전하는 인생수업 [2] | 이희석 | 2010.04.07 | 9532 |
376 | 4-1리뷰 신화의 힘 조셉 캠벨 [1] | 윤인희 | 2010.04.05 | 10486 |
375 | 북리뷰5 신화의힘 The Power of Myth [1] | 신진철 | 2010.04.05 | 9838 |
374 | [책읽기 세상읽기] 나무야 나무야 [2] | 창 | 2010.04.02 | 9219 |
373 | '타이탄' 보다. | 맑은 | 2010.04.02 | 8619 |
372 |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을 읽고 [4] | 선 | 2010.04.01 | 8760 |
371 | 이 책은 알람시계이기를! [2] | 이희석 | 2010.03.30 | 8745 |
370 | 고민하는 힘이 살아가는 힘! [2] | 이희석 | 2010.03.26 | 9011 |
369 | 다석 마지막 강의 | 맑은 김인건 | 2010.03.24 | 8620 |
» | 『고민하는 힘』- 강상중 [7] | 이희석 | 2010.03.24 | 8932 |
367 | '셔터 아일랜드'를 보다. [4] | 맑은 김인건 | 2010.03.23 | 8763 |
366 | [책읽기 세상읽기] 학문의 즐거움 [1] | 창 | 2010.03.22 | 9788 |
365 | 다시올립니다 <4 카를융 기억꿈사상> [4] | 신진철 | 2010.03.09 | 9802 |
364 | 광장으로 나와서 말씀해보세요.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3] | 김혜영 | 2010.03.08 | 9150 |
363 | <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 | 김연주 | 2010.03.08 | 9030 |
362 | 미션 4 카를 융 '기억 꿈 사상'-김창환 | 야콘 | 2010.03.08 | 9310 |
361 | 기억,꿈,사상 Review [1] | 박현주 | 2010.03.08 | 10011 |
360 | 네번째 북리뷰_기억 꿈 사상 | 김혜영 | 2010.03.08 | 9228 |
359 | 4. 카를융, 기억, 꿈, 사상_저자, 구성 | 맑은 김인건 | 2010.03.08 | 8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