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1년 9월 24일 01시 02분 등록

응애 80 - 장미 밭에서 춤추기 

2009년 연구원 과정을 처음 시작 했을 때, 약속한 50꼭지의 칼럼을 다 썼습니다. 졸업여행을 다녀오고 한숨을 돌리고 조금 놀아볼까 생각하자마자 부지깽이 샘이 부지깽이로 한판 크게 뒤집어 놓으시더군요. 연구원 과정은 끝났으니 이제 그만 죽고 다시 작가 수업을 시작하라고요. 그래서 “죽음 만세!” 를 외치고 응애 응애 울며 <응애 칼럼>을 시작했습니다. 첫 울음이 2010년 4월 6일 시작되었습니다. 이제 1년 5개월이 지났고 오늘 <응애 80>을 씁니다. 마지막 응애 칼럼입니다. 그동안 너무 많이 운 것 같아요. 무심하게 울기도 했지요. 어린 시절 아버지와 오빠가 놀리면 으앙~하고 울다가 나중에는 왜 우는지도 모르고 마냥 해가 질 때까지 울던 생각이 나는군요. 흐응` 흐응` 하며 말이지요. 이젠 그만 아이 울음은 그쳐야 할 것 같습니다. 

북리뷰도 어느새 78까지 나갔습니다. 북리뷰 50 이후엔 자유로이 읽은 책들입니다. 죽음에 관한 고전들과 철학, 윤리학 책들을 주로 읽었습니다. 중간에 호랑이 프로젝트를 위해 경영과 마케팅 책을 읽었지만 마치 남의 옷을 빌려 입은 듯, 어색하더군요. 시간도 많이 걸렸고 성과는 미미합니다만 어느 날엔가 욕심을 버리면 맑은 눈으로 이 분야에서도 지혜로운 결실을 이룰 수 있길 바랍니다. 게시판에 발표는 하지 않았지만 개인적인 취향의 책읽기도 우리가 해온 북리뷰 방식으로 정리를 해두니 도움이 많이 되더군요.  

그동안 공부를 해온 모든 노력들은 이제 일단 마무리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출판사를 연결하는 것과 책이 되어 나오는 과정엔 글 자신의 운명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어떤 작가는 다만 달이 찼으니 더 간직할 수가 없어서 아이를 세상에 내어놓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숙아이든, 완숙아이든 밖으로 나가겠다고 아이가 신호를 보내고 있을 때엔 그 마음을 읽어주고 아이의 뜻을 따라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하루에도 몇 권씩 세상으로 나오는 책들은 대부분 쓰지 않을 수 없었다는 작가의 말을 달고 세상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때로는 시간에 밀려 세상에 나오고 그 후 자기자리를 찾아가는 책들도 있습니다. 

길게 풀어 이 이야기를 하는 것은 창작의 어려움을 이젠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는 것 때문입니다. 먼저 책을 낸 사람들을 보고 있는 것이 진심으로 축하를 해 주고 싶을 만큼 마음이 편안하지만은 않습니다. 부럽기도 하고 샘이 나기도 합니다. 더구나 해마다 아이를 쑥쑥 낳듯 새 책을 세상에 내어놓는 사람들을 보면 그 책을 결코 읽어주지 말아야겠다는 생각도 합니다. 아, 자기무덤을 자기 손으로 파는 이 어리석은 감정의 혼란.....이런 말을 하고있는 사람을 너무 미워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어느 날 신춘문예를 통해 세상에 나왔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이 힘들어 번역으로 삶의 방향을 결정한 뛰어난 번역가의 글을 읽었습니다. 그는 창작은 애인과 같고 번역은 아내와 같다고 했습니다. 어느 날 애인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 너무나 힘이 들어 아내에게 되돌아왔고 이젠 그녀에게 최선의 노력을 다 바쳐 더 이상 미련은 없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비유를 통해 창작의 어려움을 말해주더군요. 그는 200권의 책을 번역했고 그의 번역 문장은 매우 아름답습니다. 나는 그 사람의 책은 의심없이 눈에 띄면 곧바로 구해 읽습니다. 번역문장 뿐만 아니라 역자 후기 또한 빼어납니다. 나중에 그의 프로필과 그의 설명을 들으니 그의 작업이 빼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더 선명해지더군요. 

바로 그 사람이 창작은 “장미 밭에서 춤추기”라고 표현했습니다. 그 말 한마디가 지금 나의 입장을 너무나 잘 정리해주고 있어서 감탄을 하며 지금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할키고 찔리고 아플 수도 있는 그 모든 상황에서도 춤추지 않을 수 없는 그런 열정을 생각해봅니다. 사람들은 운명이라는 말을 즐겨 씁니다. 그러나 운명을 따라 장미 밭에서 춤을 추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무심코 스텝을 밟다가 춤을 추게되고 춤을 추다보니 장미밭으로 올라가 멈추지 못하고 계속 춤을 추게되는 경우도 있겠지요. 어쨌든 장미밭에서 춤추기는 이제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곳까지 나를 몰아왔습니다. 매우 촌스럽고 무척 어쩡쩡하게 시작하게 될터이지만 시작이 반입니다.  무심히 보고 들어 주시길 바랍니다.

IP *.69.159.123

프로필 이미지
부지깨이
2011.09.24 07:46:10 *.160.33.24

장미밭에서 춤을 출 때는  그냥 추면 안되고  벗고 춰야지.
아씨시에서 달리는 것 보았지요 ?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9.26 11:45:33 *.69.159.155
아이구, 선상님....
랩으로 꽁꽁 싸고 그위에 갑옷을 입고 ..... 그래도 다칠지 모르니...'
저만치 앞서가는 님 그림자나  따라가 보는 거이 첫 출판 기획인데요.......
벗고 달리면 가시없는 장미꽃밭이 펼쳐질까요?...프란치스코는 기적의 사나이인데.....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9.24 11:12:29 *.163.164.177
열심히 응원하겠습니다.
응애하고 힘찬 소리로 세상에 자신의 알림을 표했으니
쑥쑥 자라나서 나무가 되고 꽃이 되고 열매가 맺는 것을 보여주세요.

장미 밭에서 춤추시는 선생님의 모습과
저 멀리 보이지 않는 곳에서 따라하는 나의 모습을 함께 그려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범훈
2011.09.26 11:51:44 *.69.159.155
훈, 감사해요.
가을 바다가 보고 싶어서....
시간을 쪼개다쪼개다 더 이상은 쪼갤수엄써서
아이들과 술한잔으로 시름을 달래다...
두 주먹을 불끈 쥐고 "더 이상 이렇게 살고싶지 않다" 고 선언하게 된 거이구요....
외로운 늑대는 보름에 맞춰 춤추길....달을 보며 기원할게요.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9.25 15:30:07 *.111.51.110
와~ 긴 시간을 꾸준하게 쌓아오셨네요.
존경의 마음이 불끈~!
이 글은 왠지 탈고를 끝내고 쓴 에필로그 같은 느낌.
'응애' 하며 아이가 태어난건가요!^^
프로필 이미지
범갱
2011.09.26 11:59:00 *.69.159.155
갱, 감기가 찾아온 것 같아요.
심리학자들은 에고가 약해지면 감기가 오는 거라고
감기 걸린 사람을 우습게 보고 놀리곤 하지요.
응애 뚝! 감기 뚝! 장미 뚝! 뚝뚝 하다보니  뚝~배기가 생각나는 시간입니다. ㅋㅋ
에필로그도 1년 반전에 다 썼는데....뚝!
프로필 이미지
호랑이 어흥!
2011.09.28 12:32:31 *.104.207.204

샘.. 애 많이 타시는데..ㅠㅠ

샘 책을 서점에서 만날 날이 곧 ...
느낌은 믿음이 땅 위로 쑤욱 밀어올리는 연두빛 싹 이라고..

'소멸의 아름다움' ..감사하게 읽고 있어요..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9.30 11:11:27 *.69.159.155
우잇~
오랜만간입니다.
그동안  도대체...그대는 어디에....도대체 어디에...ㅋㅋ
아, 연두빛 봄날이 그리워 집니다.   나도 감솨~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52 [Sasha] 컬럼 23 Passing by Limbo World - 나의 영혼을 구원하기 file [12] 사샤 2011.10.03 2278
2651 #4. 미나의 모의 비행 – 좌충우돌 미나의 구직 이야기 [8] 미나 2011.10.03 2697
2650 [늑대24] 지속가능한 자유를 위하여 [7] 강훈 2011.10.03 2129
2649 시간을 선물하세요 [8] 루미 2011.10.03 2201
2648 [Monday,StringBeans-#4] 사진과 함께하는 시간여행_1 file [12] [2] 양경수 2011.10.02 4711
2647 나비 No.23 - 놓아버림의 미학 [10] 유재경 2011.10.02 4930
2646 장미1. 집으로 가는 길 [4] 범해 좌경숙 2011.09.30 2343
2645 23. 인생은 예측불허 file [7] 미선 2011.09.30 2252
2644 [10] 냉장고 [5] 최우성 2011.09.30 2015
2643 길이 끝나는 곳에서 (13 나가면서 ) file [4] 백산 2011.09.26 2205
2642 [Monday,String Beans-#3] 아산 현충사 _ 이순신과 이몽학 file [8] [2] 양경수 2011.09.26 8221
2641 [늑대23] 통(通)하여야 살 수 있다. [10] 강훈 2011.09.26 2018
2640 [Sasha] 컬럼 22 한 시간의 기적 ㅡ (살아남기위하여) [10] 사샤 2011.09.26 2294
2639 22. 시간을 선물로 만들 준비가 되었는가? file [12] 미선 2011.09.26 2527
2638 나비 No.22 – 작은 기쁨을 만끽하라 file [10] 유재경 2011.09.26 4022
2637 먼지를 털어내세요 [11] 루미 2011.09.25 2534
2636 미나의 모의비행 (3) file [10] 미나 2011.09.25 2407
2635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8. 목표 지향적 對 관계 지향적 書元 2011.09.25 4319
» 응애 80 - 장미 밭에서 춤추기 [8] 범해 좌경숙 2011.09.24 2774
2633 길이 끝나는 곳에서 (12 어리석은 자가 산을 넘는다) [4] 백산 2011.09.23 2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