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1년 10월 31일 20시 09분 등록

장미 9. 10월의 마지막 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젊은 날, 10월의 마지막 밤은 언제나 찬바람 부는 가로수 길에 서서 이 노래를 한바탕 불러대는 일로 끝을 내고는 했다. 오늘이 몇십년을 한결같이 다시 돌아오는  바로 그날이다 오늘도 내 인생에 한 획을 긋는 10월의 마지막 밤이 될 것같다.  

그동안 줄곧 죽음을 생각하고 죽음에 집중해서 살았다. 여름을 지나면서 부터는 더더욱 죽음을 마무리하려고 노력했다. 처음엔 제법 잘나갔다. 목차를 정해 놓은데로 하나씩 풀어 나갔다.

웬만큼 나의 이야기가 다 써지자 어느 순간 싫증이 났다. 이런 구질구질한 이야기를 이젠 더 생각하고 싶지 않았다. 좀 더 재미있고 좀 더 환하고 좀 더 잘나가는 책을 쓰고 싶어졌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읽고 쓰는 일이 마치 사지마비를 일으킨 것처럼 그 자리에서  멈추어버렸다. 그리고 점점 생각이 굳어가면서 그 자리에서 꼼짝할 수가 없었다.  

또 다시 어린아이의 울음으로 되돌아가 어리광 섞인 투정을 시작했다. 그러다가 별 성과?가 없자 그만 대문을 닫아걸고 굼벵이처럼 기어다녔다. 더 이상 무엇을 하기가 싫었다. 사는 것도 시시하고 살아갈 일도 시시해졌다. 그동안 살아온 인생이 모두 허무하고 별다른 의미도 없고 창밖을 하염없이 내다보고 있노라면 단숨에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생각도 떠올랐다.  

이건 분명 중증이다. 80%는 우울증의 행태들이다. 해가 떠오른 한참 후에 느즈막하게 일어나서 겨우 밥 한숟가락 뜨고 다시 소파에 뒹굴 뒹굴... 그러고보니 이건 마치 이불 한조각 덮어놓고 관 속에서 누워있는 것 같았다. 딱 내 몸의 길이만한 관이다. 재질이 나무가 아니라 가죽이라는 것이 다를 뿐이었다. 헤어날 길을 알지 못해서 마음 고생을 좀 했다  

이렇게 두 주일을 딩굴거리다가 사람들에게 긴급 구조를 요청했다. 아무래도 내가 정상이 아닌듯하니 나를 좀 도와주세요......친구들은 내가 하는 일을 잘 알고 있기에 누구보다도 그 문제는 내가 가장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사실은 자기도 내게 물어보려고 했던 주제였다고 말한다. 단순히 위로받기에는 뭔가 매끄럽지 못한 경력이다. 그리고 오랫동안 나를 보았고 또 나를 믿어주는 사람들은 내 속에 있는 힘도 함께 믿는 사람들이어서......가만히 기다리고 있겠노라고 말해 주었다.  

나는 이제 무덤 속에 누워 있는 듯한 공포감을 느끼며 이러다가 진짜 죽을 때까지 이렇게 살게 될까봐 두려웠다, 오늘 10월의 마지막 밤에 이 총체적 난국을 다시 생각해보았다. 정말 이제는 더 이상 이렇게 살면 안될 것 같다. 그리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무엇이 문제였는지 이젠 조금 알 것 같다. 나는 제일먼저 내 마음속에 무덤처럼 깊은 관을 짜두고 그동안 나는 너무 일찍 그 속에 들어가 누워버렸다. 날마다 죽음만 보고 듣고 관심을 기울였더니 그만 죽음이 내게 너무도 익숙해져 버린 것이다. 마치 그곳은 영원한 평화와 안식이 있는 것처럼 내가 먼저 죽어버린 것이다. 마음으로부터  

나의 믿음이 너무 순진했다. 평화와 안식이 있는 곳엔 죽음이 있는 것이 맞는 것 같다. 그러나 나는 그동안 사람들이 말하는 다른 생각과 소리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았고 온갖 사물에 대한 호기심도 더 이상 펼치지 않았으며 오직 오로지 죽어 편안한 것만 생각했다. 진짜 죽기 전에 잠시 죽어본 것. 이것이 내 우울증에 대한 진단이며 평가인 것 같다.

지난 주에는 안동엘 내려가서 붉게 타오르는 단풍을 보았다. 땅 위의 일이다. 그리고 어제는 청평엘 가서 신나는 음악을 자정이 넘을 때까지 들었다. 오늘은 시월의 마지막 밤, 이제 천천히 무덤에서 일어나 다시 땅위를 돌아다녀야 할 것 같다. 씨앗은 심었으되 적당한 물과 햇빛을 주지 못했다. 서둘러 검은 장막을 치고 들어가 누웠으니 삶과 죽음이 같이 있는 것 맞다. 그러나 오늘은 10월의 마지막 밤이다. 이젠 다시 정신을 차리고 무덤 밖으로 나와 새로이 진짜 무덤을 장식해야 할 것 같다. 지구의 서쪽 어느 마을에는 즐거운 묘지가 있다 했다. 잘 죽은 죽음 위 묘지엔 흰 새를 조각해두고 슬픈 죽음에는 까만 새를 조각해 두었단다. 그리고 그림과 조각으로 그 사람의 일생을 일목요연하게 표현해 두었단다.  

나는 이제 임재범의 노래에 나오는 살아도 죽은 겁니다~ 으으아라는 부분은 건너 뛰고 들어야 할 것 같다. 가을날에는 노래가 속살을 파고들며 어떻게든 사람의 마음에 닿아보려고 분위기를 띄우는 시절이므로 더더욱 섬세하게 골라 들어야 할 것 같다. 아니면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라는 후렴구라도 ...그도 아니면 못찾겠다 꾀꼬리 꾀꼬리 꾀꼬리l...”...를 부르던지 어쨌든 이 총체적 우울 모드는 이제 그만 벗어나야 할 것 같다. 이런 10월의 마지막 밤에 죽음아, 이제 그만 날 살려라......

 

 

IP *.69.159.123

프로필 이미지
재경
2011.10.31 20:31:38 *.143.156.74
선생님, 우울할 때 가장 많이 해야 할 일이 몸을 움직이는 일이래요.
저도 한동안 우울증을 앓았는데 그 놈이 괴롭힐 때면 손가락 하나 까딱할 힘이 없더라구요.

몸을 움직여 기분을 상쾌하게 할 수 있는 일 중 하나가 청소랍니다.
집안에 묵은 먼지를 쓸어 버리고 이리저리 어질러져 있는 주변을 치우고 나면 기분이 상쾌해지지요.
제 연구원 공헌 중 하나가 '정리정돈 쿠폰발급'이었는데 좌샘께 드리고 싶어요.
기운 차리고 마음이 동하시면 연락주세요.
저는 목요일 오전이 좋아요.  ^ ^
프로필 이미지
2011.10.31 21:06:35 *.69.159.123

재키 재경씨

고마워. 난 .....정리정돈 못하는 것...챔피온감인데....

 쪽 팔릴 것 각오하고 이번엔 그 선물 고이 받을게요.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10.31 23:41:29 *.38.222.35
좌슨생님.. 이제서야.. 고백하건데.. 선생님과 함께 한 안동 여행은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았습니다.

함께 기울였던 술잔도, 함께 걸었던 월영교도. 달빛 아래 즐거운 사람들이 함께여서 더 뜻깊고 오래 가슴속에 남을 여행이 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다음에도 꼭 함께 해 주세요~~~!!!

저도 요즘 문득문득 우울해 지고 있는데, 저는 그때마다 그냥 울어버려요. 이상하게 눈물 찍 흘리고 나면 마음이 편안해지더라구요. 그래도 선생님 곁에 재범느님이 있어서 다행이에요. 우울함을 한번에 날려주실테니까요.ㅋ^^
프로필 이미지
범슨
2011.11.01 08:51:20 *.69.159.123

미나야... 나도 함께 다녀온 공부길.... 참 좋았어.
그리고 11월은 참 좋은 달이다.

바바리 깃 세우고 기다란 그림자 거느리고...... 구름과자 먹다보면  이  좋은 시간들도 금방 가버려 ....욜심히 살아보자. 루카에 정착하는 그날까지....

근데.눈물은 그런데 언제 나오나...하도 울어서 울다가 아직도 눈물이 짤까 싶어서 눈물은 찍어 먹어봤지. ..그러다...소금기를 확인한 순간 나는 웃음이 빵터져서 그다음에는  자꾸 울다가 웃게되더라니깐...근데 울다가 웃으면 어케되더라.....ㅎㅎ 머리에 꽃을 꽂진 말아야겠지 .......어제밤 임느님이 임알락에 되돌아 오셨단다. 우히힛~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11.01 09:12:48 *.163.164.176
단단한 걸음걸이
간결한 어투
선한 웃음
세대를 넘어서는 감성
시들지 않는 낭만
어린애 같은 투정

그래서 젊은 좌샘.
尊!
프로필 이미지
추호! 가을범
2011.11.01 22:03:41 *.69.159.123

훈,
드디어 오늘 볕좋은 가을날... 광합성 실컷 했어요.

북악 스카이웨이를 지나 부암동 카페 프린스 가서 커피마시고  (웬 사람이 그리 많아요? 4층 까페에 자리가 없었엉)
광화문으로 정동으로 종횡무진 걸어다니다가 마침내 덕수궁 밤산책으로 끝냈어요. 저녁은 나무가 있는 집에서 정답게 끝내고...우와, 몸은 피곤하지만....마음은 띵호와~  사랑이 많고 단정한 우리 땡칠씨들의 위로로..젊은 좌샘 기운차게 다시 살아나기........우히힛~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11.11.02 06:10:05 *.12.196.33
연두빛 소녀 좌선생님, 잘 지내시죠?^^
시월의 마지막 밤을 지나 11월이 되었으니 연두빛으로 환생?하실거라 믿습니다! ^^
좌샘에겐 늘 환한 소녀의 빛이 어울리니까요 ㅎㅎ

이 공간에서 선생님의 조곤조곤체의 글을 대할 수 있어 좋습니다.
언제 클릭해서 들어가도 거기 그 곳에는 마치 곁에서 말씀하시는듯한 샘이 계시니까요.
그럼 저는 또 언제나와처럼 저희들의 현역시절로 마구마구 끌려들어갑니다.. 참 좋습니다..^^

11월엔 더 마니 사랑하시고, 더 기뻐하시고, 더 마니 웃으시고 그래서 마음 깊숙이 행복한 시간되시기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고요^^
프로필 이미지
봄범
2011.11.02 11:02:56 *.69.159.123

그래 빼빼로 데이에 빼빼하게 연두색으로 환생해볼깡용?
정현도 잘 지내고 있지?

난 요즈음 하나만 생각하고 살고있어서 이러다 왕따되겠다고 생각하다가도
본래 왕따인데 본성대로 살지뭐 하다가도 남의 눈치도 좀 보다가도......에또 조곤조곤 참여하다가도.... 에또
지난번에 안동에서 춘희네 식구들 만났는데 참 반가웠어.

다들 잘지내고 있는지... 궁금하하하하하하하단다.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1.11.02 22:18:45 *.8.230.133
왕누님!
줄은  꽉 쥐고 계시와요... 
땡기고 늦추는 것은 괜찮지만
노면 안 되는지 아시지유~
프로필 이미지
2011.11.03 12:49:43 *.69.159.123

그러게...

글줄 꽉쥐고 있다가 정신줄 놓을까봐 걱정이라니깐... ㅋㅋ

지켜봐주는 사람있어서... 무지 고마운 아침....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2 나는 어떤 책을 쓰려 하는가? 루미 2011.11.15 2125
2711 나비 No.29 - 나는 어떤 책을 쓰려 하는가(오프수업) 유재경 2011.11.14 4404
2710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백산 2011.11.14 2170
2709 [Sasha] No.1 아트샤먼 사샤의 하루 모험 (시인으로 살기) file [6] 사샤 2011.11.14 2022
2708 [늑대29_연구원수업] 나는 어떤 책을 쓰려하는가. [6] 강훈 2011.11.14 2496
2707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1. 문화를 향유(享有)하다 [2] 書元 2011.11.13 2228
2706 장미 13. 죽음의 메타포 [4] 범해 좌경숙 2011.11.11 2871
2705 장미 12. 아름다운 마무리 [2] 범해 좌경숙 2011.11.10 2130
2704 장미 11. 이틀 전 일기 [6] 범해 좌경숙 2011.11.07 2316
2703 [늑대28] 클로버는 세 잎이면서 여전히 한 잎이다 [12] 강훈 2011.11.07 2078
2702 사람을 향한 한 걸음 [14] 루미 2011.11.07 1948
2701 [Monday,StringBeans-#8] 생존의 방법 _ 여행자로 살기 file [12] 양경수 2011.11.07 3471
2700 28. 준비만 하는 삶을 살고 있진 않나요? file [12] 미선 2011.11.06 2004
2699 #8.미나의 모의비행 - 이태리에 한발 다가가기. [13] [2] 미나 2011.11.06 2221
2698 나비 No.28 - 나만 빼고 모두가 행복해? [16] 유재경 2011.11.06 4314
2697 단상(斷想) 85 - 그대는 책이다 file [4] 書元 2011.11.06 2106
2696 장미 10. 씨과실은 먹지 않는다. [2] 범해 좌경숙 2011.11.03 2419
2695 [11] 꽃 file [9] 최우성 2011.11.01 1964
» 장미 9. 10월의 마지막 밤 [10] 범해 좌경숙 2011.10.31 2397
2693 노래하기 [15] 루미 2011.10.31 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