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1년 11월 3일 12시 43분 등록

  장미 10. 씨과실은 먹지 않는다.

  아침 햇살이 찬란합니다. 10월의 마지막 밤을 노래로 보내고 바로 다음날 맞이한 11월은 지나간 시간을 갈무리를 하고 겨울잠을 준비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청개구리 과에 속하는 나는 이 계절을 무척 활발하게 보내며 즐기고 있습니다. 바바리 깃을 세우고 혼자서 폼 잡고 광화문으로 정동 길로 마구 걸어 다닙니다. 고즈녁한 덕수궁에서 초승달 바라보며 밤에도 걸으며 살아있다는 사실을 확인합니다. 몸이 지칠 때까지 걸었지요. 깊은 밤, 낮에 마신 커피 때문에 잠이 오지 않아서 그냥 깨어 정리 정돈이란 걸 좀 해 보았습니다.

한껏 넓어진 마루에 다시 책상을 펴고 벼루를 올려놓고 먹을 갈아봅니다. 그동안은 주로 “짧은 글 긴 생각”의 글을 연습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가을부터는 조금 긴 글에서 가슴을 울리는 한 생각을 써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 글은 작가가 영혼을 담아 피로 쓴 글처럼 읽히기에 아예 다 외워서 나의 글, 나의 생각처럼 언제나 다시 꺼내 친구에게 말해줄 수 있을 만큼 익혀두려고 합니다.

낮은 목소리로 조용히 읽어 드릴게요.

“나는 이 괘를 읽을 때마다 고향의 감나무를 생각 한다 . 장독대와 우물 옆에 서 있는 큰 감나무다. 무성한 낙엽을 죄다 떨구고 앙상한 가지로 서있는 초겨울의 감나무는 들판의 전신주와 함께 겨울바람이 가장 먼저 달려드는 곳이기도 하다. 바야흐로 겨울의 입구에서 그 앙상한 가지로 서있는 나무는 비극의 표상이며 절망의 상징이다. 그러나 그 앙상한 가지 끝에 달려있는 빨간 감 한 개는 글자 그대로 희망이다. 그것은 먹는 것이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씨를 남기는 것이다. 나목의 가지 끝에서 빛나는 가장 크고 탐스러운 씨 과실은 그것이 단 한 개에 불과하더라도 희망이다. 그 속에 박혀있는 씨는 이듬해 봄에 새싹이 되어 땅을 밟고 일어서기 때문이다.”

우이 신영복 선생님께서 碩果不食  석과불식 을 해석한 글입니다. 석과불식은 주역의 64번째 괘로서 가장 나쁜 산지박괘의 해제에  나오는 글입니다.  사전에는 이렇게 해석을 해두고 있습니다. '큰과실은 다 먹지않고  남긴다. 즉 자신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끼쳐줌을 이른다.'라고 써있습니다. 

우이 선생님께서는 잎과 열매가 다 떨어지고 줄기가 적나라하게 드러났을 때라야 거품없는 내 모습을 보게되고 , 비로소 제대로된 내 모습을 만들어갈 수 있다고 늦가을을 맞이하고 보내는 삶의 태도를 가르쳐주십니다. 아름다운 그림 한장 벽에 붙여두고 돌아다니는 걸음걸음 생각을 하도록 해야겠습니다.

 

 

 



   


IP *.66.117.243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1.11.06 00:55:18 *.8.230.133
왕누님!
그림이 안 보인디요...?
상상하라는 건감요?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11.06 19:55:17 *.66.117.243

이상하제....

내 컴에서는 아주 선명하게 잘 보이는디....

네이버에 석과불식을 치면 감나무에 감하나 남아있는 그림이 나오고

그 나무아래 내가 고개를 하늘로 향한채 감이 내 입으로 들어오길 바라고 서있는 그림이 있지롱...

그사람이 바로 나니깐...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2 나는 어떤 책을 쓰려 하는가? 루미 2011.11.15 2126
2711 나비 No.29 - 나는 어떤 책을 쓰려 하는가(오프수업) 유재경 2011.11.14 4405
2710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백산 2011.11.14 2170
2709 [Sasha] No.1 아트샤먼 사샤의 하루 모험 (시인으로 살기) file [6] 사샤 2011.11.14 2022
2708 [늑대29_연구원수업] 나는 어떤 책을 쓰려하는가. [6] 강훈 2011.11.14 2496
2707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1. 문화를 향유(享有)하다 [2] 書元 2011.11.13 2228
2706 장미 13. 죽음의 메타포 [4] 범해 좌경숙 2011.11.11 2871
2705 장미 12. 아름다운 마무리 [2] 범해 좌경숙 2011.11.10 2131
2704 장미 11. 이틀 전 일기 [6] 범해 좌경숙 2011.11.07 2317
2703 [늑대28] 클로버는 세 잎이면서 여전히 한 잎이다 [12] 강훈 2011.11.07 2078
2702 사람을 향한 한 걸음 [14] 루미 2011.11.07 1948
2701 [Monday,StringBeans-#8] 생존의 방법 _ 여행자로 살기 file [12] 양경수 2011.11.07 3471
2700 28. 준비만 하는 삶을 살고 있진 않나요? file [12] 미선 2011.11.06 2004
2699 #8.미나의 모의비행 - 이태리에 한발 다가가기. [13] [2] 미나 2011.11.06 2221
2698 나비 No.28 - 나만 빼고 모두가 행복해? [16] 유재경 2011.11.06 4315
2697 단상(斷想) 85 - 그대는 책이다 file [4] 書元 2011.11.06 2107
» 장미 10. 씨과실은 먹지 않는다. [2] 범해 좌경숙 2011.11.03 2419
2695 [11] 꽃 file [9] 최우성 2011.11.01 1964
2694 장미 9. 10월의 마지막 밤 [10] 범해 좌경숙 2011.10.31 2398
2693 노래하기 [15] 루미 2011.10.31 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