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미선
  • 조회 수 2003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2011년 11월 6일 21시 34분 등록

세계적인 명지휘자 이탈리아의 토스카니니는 원래 첼로 연주자였다. 불행하게도 그는 아주 심한 근시여서 앞에 놓인 악보조차 잘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관현악단에서 첼로 연주를 할 때마다 토스카니니는 항상 악보를 미리 외워서 연주회에 나가곤 했었다고 한다. 그런데 한 번은 연주회 직전에 갑자기 지휘자가 공석이 되는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다. 악단에서는 지휘자를 대신할 사람을 바쁘게 찾았는데, 악단을 지휘하기 위해선 연주할 곡을 전부 악보 없이 외우고 있는 사람이어야 했다. 하지만 그 많은 오케스트라의 단원 중에 곡을 전부 암기하여 외우고 있는 사람은 오직 토스카니니뿐이었다. 그는 임시 지휘자로 발탁되어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그때 그의 나이 19세, 그 순간 바로 세계적인 지휘자 토스카니니가 탄생하였다.

이 일화를 보면 삶을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선택의 순간들이 단지 여러 사항들 중에 하나를 고르는 것만이 아니라 동시에 기회의 순간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늘 무엇인가를 배우러 다니는 나에게 어느 날 한 친구는 “도대체 언제까지 배우기만 할 거야? 그걸 이젠 사용할 때도 되지 않았어?” 라는 질문을 했다. 그 질문에 그저 “아직 부족한 게 많은 것 같아서...”라고 얼버무릴 뿐이었다. 새로운 세상으로 발을 내딛기가 두려워 무언가를 배우는 것으로 아예 새로운 시도 자체를 차단하고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부족하니깐 더 배워야해’ 라고 합리화 시키면서. 삶이 조금은 지루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일상이 주는 편안함이 좋았고 이 편안함을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것으로 겪게 될 변화로 깨뜨리고 싶지 않았다.

변화라는 단어는 나를 긴장하게 만든다. 한편으로는 귀찮은 마음까지 들 때도 있다. 별다른 변화 없는 일상에 파묻혀 지내는 것이 지겹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익숙함이 주는 편안함을 떨쳐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반복되는 일상에 뭔가 새로운 사건이 일어났으면 좋겠어라고 생각하다가도 뜻밖의 일이 주어지게 되면 갈등하게 된다. 그동안 배운 것들을 현장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하겠다고 말은 했지만 몸이 마치 ‘넌 잘 해낼 수 없을 거야’라고 말하는 것처럼 먼저 반응한다. 신경이 곤두서고 밤에 잠을 이루기가 어렵다. 미리미리 준비 좀 더 할 것을, 그동안 배운다고 한 것들은 다 어디로 간 거니. 괜히 한다고 했나? 지금은 못 하겠다고 하기에는 너무 늦었는데... 겨우 잠이 들었나 싶으면 어느 새 다시 눈이 떠진다. 학교에 가서 상담을 시작하기 전 조를 나누기 위한 O.T.에 참석만 하고 왔을 뿐인데 그것만으로도 압박이 심했나 보다. 소화가 왜 이렇게 안 되냐 하고 있는데 급기야 화장실 변기를 붙잡게 만든다. 시작도 하기 전에 몸은 벌써 ‘나 죽겠네’를 외치고 있다. 이 죽일 놈의 책임감 때문에 그런가? 하는 생각이 든다. O.T. 참석 후 내가 맡은 학생들이 잘 되어야 하는데 혹시 내 능력이 모자라서 그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면 어쩌지? 와 같은 온갖 걱정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뭐가 제일 걱정되는 건데?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첫 발을 내딛게 되는 순간인데 실수할 까봐. 그 실수로 인해 학생들에게 피해가 갈까봐. 그게 겁나.’ 이렇게 대답하고 있지만 이상한 것은 전 같으면 일어날 수 있는 온갖 최악의 상황을 그려가며 미리 걱정을 하고 있었을 텐데, 이번엔 이상하게도 자꾸 긍정적인 그림을 그리고 있는 나를 보게 된 거다. 사실 이게 나를 더 불안하게 만든다. 과거엔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면서도 마음 한 구석으로는 ‘이제까지 미리 상상했던 일은 일어나지 않았으니깐 이번에도 이런 일은 없을 거야’ 라며 안도 아닌 안도를 했었는데 이번엔 그와 반대로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긍정적인 상상이 되니 오히려 불안한 거다. 이번엔 정말 안 좋게 상황이 흘러가면 어쩌지? 라며 억지로 안 좋은 상황을 그리고 있다. 새로운 방법으로 스스로를 괴롭히고 있다. 걱정도 팔자라는 말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다른 이들보다 능력이 모라자다고 느끼며 가졌던 열등감은 나를 끊임없이 무언가를 배우게 만들게는 해주었지만 한편으론 열등감을 하나의 방어막으로 만들고 스스로 어떤 시도도 하려고 하지 않는 것을 합리화 시키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부족하니깐 조금 더 하자. 아직은 나설 때가 아니야. 너 아직 자신 없잖아.’ 이런 생각이 새로운 시도를 하기 전에 머릿속을 가득 채우니 선뜻 해보겠다고 나서기가 쉽지 않았다.

잭 웰치는 무엇인가를 시도하고, 실패하여 거기에서 깨달음을 얻거나 혹은 성공을 해도 다시 시도해 볼 수 있는 자신감을 얻는 과정을 통해 사람들은 점점 더 향상된다. 고 하며 아무리 끔찍한 위기라도 모든 위기는 우리에게 교훈을 준다. 고 말한다. 처음 토스카니니가 지휘봉을 잡게 되었을 때 그의 기분은 어떠했을까? 뜻하지 않은 기회를 잡게 된 것에 기뻐하기도 했겠지만 한편으론 두려운 마음도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두려움 때문에 그가 기회를 잡지 않았다면 어쩌면 우리는 한명의 명지휘자를 영영 보지 못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의 첫 지휘가 어떠했는지는 모른지만 완벽하지는 않았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그는 지금 사람들의 기억에는 명지휘자로 남아있다. 첫 시도에서 완벽한 결과가 나기를 바라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중요한 것은 그 과정에서 몸으로 겪게 되는 깨달음이다. 그런 과정들이 하나하나 쌓이게 되면 그 만큼 사람은 서서히 발전하게 된다. 또한 실패도 당당히 자신의 책임으로 돌릴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다면 설사 지금 당장은 실패했다 하더라도 그것을 딛고 더 높이 뛰어오를 수 있게 된다.

실패를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모든 일에 성공만 하는 사람도 없다. 그러니 실패는 누구나 안고가야 할 마음의 짐 일지도 모른다. 실패를 다루는데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그것을 딛고 다시 일어서기는 어려울 것이다. 삶에서 겪게 되는 위기의 순간은 어쩌면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워야만 하는 시기에 경험하게 되는 지도 모른다. 죽을 것만 같았던 시간도 되돌아보면 힘들긴 했지만 그 만큼 자신의 뿌리를 깊게 내릴 수 있도록 해 주지 않았던가? 매 순간 마주치게 되는 수많은 선택의 기로에서 그 중 어느 하나는 나에게 큰 기회를 부여할 수도 있다. 과거 뜻밖의 기회 앞에 순간적으로 드는 두려움 때움에 잡지 못한 기회들을 그냥 보내버리지 않고 선택했다면 지금의 삶이 달라질 수도 있지 않았을까? 기회는 준비하는 자의 몫이라는 말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렇다면 그 기회가 왔을 때 당당히 잡으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자신의 나아가고자 하는 분야의 필요한 역량들을 키우는 것과 동시에 불완전함을 딛고 나아갈 수 있는 마음가짐도 필요하다. 불완전한 자신을 받아들이고 경험을 통해야만 그 불완전함을 채울 수 있는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힘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일은 사람을 설레게 만들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두려운 마음이 들게 하기도 한다. 두렵다고 해서 ‘좀 더 준비하고 다음에 하자.’하며 자신 앞에 놓인 기회를 잡지 않는다면 영영 준비만 하다 인생이 끝날 수도 있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그 때 내가 그 기회를 잡았어야 하는데 하는 생각이 머릿속을 가득 채우게 되면 얼마나 억울할 것인가?


그림...jpg

뒤는 그만큼 봤으면 충분하다. 이젠 앞도 봐가면서 노를 저어보자.

IP *.66.211.224

프로필 이미지
우산
2011.11.07 00:09:31 *.76.174.125
미선씨 안녕!
누군지 아시려나?
오늘 그림이 너무 좋네요..
글과 그림이 있는 책을 좋아하지요..

엄마가 글을 쓰고 딸이 그림을 그려준 "사랑활용법"

엄마와딸이 일기를 주고받으며 그림도 그린"100%엔젤 나는 머리냄새나는 아이예요"를
한번 읽어 보면 그림이 들어간 글을 쓰는데 도움이 될것 같아요..

자꾸 좋아져요..글이.. 미선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2011.11.07 14:03:48 *.34.245.172
어찌 여행 중에 많은 배려를 해주신 우산님을 모르겠어요.^^
잘 지내고 계시죠?
권해주신 책 잘 읽어볼께요.
선생님의 응원이 많은 힘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11.07 06:54:13 *.23.188.173
그래~ 까짓꺼 깨지고 마는 거야
라고 하지만 그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잘 알고 있지.
특히나 잘 하고 싶은 자에게는
늦었다고 생각하는 자에게는
좋아~ 그렇다면 나는 언니가 무엇을 하든 박수를 보낼 준비를 하겠어.
자~ 나는 준비가 되었어 ㅋ
프로필 이미지
2011.11.07 14:05:16 *.34.245.172
고맙다^^
생글 생글 웃는 얼굴로 박수 준비를 하고 있는 니가 그려지는구나ㅋ
시작부터 일정 꼬이고 난리도 아니다 ㅜㅜ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11.07 09:23:53 *.163.164.179
깨지는 미선의 사례들을 이야기에 들어가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깨지면서도 앞으로 시도할 그대의 많은 이야기를 미리 응원한다.  
프로필 이미지
2011.11.07 14:06:35 *.34.245.172
이제 시작이라 아직 깨진사례는 없어요.
앞으로도 없으면 좋겠지만 그런 일은 없겠죠?ㅋ
오빠의 응원 고마워요~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11.07 09:37:48 *.32.193.170
수많은 벤쳐들중에 한 두개가 대박을 터트리듯.(사실 이 것보다는 확률이 높겠지?)

우리가 선택하는 일들 중에서도 성공할 확률과 실패할 확률이라는 건 존재하는거니까...^^

요즘 많이 힘든것 같던데, 몸 잘 챙기면서 일 하숑~!!! 스트레스는 적당히 받고 말이징!!!
저 그림... 진짜 좋다...@.@
프로필 이미지
2011.11.07 14:08:16 *.34.245.172
늘 머리를 굴려 확실한 일만 하려고 하니 그게 내 발목을 붙잡고 있었던 거지.
그림은 나무 젓가락으로 먹물을 사용해서 그린건데 느낌이 생각보다 괜찮더라고^^
칭찬 고맙다^^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11.07 10:00:00 *.166.205.131
미소짓게 하는 글이네~
미선의 나아감이 보여서.
글도 눈에 확뜨여 읽게되... 왠지 밝아진 미선이 보이는군.
너의 도전은 어떻게 되었을까. 궁금해지는데~!
프로필 이미지
2011.11.07 14:10:10 *.34.245.172
사부님 말씀대로 많이 웃는 것 자체로도 글을 밝아지게 할 수 있나봐요^^
앞으론 좌충우돌 저의 도전기들도 올려볼께요~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11.11.07 20:08:06 *.128.229.81

잘 안느는 것은 배운 것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지 않기 때문이야. 
프로필 이미지
재경
2011.11.07 21:35:17 *.143.156.74

미선이가 다단계에 빠져 옥장판을 팔러 다니던 때를 상상해보면
미선이는 준비고, 공부고, 생각이고 다 때려치우고 호랭이처럼 달려들었을것 같은데 말이야.

미선아, 네 피에는 호랭이의 피가 흐른다.
이놈이다 싶으면 냉큼 달려들어 한 입에 꿀꺽 삼켜버리렴.
넌 할수 있어!!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2 나는 어떤 책을 쓰려 하는가? 루미 2011.11.15 2125
2711 나비 No.29 - 나는 어떤 책을 쓰려 하는가(오프수업) 유재경 2011.11.14 4404
2710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백산 2011.11.14 2170
2709 [Sasha] No.1 아트샤먼 사샤의 하루 모험 (시인으로 살기) file [6] 사샤 2011.11.14 2022
2708 [늑대29_연구원수업] 나는 어떤 책을 쓰려하는가. [6] 강훈 2011.11.14 2496
2707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11. 문화를 향유(享有)하다 [2] 書元 2011.11.13 2228
2706 장미 13. 죽음의 메타포 [4] 범해 좌경숙 2011.11.11 2871
2705 장미 12. 아름다운 마무리 [2] 범해 좌경숙 2011.11.10 2130
2704 장미 11. 이틀 전 일기 [6] 범해 좌경숙 2011.11.07 2316
2703 [늑대28] 클로버는 세 잎이면서 여전히 한 잎이다 [12] 강훈 2011.11.07 2078
2702 사람을 향한 한 걸음 [14] 루미 2011.11.07 1947
2701 [Monday,StringBeans-#8] 생존의 방법 _ 여행자로 살기 file [12] 양경수 2011.11.07 3471
» 28. 준비만 하는 삶을 살고 있진 않나요? file [12] 미선 2011.11.06 2003
2699 #8.미나의 모의비행 - 이태리에 한발 다가가기. [13] [2] 미나 2011.11.06 2221
2698 나비 No.28 - 나만 빼고 모두가 행복해? [16] 유재경 2011.11.06 4314
2697 단상(斷想) 85 - 그대는 책이다 file [4] 書元 2011.11.06 2106
2696 장미 10. 씨과실은 먹지 않는다. [2] 범해 좌경숙 2011.11.03 2419
2695 [11] 꽃 file [9] 최우성 2011.11.01 1963
2694 장미 9. 10월의 마지막 밤 [10] 범해 좌경숙 2011.10.31 2396
2693 노래하기 [15] 루미 2011.10.31 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