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허성일
  • 조회 수 800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4년 10월 12일 14시 08분 등록
히로나카씨와의 만남을 통해 적어도 난 왜 배우는지, 아니 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지금껏 누구에게도 듣지도 못했고 스스로 구하지도 못했던 가슴 울렁거리는 답변이었다. 아울러 저자는 그가 어떻게 자신이 추구했던 학문에서 진정으로 즐거움을 찾을 수 있었는지에 대해 자상하게 들려주고 있다.

"사는 것은 배우는 것이며, 배움에는 기쁨이 있다. 사는 것은 또한 무언가를 창조해 나가는 것이며, 창조에는 배우는 단계에서 맛볼 수 없는 큰 기쁨이 있다. 학문의 세계에서 배우고 창조하는 기쁨은 곧 생각하는 기쁨이다. 생각한 후에는 들은 것이나 읽은 것은 잊어버려도 된다. 기억하지 않으면 안된다거나 잊어버리면 안된다고 생각하면, 학문을 하기도 전에 지쳐버리고 배우는 것 자체에 싫증을 느끼게 된다. 학문이란 본래 그다지 어려운 것이 아니고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할 수가 있으며, 그 기쁨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본문중에 ...

구본형 소장님은 "눈부신 하루를 위하여"에서 읽고 생각하고 생각하며 다시 읽는 것이 좋은 독서법이라고 했다.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고 즐기는 자들은 이러한 기쁨을 경험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깊어가는 가을에 왜 배워야하는가를 간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우리는 잠자고 있는 거대한 뇌세포에 숨어 있는 자기 재능이나 자질을 스스로 알아내지 못하는 것이다. 자기의 재능을 모두 발견하고, 자기라는 인간을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우리의 인생은 너무 짧다. 안타까울 따름이다" 본문중에 ...


IP *.244.233.17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 북리뷰 47. 공감의 시대_제러미 리프킨(민음사) [2] [1] 박상현 2011.02.14 14567
31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1 [2] 효인 2009.12.22 14691
30 #11. 파우스트(괴테)Review file [3] [11] 샐리올리브 2012.06.18 14896
29 [고전읽기]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라이너 마리아 릴케 [2] 미옥 2012.10.04 14948
28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왕참치 2014.06.30 15219
27 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 - 우종영 file [1] 이은미 2009.01.05 15243
26 그리스 비극 (GREEK TRAGEDY) file [4] 세린 2012.05.07 15481
25 도올 김용옥의 <주역 계사전 강의록> (1) 보따리아 2018.03.05 15664
24 피터 드러커 프로페셔널의 조건 [1] 백산 2009.10.11 15672
23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겁니다- 폴 호프만 지음/ 신현용 옮김 file [15] 세린 2013.02.16 15742
22 &quot;Jack Welch&quot;- Straight from the gut [53] 정재엽 2006.12.16 15851
21 소설쓰기의 모든 것 2. 묘사와 배경 레몬 2013.02.17 16287
20 #47 The Elements of Style_이수정 알로하 2018.03.26 16616
19 #8 그리스로마신화 2/2 (윤정욱) 윤정욱 2017.05.29 16627
18 황무지(THE WASTE LAND) - T.S. 엘리엇 [4] 보따리아 2018.02.27 17305
17 [14] 위대한 나의 발견*강점혁명- 청림출판사 범해 좌경숙 2009.07.06 17958
16 #33 그림자: 우리 마음속의 어두운 반려자_이수정 알로하 2017.11.27 18141
15 20대는 물음표로 40대는 느낌표로 살아라 우태환 2004.09.18 20530
14 Blue Ocean Strategy.. [2] 김미영 2005.09.21 22311
13 [62] 인간을 위한 디자인 - 빅터 파파넥 file [21] 한정화 2009.02.28 23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