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이선이
  • 조회 수 477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5년 3월 26일 08시 11분 등록

내가 알려고 하는 그 사람이 나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내가 그를 알기 위해서는 그가 나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자연의 대상물과는 달리 내가 바라보는 대상이 나를 바라보고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다시 말하자면 서로 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쌍방향으로 열려 있어야 합니다. 나와 관계가 있어야 하고
나를 사랑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자기를 보여주지 않는 법이지요.
하물며 자기의 알몸을 보여줄 리가 없지요.

知 와 愛는 함께 이야기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사랑하지 않는 것도 알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애정없는 타자와 관계없는 대상에 대하여 알 수 있다는 환상을 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진정한 의미의 知라는 사실입니다.

오히려 인식의 혼란을 가져오는 엄청난 정보의 야적 野積은 단지 인식의
혼란에 그치지 않고 인간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거추장스러운 것으로
폄하하게 할 뿐입니다.

더구나 자본주의 사회는 모든 사람이 '팔기 위해서' 진력하고 있는 사회입니다.
모든 것을 파는 사회이며 팔리지 않는 것은 가차없이 폐기되고
오로지 팔리는 것에만 몰두하는 사회입니다.

상품 가치와 자본 논리가 지배하는 사회입니다.
이러한 체제에서 추구하는 지식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는 한 점의 인연도 없습니다.
지知는 지인 知人이라는 의미를 칼같이 읽는다면 인간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회는 無知한 시회입니다.
무지막지 無知莫知한 사회일 뿐입니다.



사랑은 분별이기 때문에 맹목적이지 않으며,
사랑은 희생이기 때문에 무한할 수도 없습니다.

우리의 감성이 상품미학에 포섭된다는 것은 의상과 언어가 지배하는
문화적 상황으로 전락한다는 것이지요.

형식미가 지배하는 상황에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형식미의 끊임없는 변화에 열중하게 되고 급기야는 변화
그 자체에 탐닉하게 되는 것이 상품 사회의 문화적 상황입니다.
상품의 구매 행위는 소비 이던에 일어납니다.
광고 카피 역시 소비자가 상품이나 상품의 소비보다 먼저 만나는 약속입니다.
이 약속이 배반당하는 지점, 즉 그 형식의 허위성이 드러나는 지점이 패션이
시작되는 지점이라는 사실은 여러분이 더 잘 알고 있습니다.

결국 형식만으로 구매를 결정하게 하는 시스템의 보정적 기능에 불과한 것이지요.
반품과 AS 자체가 또 하나의 상품으로 등장하여 허구적인 약속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사실이 오히려 역설적이지요.
결국 많은 사람들이 그 배신의 경험 떄문에 상품을 불신하고 나아가 증오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패션의 속도가 더욱 빨라집니다.




IP *.42.252.15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2 드림 소사이어티 - 롤프 옌센 숙인 2010.01.12 4751
471 북 No.34 - 구본형의 글로벌 경영전략, 코리아니티 file [2] 유재경 2011.12.19 4753
470 자기와 자기실현(분석심리학 탐구3) -이 부영- [1] 문요한 2005.09.06 4755
469 묵자 앨리스 2014.08.04 4762
468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리차드 루브 정야 2010.01.04 4764
467 #19. 쉽게 읽는 백범일지 / 김구 file 쭌영 2013.09.23 4770
» -->[re][강의] 신영복님 4 이선이 2005.03.26 4773
465 [리뷰] <강의>_신영복, 두번째 읽기 file 양경수 2011.12.26 4786
464 [39] 이너게임- 티머시 골웨이 [1] 최코치 2009.02.01 4794
463 루스시몬스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2] 전성애 2005.04.06 4799
462 [북리뷰 001] 조셉 캠벨 <신화와 인생> file 김경인 2011.04.03 4800
461 생명의 그물 -프리초프 카프라- file [2] 장재용 2013.09.23 4801
460 [38] 내성적인 사람이 성공한다 - 마티 올슨 래니 file [2] 양재우 2009.01.19 4809
459 북리뷰 44 : 연금술사 - 파울로 코엘료 [4] [1] 범해 좌경숙 2010.02.20 4813
458 # 22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file [3] 샐리올리브 2012.10.02 4813
457 열정과 기질/ 하워드 가드너 file [1] 오미경 2013.07.15 4814
456 파우스트-요한 볼프강 폰 괴테/정서웅 옮김 file [8] 세린 2012.06.18 4818
455 이너게임 [2] 백산 2009.10.19 4820
454 8th Review-사기열전 두번 읽기 [9] 사샤 2011.05.23 4822
453 그리스 비극-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file [1] [1] id: 문윤정 2012.05.07 4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