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박노진
  • 조회 수 351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5년 4월 4일 17시 42분 등록
1. 서론

한 개인의 삶에 그 시대의 양이 얼마만큼 들어가 있는가 하는 것이 그 삶의 정직성을 판별하는 기준이라고 한다면 노촌 선생은 참으로 정직한 삶을 사신 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19p

미록지대자야糜鹿之大者也에서처럼 스스로 깨치는 방식, 하루 종일 걸려서 그제야 깨닫는 그런 비능률적인 방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는 매우 놀라울 정도였습니다. ... 과학적 방법이나 첩경에 연연하지 않고 그저 우직하게 암기하는 것이 오히려 가장 확실한 성과를 이루는 것이기도 하지요. ... 좋아하는 사람이 생기면 그를 자주 바라보게 되듯이 좋은 문장을 발견하기만 한다면 어학은 자연히 습득되리라고 봅니다. 27p

최근의 동양에 대한 관심은 기본적으로 신대륙에 대한 콜럼버스의 관심입니다. 과도하게 축적된 초국적 자본이 자본주의 시장권에서 분리되어 잇던 공구권과 러시아 대륙에 이어서 다시 광범한 중국 시장에 쏟는 관심, 이것이 주된 동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의 주류 담론인 전 지구적 자본주의와 세계화 논리는 한마디로 거대 축적 자본의 사활적 공세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그것은 자본주의 전개 과정이 역사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자본 축적 과정의 전형적 형태입니다. 33p

인간을 인간人間, 즉 인人과 인人의 관계로 이해하는 것이지요. 인간이란 존재 자체를 인간관계라는 관계성의 실체로 보는 것이지요. 인간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인간입니다. 이 사회성이 바로 인성의 중심 내용이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동양적 가치는 어떤 추상적인 가치나 초월적 존재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 구하는 그런 구조입니다. 41p

2. 오래된 시詩와 언言

여러 사람이 공감하고 동의하지 않으면 그 노래가 계속 불려지고 전승될 리가 없습니다. ... 우리의 삶과 정서가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한 우리의 삶과 생각은 지극히 관념적인 것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52p

공자는 시경의 시를 한마디로 평하여 사무사思無邪라 하였습니다. 시인의 생각에 거짓이 없는 것으로 읽기도 하고 시를 읽는 독자의 생각에 거짓이 없어진다는 뜻으로도 읽습니다. 우리가 거짓 없는 마음을 만나기 위해 읽는다는 것이지요. 58p

초상지풍草上之風 초필언草必偃 풀 위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는다.
수지풍중誰知風中 초부립草復立 누가 알랴, 바람 속에서도 풀은 다시 일어서고 있다는 것을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시경의 정신은 이처럼 땅을 밟고 걸어가듯 확실한 세계를 보여줍니다. 땅을 밟고 있는 확실함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되찾아야 할 우리 삶의 진정성이기도 합니다. 67p

무일無逸은 불편함이고 불편은 고통이고 불행일 뿐이지요. 무엇보다도 불편함이야말로 우리의 정신을 깨어 있게 하는 것이라는 깨달음이 없는 것이지요. 살아간다는 것이 불편한 것이고, 살아간다는 것이 곧 상처받는 것이라는 성찰이 없는 것이지요. 72p

주공은 일반삼토一般三吐, 일목삼착一沐三捉이라는 유명한 일화의 주인공입니다. 한 끼 밥 먹는 동안에도 세 번씩이나 먹던 밥을 뱉어내고 손님을 맞으러 나가는가 하면, 한 번 머리 감는 사이에고 세 번식이나 젖은 머릿단을 움켜쥐고 손님을 맞으러 달려 나갔다는 것이지요. 74p

역사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어떠한 시대나 어떠한 곳에서도 변함없이 관철되고 있는 인간과 사회의 근본적인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노르웨이의 어부들은 바다에서 잡은 정어리를 저장하는 탱크 속에 반드시 천적이니 메기를 넣는 것이 관습이라고 합니다. 전적을 만난 불편함이 정어리를 살아 있게 한다는 것이지요. 불편함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씹어보기를 바라는 것이지요. 75p

유목 문화에서는 과거의 경험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동일한 공간에서 반복적 경험을 쌓아가는 문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단히 새로운 초원을 찾아가는 것이지요. ... 그러나 인류의 정신사는 어느 시대에나 과거의 연장선상에서 미래를 모색해가게 마련입니다. ... 할머니 가설이 그렇습니다. ... 나이 든 세대의 경험과 역할이 현생인류의 양적 팽창과 질적 발전을 가져온 것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 미래는 과거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미래는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변화와 미래가 외부로부터 온다는 의식이 바로 식민지 의식의 전형입니다. 권력이 외부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곳으로부터 바람이 불어오기 때문입니다. 77p

제가 감옥엣 만난 노선배들로부터 자주 들었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이론은 좌경적으로 하고, 실천은 우경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좌경적이라는 의미는 비타협적인 원칙의 고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경적이라는 의미는 맑은 물에는 갓끈을 씻고 흐린 물에는 발을 씻는다는 현실주의와 대중노선을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82p


IP *.247.50.14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 #44 히트 메이커스 1/2 (윤정욱) 윤정욱 2018.02.12 1400
131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송의섭 2018.02.12 1512
130 #44 소유냐 삶이냐_이수정 알로하 2018.02.12 1849
129 #44. 토킹 투 크레이지 ggumdream 2018.02.12 1997
128 #45 세상에서 가장 길었던 하루(정승훈) 정승훈 2018.02.18 1682
127 서대원 주역강의(2) [2] 보따리아 2018.02.19 1882
126 #45 - 진로인문학(이정학) 모닝 2018.02.19 1410
125 #45. 생각을 걷다 [1] ggumdream 2018.02.19 1405
124 #45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_이수정 알로하 2018.02.19 2101
123 메모 습관의 힘 file [2] 송의섭 2018.02.19 1394
122 #45 일단 오늘은 나한테 잘합시다 (윤정욱) file [1] 윤정욱 2018.02.19 1413
121 #42 스스로 살아가는 힘_자율성에 대하여 뚱냥이 2018.02.19 1549
120 1. 위대한 멈춤(박승오/홍승완) 해피맘CEO 2018.02.26 1736
119 황무지(THE WASTE LAND) - T.S. 엘리엇 [4] 보따리아 2018.02.27 17300
118 #46 이 아이들에게도 아버지가 필요합니다 (정승훈) 정승훈 2018.03.04 1818
117 도올 김용옥의 <주역 계사전 강의록> (1) 보따리아 2018.03.05 15649
116 2. 클린(알레한드로 융거) 해피맘CEO 2018.03.05 2256
115 #46 영어책 한 권 외워봤니?_이수정 알로하 2018.03.05 2990
114 도올 김용옥의 <주역 계사전 강의록> (2) 보따리아 2018.03.12 5019
113 3. 마흔 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구본형) 해피맘CEO 2018.03.12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