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헤리
  • 조회 수 448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5년 4월 14일 20시 45분 등록
2005년 2월 18일 ~ 26일 1 독

유럽출장에 함께 동행한 책이다.
오래전부터 읽어 보리라 해 놓고 그 때서야 손에 잡았다.

주인공 '홀든 코필드'

영어와 책읽기에만 좋아 했던 그는 대부분의 과목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과락을 하게 되면서
결국 학교로부터 퇴학통보를 받게 된다.

그 후에 겪는 몇 일간의 이야기가 이 책 속에 담겨져 있다.

그는 만나는 사람마다 단점을 보고 싦어한다.
습관처럼...
무엇하나 그에게 진정한 감동을 주는 것이 없다.

이런 중에서도 그는 죽은 동생 앨리와
막내 여동생 피비만은 끔직이 좋아하고 그리워한다.
마치 삶의 마지막 촛불처럼...
호밀밭의 파수꾼처럼...

벌써 50년 훨씬 이전에 그려진 내용인데도
지금 우리네 현실과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러기에 더욱 공감을 주는 이야기이다.

난 학창시절에 이런 깊은 고민을 가지지 못했다.
그저 흘러가는 세상이니 그렇게 하는 것이 맞는 줄 알고
그대로 받아들였지 이처럼 비판적으로 보지 못했었다.

퇴학당한 낙제생인 그는 어쩜 영원한 인생의 낙오자가 될 뻔 했다.
그런 절망과포기와 고통으로부터 반전하길 내내 응원했었다.

결국 그의 방랑이 멈추는 것으로 끝은 나지만
그 후 그가 원하던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었는지...

우리의 하나 뿐인 소중한 삶을 위하여...

- 책을 좋아하는 사람 '헤리'

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유일하게 달라지는 것이 있다면 우리들일 것이다.
나이를 더 먹는다거나 그래서는 아니다.
정확하게 그건 아니다.
그저 우리는 늘 변해 간다.
이번에는 코트를 입고 왔다든지,
지난번에 왔을 때 짝궁이었던 아이가 홍역에 걸려
다른 여자 아이와 짝이 되어 있다든지 하는 것처럼,
아니면,
에이글팅거 선생님 대신 다른 선생님이 아이들을 인솔하고 있다든지,
엄마하고 아빠가 욕실에서 심하게 싸우는 소리를 들은 다음이라든지,
아니면,
길가의 웅덩이에 떠 있는 기름 무지개를 보고 왔다든지
하는 것처럼 말이다.

- 본문 중에서
IP *.79.165.10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2 #21 파우스트1 (이정학) 모닝 2017.08.29 2301
5031 #3 떠남과 만남(장성한) 뚱냥이 2017.04.24 2319
5030 #3 떠남과 만남 (윤정욱) 윤정욱 2017.04.23 2347
5029 #2 마흔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_이수정 [2] 알로하 2017.04.17 2373
5028 #12 철학이야기 1_이수정 알로하 2017.06.26 2377
5027 #7-열정과 기질 왕참치 2014.05.26 2381
5026 [북리뷰] <강의> 다시 읽기 이선형 2011.02.14 2384
5025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 수정 중 종종 2015.01.05 2386
5024 사피엔스(2) - 명상을 통해 쓰여진 인류의 예언서 [1] 보따리아 2017.07.18 2389
5023 #12 철학이야기 1/2 (정승훈) 정승훈 2017.06.25 2390
5022 #13 철학이야기 2/2 (정승훈) 정승훈 2017.07.02 2391
5021 [5월 1주차] #2. 낯선 곳에서의 아침_박진희 file [1] 라비나비 2013.05.06 2392
5020 오늘 눈부신 하루를 위하여 박혜홍 2018.08.05 2392
5019 #45 - 진로인문학(이정학) 모닝 2018.02.19 2393
5018 (No.28-1) 두번읽기/ 아니타 로딕 [영적인 비즈니스] 김영사 -서은경 file 서은경 2013.12.16 2394
5017 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_구달리뷰#24 구름에달가듯이 2014.10.05 2394
5016 #7-2 그리스로마신화(송의섭) 송의섭 2017.05.29 2394
5015 #37 나는 걷는다 1 (정승훈) 정승훈 2017.12.23 2394
5014 #40 대통령의 글쓰기 (윤정욱) [1] 윤정욱 2018.01.16 2394
5013 철학이야기(2) - 철학에서 '인간'을 찾자 보따리아 2017.07.03 2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