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놀자
  • 조회 수 3447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5년 9월 8일 08시 44분 등록
빌 게이츠, 스티븐 스필버거, 아인슈타인, 에디슨의 공통점은?

머리가 엄청 똑똑하다는 것.
맞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답은 모두 유태인 이라는 사실이다.

왜 유태인들은 하나 같이 똑똑하고 부자고 창의적인가?

김정운 교수에 의하면 유태인들은 안식일을 철저히 지키는 민족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6일 후 하루(안식일) , 6년 후에 1년을 쉬는(안식년) 유태인은 자기를
돌아 볼 수 있는 시간, 즉 여가를 철저히 가지기 때문에 다른 민족보다 앞서 나갈 수 있다고 한다.

왜 여가를 가지면 남보다 뛰어 나는가?

나를 남과 다르게 만들어 주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틀에 박힌 일상이 아닌 일상이 낯설게 된 상황, 다시말해 여가활동 중에 더 잘 떠오르고 머리 속에 정리 되기 때문이다.

창의성이란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정보나 물체를 낯설게 조합하는 것을 말한다.

푸른 하늘에 비행기가 떠가는 그림은 일상적인 것이지만, 창공에 돛단배가 흘러 가는 그림은 창의성이요 예술이다.

일과 놀이, 재미에 대해서 문화심리학 이론으로 쉽고도 흥미롭게 풀이한 김정운 교수는 국내최초로 명지대에 여가학이라는 분야를 개설한 장본인 이기도 하다.

지금 우리나라 경제가 어려운 것은 너무 일찍 샴페인을 터뜨려서도 아니요 제대로 놀 줄 몰라서 그렇다고 한다.

노는 것에 괜한 죄의식 때문에 폭탄주로 서둘러 의식을 마비시키고 재밌는 것이 뭔지 몰라서 2차는 무조건 노래방으로 우루루 몰려가고 삶이 지루하여 남 몰래 러브호텔 같은 자극적인 감각만을 추구해서이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더욱 놀고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 이제 경쟁력은 창의성에서 오고 이 창의성은 재미난 놀이를 하는 여가로 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진정한 놀이 문화를 개발해야 한다. 노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골프를 치고 해외여행을 해야만 노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몰입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좋다. 자신만의 놀이를 즐겨라.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 성공하기 위해서 ,궁극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서 우리는 재미나게 일하고 놀아야 한다. 성공했지만 불행한 일중독자의 사례를 읽어 보노라면 저자의 주장에 공감하게 될 것이다.

나는 오늘 잠자리에 누워 내일 재미나게 놀 계획을 세울 것이다. 내일은 더 이상 지루한 하루가 아니다.
IP *.75.36.62

프로필 이미지
숲기원
2005.09.09 19:28:44 *.7.28.25
좋은 책 안내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동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도 재미있는 내일이 될 수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언제나 재미있고 행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32 [일본 10년 불황을 이겨낸, 도요타 . 김태진] [1] 통찰맨 2005.09.04 2978
4731 자기와 자기실현(분석심리학 탐구3) -이 부영- [1] 문요한 2005.09.06 4750
4730 일하기 좋은 기업 -박재림, 한광모- 문요한 2005.09.06 3225
4729 목표 그 성취의 기술 더불어 2005.09.07 2937
» 노는 만큼 성공한다 ( 김정운) [1] 놀자 2005.09.08 3447
4727 당신들의 대한민국.. [6] 김미영 2005.09.08 2845
4726 미쳐야 미친다-정민, 푸른 역사,2005 매니아 2005.09.11 3418
4725 개인 브랜드 성공전략-신병철,살림- 오성공 2005.09.12 2774
4724 [부드럽게 말하고 강력하게 행동하라, 제임스 M. 스트록] 통찰맨 2005.09.14 2919
4723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 3, 4.. [3] 김미영 2005.09.14 3070
4722 책과 더불어 배우며 살아가다<이권우> [2] 놀자 2005.09.19 2918
4721 Blue Ocean Strategy.. [2] 김미영 2005.09.21 22310
4720 [삼성과 싸워 이기는 전략. 이용찬,신병철] 통찰맨 2005.09.22 3228
4719 발칙한 한국학.. 김미영 2005.09.24 2916
4718 [혁신하는 경영, 신뢰받는 기업, 서울대 경영대학 연구소 편] 통찰맨 2005.09.26 3205
4717 일상의 황홀 file [1] 박종신 2005.09.26 3057
4716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기술(존 코터 외)-完 오병곤 2005.09.27 3767
4715 칭기스 칸과 주식회사 몽골 박노진 2005.09.28 3188
4714 아무도 기획하지 않는 자유 -고미숙- [1] 문요한 2005.09.28 2722
4713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진중권- [1] 문요한 2005.09.28 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