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놀자
  • 조회 수 403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5년 9월 8일 08시 44분 등록
빌 게이츠, 스티븐 스필버거, 아인슈타인, 에디슨의 공통점은?

머리가 엄청 똑똑하다는 것.
맞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답은 모두 유태인 이라는 사실이다.

왜 유태인들은 하나 같이 똑똑하고 부자고 창의적인가?

김정운 교수에 의하면 유태인들은 안식일을 철저히 지키는 민족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6일 후 하루(안식일) , 6년 후에 1년을 쉬는(안식년) 유태인은 자기를
돌아 볼 수 있는 시간, 즉 여가를 철저히 가지기 때문에 다른 민족보다 앞서 나갈 수 있다고 한다.

왜 여가를 가지면 남보다 뛰어 나는가?

나를 남과 다르게 만들어 주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틀에 박힌 일상이 아닌 일상이 낯설게 된 상황, 다시말해 여가활동 중에 더 잘 떠오르고 머리 속에 정리 되기 때문이다.

창의성이란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정보나 물체를 낯설게 조합하는 것을 말한다.

푸른 하늘에 비행기가 떠가는 그림은 일상적인 것이지만, 창공에 돛단배가 흘러 가는 그림은 창의성이요 예술이다.

일과 놀이, 재미에 대해서 문화심리학 이론으로 쉽고도 흥미롭게 풀이한 김정운 교수는 국내최초로 명지대에 여가학이라는 분야를 개설한 장본인 이기도 하다.

지금 우리나라 경제가 어려운 것은 너무 일찍 샴페인을 터뜨려서도 아니요 제대로 놀 줄 몰라서 그렇다고 한다.

노는 것에 괜한 죄의식 때문에 폭탄주로 서둘러 의식을 마비시키고 재밌는 것이 뭔지 몰라서 2차는 무조건 노래방으로 우루루 몰려가고 삶이 지루하여 남 몰래 러브호텔 같은 자극적인 감각만을 추구해서이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더욱 놀고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 이제 경쟁력은 창의성에서 오고 이 창의성은 재미난 놀이를 하는 여가로 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진정한 놀이 문화를 개발해야 한다. 노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골프를 치고 해외여행을 해야만 노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몰입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좋다. 자신만의 놀이를 즐겨라.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 성공하기 위해서 ,궁극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서 우리는 재미나게 일하고 놀아야 한다. 성공했지만 불행한 일중독자의 사례를 읽어 보노라면 저자의 주장에 공감하게 될 것이다.

나는 오늘 잠자리에 누워 내일 재미나게 놀 계획을 세울 것이다. 내일은 더 이상 지루한 하루가 아니다.
IP *.75.36.62

프로필 이미지
숲기원
2005.09.09 19:28:44 *.7.28.25
좋은 책 안내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동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도 재미있는 내일이 될 수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언제나 재미있고 행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2 #3 떠남과 만남(장성한) 뚱냥이 2017.04.24 2556
5031 #3 떠남과 만남 (윤정욱) 윤정욱 2017.04.23 2586
5030 [북리뷰] <강의> 다시 읽기 이선형 2011.02.14 2595
5029 #1 신화의 힘_정수일 [3] 정수일 2014.04.13 2602
5028 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_구달리뷰#24 구름에달가듯이 2014.10.05 2604
5027 #24 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왕참치 2014.10.06 2604
5026 북리뷰 49. 프로페셔널의 조건_피터 드러커(청림출판) 박상현 2011.03.06 2605
5025 #25 -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 이동희 희동이 2014.10.14 2605
5024 26. 깊은 인생, 구본형, 휴머니스트 [2] 강훈 2011.10.25 2606
5023 [5월 1주차] #2. 낯선 곳에서의 아침_박진희 file [1] 라비나비 2013.05.06 2606
5022 #16 강의 - 이동희 희동이 2014.07.28 2606
5021 31.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해냄 강훈 2011.11.28 2607
5020 #16 삼국유사 1/2 (윤정욱) 윤정욱 2017.07.24 2607
5019 #19 - 한시미학산책(이정학) [1] 모닝 2017.08.14 2607
5018 #22 파우스트 2부_이수정 [1] 알로하 2017.09.04 2607
5017 『코리아니티』를 읽고... [1] 이희석 2007.03.19 2608
5016 [신화의 힘-조셉캠벨] Review [2] 손지혜 2008.03.02 2608
5015 #6 삼국유사_정수일 정수일 2014.05.18 2608
5014 열정과 기질 [1] 앨리스 2014.05.26 2608
5013 #2 마흔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 (윤정욱) [2] 윤정욱 2017.04.17 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