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06년 1월 4일 09시 21분 등록


* 제목 : Fast Second
* 저자 : 콘스탄티노스 마르키데스
* 역자 : 김 재 문
* 출판일 : 2005년 12월 20일


‘경쟁 없는 미개척 시장’(블루오션)이라는 화려한 단어 옆에 ‘재빠른 2등 전략’도 함께 두길 권한다. 근본적으로 혁신적인 시장을 창조하는 집단과 이를 지배하는 집단은 엄연히 다르다는 저자의 주장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신시장은 처음으로 뛰어든 개척자가 아니라, 그 뒤를 따라 나타나는 얌체 같은 정복자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는 것이다. 신시장을 찾기만 하면 다될 것 같았던 요즘의 유행 전략에 찬물을 끼얹은 꼴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저자는 신시장 개척에 기존의 대기업들은 나서지 말라고 주문한다. 대기업은 그 능력(Skill)과 태도(Mind Set)에 있어서 근본적 혁신이 어렵다는 것이다. 자신의 강점(인프라, 자원, 프로세스 등)을 활용해 신시장내에서 ‘지배적 디자인’이라는 표준을 제시하고 대중 시장을 육성하는 마켓 리더의 역할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대기업이 젊은 기업처럼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길러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마치 “70세 노인에게 차기 올림픽 대회에서 우승하기 위한 훈련법을 가르치기 위해 애쓰는 것만큼이나 부질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신상품을 창조하는 작업과 이를 시장에서 상품화하는 작업을 분리’하는 것이 각각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창작 산업(영화, 연극, 미술, 서적, 음반)에서 사용하는 분업 형태의 사업 모델을 추천하고 있다. 할리우드의 영화 제작 시스템 또는 대형 출판사들의 출판 마케팅의 사례들이 있을 수 있는데 충분한 실험의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공룡 기업을 날쌘 돌이로 탈바꿈시키고자 하는 기업들의 경영 혁신에도 끌어다 사용할 만한 아이디어. 하지만 ‘패스트 세컨드’라 일컫는 상징 개념의 낯 설음에 비해, 내용들은 매우 익숙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
밑줄 긋기
--------------------------

신시장을 지배하는 기업은 맨 먼저 시장에 들어간 기업이 아니다. 신시장을 지배하기 위한 핵심 성공 요인은 ‘빨리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점에 움직이는 것’이다. 그리고 적절한 시점이 맨 먼저인 경우는 극히 드물다. 신시장에 들어가 마켓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움직여야 할 최적의 타이밍을 찾아내야만 한다. 우리는 이것을 ‘재빠른 2등 전략(Fast Second Strategy)’이라고 부른다. (9 page)

대기업들은 창의력을 발휘해야 하는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신시장을 개척하는 일은 그런 일을 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갖고 있는 신생 기업에게 맡기고, 대신 효율성을 발휘해야 하는 제품의 상업화나 대중 시장 확대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 (10 page) 요컨대 기존의 성숙한 대기업이 중점을 두고 실행할 일은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대중시장으로 키워가는 것이다 (13 page)

근본적 혁신이 고객의 니즈와 수요에서 나오는 경우는 드물다. 근본적 혁신은 전세계 곳곳에서 독립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들에 의해 시장에 밀어 올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3 page)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그 제품이 생산된 후에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가 오는 긴긴 밤이면 엄청난 무료함을 느꼈을 19세기 가족들을 생각해보자. 이들 중에서 시간을 재미있게 보낼 수 있도록 텔레비전이 발명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몇 명이나 되었겠는가. 또 토요일 저녁마다 주말연속극을 봐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사람들은 몇 명이나 되었겠는가? (51 page)

그것은(젊은 기업처럼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길러야 한다고 말하는 것) 70세 노인에게 차기 올림픽 대회에서 우승하기 위한 훈련법을 가르치기 위해 애쓰는 것만큼이나 부질없는 일이다. 결국 기존 시장의 리더들이 집중해야 하는 일은 신생 기업들이 만들어 낸 아이디어에 접근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대중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그 아이디어를 확장하는 것이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그들이 강점을 가진 분야에 대한 집중이다. 그리고 틈새시장에서 도출된 새롭고 훌륭한 아이디어들을 가치 있는 새로운 대중시장에 통합하는 일이다. (147 page)

기존 기업들은 경쟁업체들보다 더 잘해야 하는 게임에는 고수이지만, 확실히 구별되는 차이점을 만들어내는 일에는 약하다. ( 254 page )

모든 역사적 사실(20세기의 혁신적인 시장들이 어떤 식으로 창조되었는가를 주의 깊게 살펴보라)들은 한가지 사실을 가리키고 있다. 그것은 바로 근본적 혁신에 의한 새로운 시장은 기존 대기업들에 의해 만들어진 적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267 page)

창작산업에서는 신상품을 창조하는 활동과 그것을 홍보, 배급, 판매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주체가 뚜렷이 구분되어 있다. 우리는 이러한 분업 형태의 사업 모델이 다른 업종에서 신사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렇게 믿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는 창작 산업과 새로운 시장의 경제적 특징이 놀랄 만큼 흡사하기 때문이다. (272 page)

IP *.111.172.16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