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06년 3월 21일 09시 15분 등록

〈공익을 경영하라〉비영리조직 혁신 보고서
● 구본형 지음/을유문화사/248쪽/1만3,000원

‘방만은 공익에 대한 배신이다.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게 하고, 훌륭한 공적 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박탈하고, 사회적 신뢰를 무너뜨린다. 그러므로 공익은 방치돼서는 안된다. 공익 역시 경영돼야 한다.’

어느 나라, 어느 사회건 공공조직은 느리고 보수적이다. 민간기업과 조직이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는 절박감으로 혁신을 단행할 때도 이들은 ‘강 건너 불구경’하듯 느긋하기 일쑤였다. 변하지 않아도 그들은 생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의 비효율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

‘사회적 책임을 지는 정부의 능력은 현저히 저하됐으며 비영리조직이 사회의 중심이 됐다’는 피터 드러커의 진단에 기대지 않더라도 이들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음은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럴수록 이들의 비효율은 반드시 폐기돼야 할 ‘배신’ 행위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익을 경영하라>는 무역협회의 경영혁신 보고서다. 지난 10년간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목을 바꿔라’는 핏발 선 변화의 발자취를 추적, 공공조직 혁신의 의미와 성공전략을 제안한다. 하고많은 조직 가운데 무역협회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저자는 ‘(무역협회의 사례는) 과거의 방만에 대한 진검승부’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형식적인 변화도, 홍보를 위한 일회성 이벤트도 아닌 ‘살기 위한 필사적 노력’이었다는 것이다.

변화의 요구는 위기돌파라는 절실한 필요에서 자라나는 법이다. 무역협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WTO체제로 정부의 지원이 끊겼고 회원사들의 강제적 가입비는 임의가입제로 전환되면서 사라졌다. 당장 내일의 생존을 장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혁신은 무역협회가 택할 수 있는 유일한 활로였다.

경영의 모든 영역에서 강도 높은 혁신이 요구됐다. 민간기업처럼 고객가치와 수익경영이 강조되고 30%에 이르는 인력구조조정이 단행됐으며 직원 의식개혁을 밀어붙였다. 갈등과 어려움, 저항과 피가 당연히 있었다.

하지만 공익의 목표는 고객만족이며 더 많은 공익을 위해선 수익창출이 불가결하다는 상황인식은 한치도 후퇴하지 않았고 결국 성공으로 이어졌다. ‘한국 비영리조직의 혁신에 의미 있는 전범’이라고 저자가 단언하는 이유다. 공공조직 혁신의 로드맵으로 활용해도 무리가 없다.

변형주 기자 hjb@kbizweek.com

IP *.116.34.16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2 코끼리와 벼룩 [1] 정경빈 2006.03.26 2695
411 나는 아폴로형 세계에 갇힌 디오니소스였다. [7] 한명석 2006.03.22 3466
410 《코리아니티(Coreanity) 경영》 옮김 2006.03.22 2433
» -->[re]〈공익을 경영하라〉비영리조직 혁신 보고서 한경비즈니스 2006.03.21 2749
408 소유의 종말 (제러미 리프킨) 강미영 2006.03.21 2647
407 (2) 소유의 종말 [1] 박소정 2006.03.20 2436
406 소유의 종말(The Age of Access)을 읽고 조윤택 2006.03.21 2774
405 '정'과'김'의 대담 -'소유의 종말'을 읽고 [2] 정재엽 2006.03.20 2662
404 소유의 종말을 읽고 김귀자 2006.03.20 2543
403 소유의 종말은 있는가? [1] 꿈꾸는간디(오성민) 2006.03.20 2675
402 소유의 종말(20060320) [1] 이미경 2006.03.27 2457
401 소유의 종말을 읽고 나서 [1] 도명수 2006.03.20 2641
400 소유의 종말(The Age of Access) 이종승 2006.03.19 2640
399 소유의 종말 정경빈 2006.03.19 2515
398 인터뷰/&lt;공익을 경영하라&gt;낸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장 한겨레 2006.03.18 2944
397 3월 둘째주 필독서 '소유의 종말'을 읽고 [6] 한명석 2006.03.16 2905
396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만남.. file 김귀자 2006.03.14 2980
395 대담 (도정일, 최재천) [2] [1] 강미영 2006.03.15 4657
394 (1) 대담 [2] 박소정 2006.03.13 2775
393 '대담-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를 읽고 조윤택 2006.03.13 3508